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새끼줄 축제에 다녀왔다.

철원하면 아직도 뭔가 으스스한 전방에

승리 전망대가 있고....비무장지대가 있고 모두는 그렇게 생각한다.

대신 민통선안의 철원 오대산쌀은 아주 밥 맛이 좋기로 아주 유명하다.

그만큼 덜 오염된 땅에서 자라나는 농작물이라 그럴 것이다.

백마고지전투에서

김일성이 철원평야을 빼앗기고 비통해했다는 설이 있다.

그만큼 농산지로 빼어난 곳이였기 때문일게다.

 

 

그런 철원이 제 <철원새끼줄축제>를 개최했다.

실은

철원군농업기술센터에서 선진농업인 대회와 함께  ‘제3회 DMZ 농촌관광' 이란 제하에

'철원 새끼줄축제’ 를 10월 23~24일 양일간 고석정에서
 많은 관광객들의 방문과 호황속에 이색적인 새끼줄축제는 성공리에 막을 내렸다.

철원 군민들이 축제로 애쓰 흔적들을 둘러보며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애향심에 실로 가슴 뭉클해졌다.

아직은 이런 탱크가 먼지를 날리며 오가고

포소리에 깜짝깜짝 놀라고 기피하는 곳이지만

 철원 '철원새끼줄축제'는 코레일과 연계하여 많은 관광객들을 유치했다.

정말 볼거리 먹거리가 풍족한 곳이기도 했다.

순수한 전통 먹거리와 다양한 농촌체험에 푹 빠지기도 했으니~~


농촌기술원직원분이시라 했는데,,,ㅎㅎㅎㅎ



 

철원 인근 관광지 

문화유적지 고석정(孤石亭)은 철원읍 동송읍 흥리에 위치하고 있는 신라 진평왕한탄강 상류에 세워진 정자이다.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의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었다.

행사장에서  바로 내려가면 고속정!

임꺽정이 피해서 숨었다는 임꺽정 바위! 기묘한 천혜의 굴안에서 은거하며 적과 대치하며 싸웠다는...고석정1의 전설~

저 멀리....끄트머리 경관을 줌으로 당겼더니

(미세먼지)뿌였지만 이렇게 보이는군요!

가뭄이라 ....물이 그리 넉넉하진 않군요!


 

어익후! 뚱보할매!

◀ 언제 저 배를 꼭 한 번 타봐야쥐~~


 

 삼부연폭포와 승일교

삼부연폭포는 나도 처음 가 본 곳이다.

세계 제일이라는 나이아가라폭포도 가봤지만 삼부연폭포를 보고 던진 나의 첫 말은

<아! 이 게 바로 한국의 진정한 폭포구나!!>

유명한 세계적인 폭포와 비교할 수 없는 그 무엇!

묵향 그윽한 산수화 그림에서 되살아 난듯한 비경!

삼부연폭포!

 

좀 더 힘들게

그대를 만났으면 더 깊은 감탄이 새어나올 것을!!

 승일교가 있는 한탄강은 낙엽으로 꽃단장

새로 만들어진 철원대교!

대교라 이름지어진 것은 무거운 탱크 전차등이 지나는 튼튼한 다리!

그래서 장한 ...막중한 일을 하는 다리로 대교라 명명했다고 한다.

 승일교는 현재 사람만 다닐 수 있다.

아래에서 자세히 보면 다리의 아취가 전혀 다른 기법으로 되어있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삼부연폭포

1박2일에도 나왔던 삼부연폭포는 싸다.

사진에 보이는 저런 산 깊숙히 들어 앉아서

등산객들이 힘들게 찾아가 배일해야 할 정도의

정말 산수화같은 폭포인데

의외로 바로 차도에 인접해 있다.

나같은 논네야 근접하기 좋아서 좋지만

아쉽다. 이 좋은 비경이...아까운 경관이

꽁꽁 숨어 있어야 진가를 발휘하거늘~~


승일교!

이 교량은 절반은 북한이

나머지 절반은 남한이 만든 유일한 다리다.

다리의 이름도 이승만의 <승>자와

김일성의 <일>자를 합해서

승일교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철원에 가신다면 당연히  멋진비경의 고석정과

삼부연폭포 그리고 승일교를

내방하시기 바라며.... 


  1. 고석정은 한탄강 변에 있는 정자이다. 세운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내용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과 고려 충숙왕(재위 1294∼1339)이 여기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그 외에도 고려 승려 무외(無畏)의 고석정기와 김량경의 시 등이 있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의적 임꺽정이 고석정 앞에 솟아 있는 고석바위의 큰 구멍 안에 숨어 지냈다고 하는데, 이 바위에는 성지, 도력이 새겨져 있고 구멍 안의 벽면에는 유명대, 본읍금만이라고 새겨 있다. 현재 2층 정자는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져 1971년에 콘크리트로 새로 지은 것이다.순담은 고석정에서 2㎞ 떨어진 곳에 있는 계곡을 일컬으며, 조선 영조(재위1724∼1776) 때 영의정을 지낸 유척기(1691∼1767)가 요양하던 곳이다. 이름의 유래는, 순조(재위 1800∼1834) 때 우의정을 지낸 김관주(1743∼1806)가 20평 정도의 연못을 파고 물풀인 순채를 옮겨다 심고서 ‘순담’이라 불렀다고 한다.이곳은 기묘한 바위와 깎아 내린 듯한 벼랑 등으로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계곡에서는 보기 드문 하얀 모래밭이 천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