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의 호칭, 지칭 사투리까지

분류가 마땅찮아 [아른다운 우리말]로 분류에 포함시켰음.

 

 

* 고무 : 고모(姑母), 고무아제(姑母夫)
* 누부 : 누나
* 대소가(大小家 :표준어) : 친척, 집안대소가. 
* 딸내미(대구)=딸아 : '딸'의 애칭
* 동기(同氣 : 표준어) : 형제자매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동사디 : 동생댁,  손아래 올케
* 동상 : 동생
* 동새(경산) : 동서
* 디름 : 도련님,  시동생 호칭
* 막내이 : 막내
* 미느리 : 며느리
* 백씨(伯氏:표준어) : 남의 형,  여자일 경우 언니의 지칭사
* 빙모(聘母 : 표준어) : 장모(丈母)의 높힘말
* 빙장(聘丈 : 표준어) : 장인(丈人)의 높임말
* 사우 : 사위
* 사장(査丈)어른 : 사돈어른, 사돈댁의, 형수의 아버지 등, 안사장어른, 바깥사장어른
* 사형(査兄) : 사돈댁의 형수의 형제 등, 사돈댁의 형제 항렬
* 새디 : 새댁, 아랫동서의 호칭
* 생질(甥姪 : 표준어) : 누이, 시누의 아들,  생질녀 : 누이의 딸
* 서군(壻君, 壻軍) : 사위, 사위들
* 손서(孫壻 :표준어) : 손자사위
* 시누 : 시누이
* 시동상 : 시동생
* 시매씨 : 시매부의 지칭사
* 시아바씨 : 시아버지
* 시어마시 : 시어머니
* 시하(侍下 : 표준어) : 부모가 모두 살아 있어 모시고 있는 처지, 또는 그런 사람
 - 엄시하(嚴侍下) : 양친 중 아버지만이 생존해 있는 사람
 - 자시하(慈侍下). : 양친 중 어머니만 생존해 있는 사람
* 아바이 : 어버지의 지칭사
* 아배 = 아부지 : 어버지 : 아배가 더 오래 된 말
* 아제=아지야(대구) : 아저씨, 삼촌
* 아지베미 : 아주버니, 장가간 시숙, 시동생,  시매부에 대한 호칭,
* 아짐=아지매(대구) : 아주머니, 형수, 숙모, 고모에 대한 호칭, 이아짐(외숙모),
* 액시 : 아가씨,  시누를 부러던 호칭,
* 양반 : 여자가 자기보다 동급 및 그 위의 남자를 부를 때 택호 뒤에 붙이는 말
* 어른 : 1. 언른, 2.아버지를 남에게 지칭할 때,  3. 타성 어른을 부를 때 택호 뒤에 붙임  
* 어마이 : 어머니의 지칭사
* 어무이 : 어머니, 어머님,  엄마에 비해 높임말,
* 오라배 : 오빠, 오라비
* 오라바이 : 오빠의 지칭사
* 오매=어매 : 엄마
* 완장(阮丈;표준어) : 남의 삼촌, 예)완장이 몇인공?(숙부는 몇 명 이냐?)
* 이갓집 : 外家 예)이아제, 이할배, 이사촌, 이아짐, 이할매
* 이아제 : 외삼촌,  아저씨(아제), 고모부(고모아제), 이모부(이모아제),
* 이질(姨姪 : 표준어) : 자매의 아들, 이질녀(자매의 딸), 처이질(처제, 형 의 아들)
* 일가(一家 :표준어) : 친척
* 자형( 兄:표준어) : 매형
* 젊으이 : 아가, 며느리에 대한 지칭사, 호칭
* 종방간(從方間) : 사촌간
* 종수씨(從嫂氏:표준어) : 사촌 제수
* 재종(再從: 표준어) : 육촌, 재종형(6촌 형), 재종숙(7촌 아저씨)

* 재추띠 : 재취댁(再娶宅), 재추-재취, 후처
* 제매(弟妹 : 영천) : 매부
* 지부 : 제부(弟夫)
* 지수 : 제수(弟嫂)  
* 지차(之次 : 표준어) : 둘째 아들, 버금
* 진이가 : 진외가(陳外家), 아버지 외가.  어머니 외가는 외외가
* 질보 : 질부(姪婦), 조카며느리에 대한 호칭-지칭사
* 질서(姪壻 : 표준어) : 조카사위
* 집안 : 친척, 같은 同姓의 친척
* 처지 : 처제(妻弟)
* 첩사이 : 첩(妾)
* 큰손 : 결혼시 상대편 댁에 방문시 각각의 결혼시 신랑-신부측 혼주,
* 할마이 : 할머니의 지칭사
* 할매 : 할머니
* 할바이 : 할아버지의 지칭사
* 할배 : 할아버지
* 히(비음) =엉가(진주) : 형, 미혼의 형,  올케, 언니에 대한 호칭

