<동무 동무 씨동무>와 <께롱 께롱 놀이노래>                 

                                                2010년3월10일김두래         

저자 :편해문

1969년 서울 사당동 산동네에서 태어났다. 산동네를 누비며 신나게 놀았던 어린 시절이 지금을 사는 힘임을 깨닫고 “아이들 놀이노래이야기 연구실 <씨동무>를 꾸려가면서 놀이에 목마른 곳이라면 어디든 달려가 아이들과 교사와 학부모와 함께 놀며 10년을 보냈다. 아이들과 더 잘 놀기 위해 지금은 부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에 다니며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전문위원, ”어린이도서연구회“ 자문위원으로, ”선재학교“ 운영위원으로도 힘을 보태고 있다.

쓴 책으로는 <동무 동무 씨동무> (창비,1998), <가자 가자 감나무> (창비,1998)와<옛 아이들의 노래와 놀이 읽기> (박이정,2002), <어린이 민속과 놀이문화> (민속원,2005),<산나물아 어딨노> (소나무,2006) <께롱 께롱 놀이노래>,<아이들은 놀기위해 세상에 온다>(소나무),<아기를 주시는 삼신 할머니>(소나무)가 있다>


책 소개


<동무 동무 씨동무>와 <께롱 께롱 놀이노래>는 비슷한 내용으로 “동무 동무 씨동무”는 어떤 경우 어떤 노래를 불렀는지 자세하게 풀이해 두었다면 “께롱 께롱 놀이노래”는 “동무 동무 씨동무”에 실린 50여곡의 노래를 음반으로 다시 편집한 것 같다.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어깨가 들썩이고 흥얼거리는 노래와 놀이를 눈높이에 맞게 꾸며 놓은 책이다. 이곳에 실린 노래를 몇곡 소개해 본다면


“비야 비야 오지 마라 우리 누나 시집갈때 가매 꼭지 물 들어가면 비단치마 얼룩진다”

“방구 방구 나가신다 대포 방구 나가신다 먹을 것은 없어도 냄새나 맡아라~뿌웅~~

“중중 까까중 칠월에 번개중”

“얼레리 꼴레리 오줌싸개 똥싸개래요”

“까치야 까치야 헌 이 가져가고 이 다오”

“앞니 빠진 갈가지 뒷니 빠진 덕새기 우물가에 가지마라 붕어 새끼 놀랜다 통시간에 가지마라 구대기 새끼 놀랜다”

“고추장 된장 고추장! 꼭 꼭 눌러라~~ 고추장 된장 된장! 되게 눌러라”

“고추 먹고 맴맴 담배 먹고 맴맴 찔레 먹고 맴맴”

“개밥 먹고 개밥 먹고 키 크지마라”

“어깨 동무 씨동무 보리가 나도록 놀아라 동무 동무 씨동무 보리가 나도록 놀아라 어깨 동무 씨동무 보리가 나오록 놀아라 동무 동무 씨동무 보리가 나도록 놀아라”

“뒤에 가면 포졸 앞에 가면 도둑”

“신랑방에 불켜라 각시방에 불켜라”

“아침방아 찧어라 저녁 방아 찧어라 콩콩 찧어라”

“잠잘아 잠잘 앉으면 살고 날면 죽고 앉을자리 꽃자리 요기 요기 앉아라”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이카락 보일라 쥐란 놈이 물어도 꼼짝 말고 개미란 놈이 물어도 꼼짝말고 달싹마라”

“뽕나무가 방귀를 뽕 뀌니까 대나무가 데끼놈 하니까 참나무가 참아라 그랬다네”

“아가리 딱딱 벌려라 열무김치 들어간다”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집다오 두껍아 두껍아 헌집 가져가고 새집다오”

“해야 해야 나오너라 김칫국에 밥 말아 먹고 장구치고 북 치고 발가벗고 나오너라”

“하늘천 따지 가마솥에 누룽지 벅벅 긁어서 훈장님으 똥가래 나는 은수저 훈장님은 퍼먹고 나는 잡숫고 에헴”

“이서방 일하러 가세 김서방 김매러 가세 조서방 조털러 가세 신서방 신이나 삼세 배서방 배사러가세”

“엿 장사 똥구멍은 찐득찐득 두부장사 똥구멍은 뭉실뭉실 옹기장사 똥구멍은 반질반질 참기름장사 똥구


멍은 미끌미끌 소금장사 똥구멍은 짭짤짭잘”

“까마귀는 날더라 날면 제비 제비는 울긋 불긋 울긋 불긋 독사 독사는 물더라 물면 범이지 범은 뛰더라 뛰면 벼룩이지 벼룩은 붉더라 붉으면 대추 대추는 달더라 달면 엿이지 엿은 붙는다 척”

“하나는 뭐지? 하나는 해이지 둘은 뭐니? 둘은 콧구멍 셋은 뭐니? 셋은 지게 다리 넷은 뭐니? 넷은 밥상다리 다섯은 뭐니? 다섯은 손가락 여섯은 뭐니? 여섯은 파리다리 일곱은 뭐니? 일곱은 북두칠성 여덟은 뭐니? 여덟은 문어다리 아홉은뭐니? 아홉은 여우꼬리 열은 뭐니? 열은 오징어다리”

“저 건너 지붕위에 콩 깍지가 깐 꽁깍지냐 안 깐 꽁깍지냐”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지팡이를 짚고 꼬부랑 길을 가다가 꼬부랑 똥이 마려워 꼬부랑 나무에 올라가 꼬부랑 똥을 누니까 꼬부랑 개가 날름 먹으니까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지팡이로 딱 때리리까 꼬부랑 강아지가 꼬부랑 깽깽 꼬부랑 깽깽 네 똥 먹고 천년 사나 내똥 먹고 만 년 살지 하며 도망갔대”

“어디까지 왔니 아직 아직 안왔다 어디 까지 왔니 동네 앞에 왔다 어디까지 왔니 개울가에 왔다 어디까지 왔니 대문앞에 다왔다.”

“떡 해 먹자 부헝 양식 없다 보항 꿔다 하지 부헝 어찌 갚나 보항”

“쥐야 쥐야 너 어디 잤니 부뚜막에 잤다 뭐 덮고 잤니 행주 덮고 잤다 뭐가 깨물더냐 개미가 깨물더라 무슨 피가 났니 빨간 피가 났다”

“별 하나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둘이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서이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너이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다섯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여섯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일곱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여덟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아홉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별 열 따다가 계수나무 걸고 매고 짜고 다 땄다”

이렇게 아이들은 삶에서 자연곡에서 친구들과 노래하며 놀고 살았다. 거의 모든 노래가  귀에 익은 노래들이고 어렸을때 불렀던 노래들이다. 우리들의 어린 시절은 그래도 놀이에 푹 빠지며 친구들과 마음껏 함께 놀았던 기억이 추억으로 남아있는데 지금 우리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하며 무슨 놀이를 하며 무슨 노래를 부를수 있나 생각해 보니 가슴이 답답하다. 그만큼 우리 아이들은 물질적으로는 풍요롭지만 정신적으로 얼마나 여유없이 살고 있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한다. 아이들에게 자연에서 마음껏 친구들과 놀수 있는 여유를 되찾아 주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공부합시다 > 아름다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바르게 쓰기  (0) 2016.07.01
우리말 단위  (0) 2008.11.17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0) 2007.05.13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  (0) 2006.12.28
~대 와~ 데의 차이점  (0) 2006.04.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