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의 정자
양산8경 임경대에서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정자 <임경대>를 찾아서~
고운 최치원이 즐겨 놀았다는 곳!
양산팔경중 하나 임경대를 찾아가는 길이다.
바위에 씌인 시는 다 닳아서 형체를 알리 없지만....
낙동강마저 붉게 물들이는 노을이 기막히게 좋다는 그래서 시인 묵객들이 즐겨 찾는다는 곳!!
오봉산을 오르는중이었다.
산봉우리 겹쳐진 사이로 빨간 홍시감이 그만 꼴까닥 자취를 감추었다.
<누가 먹었지? 아까 그 홍시감? 누구 본 사람? >
우리가 임경대에 도착했을 때는 그만 노을은 지고 피빛 잔명만 붉으스레 남아있었다.
<아~ 10분만 일찍 왔더면......우리도....나도 시가 나왔을텐데~~>
실은 아쉽게도 사진은 노을 져버리자 그저 그렇게 밋밋했다.
카메라 Av 설정을 -로 놓았더니 노을이 잔명이 그런대로 짙어진다.


| |
 강 건너가 김해란다.
| |
 줌인했더니....경겨운 마을의 저녁풍경이 다가온다.
| |





........................
년전에 합천해인사의 소리길을 걷다가 농산정을 만났다.
역시 최치원선생이 모든 것을 다 버리고 은둔하며 지내던 한 곳! <농산정>이 생각났다.
12살의 어린 나이로 당나라 유학을 떠났던 선생은
분명 금수저를 물고 태어났을거며...그리고 어려서부터 신동 소리를 듣고 자라지 않았나
나름 생각해본다. 그러나 당나라에서는 이방인이요.
신라로 돌아오니 6두품이란 굴레의 관직에서
그다지 기개를 다 펴지 못한 것 같다.
지리산자락 즉 농산정에서 신발만 두고 사라져....신선이 되었다는 설이있다.
아무튼
신라시대 최고의 문장가 최치원임을....
물소리 새소리 바람소리....사유의 시간 외에는 아무런 말이 필요없는 곳!
홍진으로 가득한 이 세상 이야기,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 곳! 산조차 물소리에 먹먹한 !
그래서 지금은 문화재로 등록 되어진 농(聾/귀머거리농)자를 붙인 “농산정”이란 이름의 정자가 서 있고
최치원의 詩가 어우러진 곳!!
이 곳!
임경대 역시 그러하니... | |
|
|
그가 생각나서...
농산정도 임경대도...초야에 묻혀 은둔한 심경도...

양산 8경 유적지 임경대 초입길에는
임경대를 찾아 최치원선생을 기리며, 또는 임경대의 비경을 시로 노래한
숱한 묵객들의 한시를 비를 만들어 조경을 해두었다.
낙동강을 바라보는 벼랑의 숲이 좋고.....
일몰은 시간을 맞춰 가면 아주 좋은 강물에 비치는 반영의 노을을 즐기시면
누구나~ 저절로 시인이 될 것 같은 경관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