 


계수(季嫂): 아우의 아내. 형제가 여럿일 때, 막내아우의 아내. 
고모(姑母):  아버지의 누이 
고모부(姑母夫):  고모의 남편 
고숙(姑叔): 고모부
고희(古稀):  `옛날부터 드물다`는 뜻으로, 나이 `일흔 살`의 다른 이름. 
귀하(貴下):  편지를 받아 볼 사람의 이름 아래에 써서 높이는 뜻으로 일컫는 말. 
근조(謹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노사장(査丈) 어른:  자녀 배우자(며느리, 사위)의 조부모는 부르는 사람과 대상의 성별에 관계없이 `사장어른`을 호칭의 표준으로 정한다. 
단자(單子): 부조하는 물건의 목록을 적은 것 
대고모:  고모를 자신의 자녀에게 가리킬 때는 자녀 편에 서서 `대고모, 왕고모`라고 한다. 그런데 요즘 `고모할머니`라는 말이 어린이들 사이에서 더 널리 쓰이고 있다. 
덕담:  잘 되기를 비는 말. 
동서(同壻): 자매의 남편끼리의 관계. 또는 그런 관계에 있는 사람. 형제의 아내끼리의 관계. 또는 그런 관계에 있는 사람. 
동시:  `동서`는 같은 집의 사위들끼리의 관계말이고, `동시`는 며느리 사이의 관계말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동시`는 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말이고 지금은 `동서`가 널리 쓰인다. 
맏동서: 18세기말에 편찬된 `재물보`를 보면 동생의 아내가 형의 아내를 보고 `맏동서`라고 부른다는 기록이 있다. 
망구(望九): 아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여든 한 살`을 일컫는 말. 
망백(望百):  백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아흔 한 살`을 일컫는 말. 
망자(亡子): 죽은 아들. 또는 장사를 치르는 동안에 `죽은 사람`을 일컫는 말. 
망칠(望七):  일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예순 한 살을 일컫는 말. 
망팔(望八):  여든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일흔 한 살을 일컫는 말. 
매부(妹夫): 누이의 남편 
매형(妹兄): 손위 누이의 남편 
문병(問病): 앓는 사람을 찾아보고 위로함. 
문상(問喪): 남의 상사에 대하여 슬픈 뜻을 나타냄. 또는 그 인사 
미수(米壽): 나이 `여든 여덟 살`의 다른 이름. 
밭사돈: `바깥사돈`의 준말. 남편과 아내의 아버지를 양쪽 집에서 서로 일컫는 말. 
백부(伯父): 아버지의 맏형. 아버지의 형이 여럿 있는 때 형들.
백수(白壽): 아흔 아홉 살. 
본가입납(本家入納):  객지에 나와 있는 자녀가 고향의 부모님께 편지를 보낼 때 부모님의 함자를 쓰기 어렵기 때문에 과거에는 본인 이름 뒤에 `본가입납, 본제입납`이라고 써서 보냈다. 
본제입납(本第入納):  객지에 나와 있는 자녀가 고향의 부모님께 편지를 보낼 때 부모님의 함자를 쓰기 어렵기 때문에 과거에는 본인 이름 뒤에 `본가입납,본제입납`이라고 써서 보냈다. 
부고(訃告):  사람이 죽음을 알리는 말이나 글. 
부름말: 사람이나 물건을 부르는 말. 호칭어. 
부의(賻儀):  초상 난 집에 도우려고 보내는 돈이나 물건. 또는 초상 난 집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어 도와 줌. 
빙모님: 아내의 친어머니. 
빙장 어른: 장인을 높여 이르는 말. `악장`이라고도 함. 
사돈(査頓): 혼인으로 맺어지는 두 집안 사이에서 당사자를 빼고, 서로 일컫는 상대편 사람. 
생질(甥姪): 누이의 아들 
생질녀: 누이의 딸 
생질부(甥姪婦):  누이의 며느리 
생질서(甥姪壻): 누이의 사위
선비(先 ): 돌아가신 어미니. 
선친(先親):  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돌아간 아버지`를 일컫는 말.
송공(誦功):  정년 퇴임 등을 기리는 날에 단자와 봉투에 삼가 축하한다는 뜻의 `근축`이나 그 동안의 공을 기린다는 뜻의 `송공`, 또는 `(그 동안의)공적을 기립니다.`로 쓰도록 표준을 정하였다. 
수연(壽宴): 장수를 축하하는 잔치. 보통 환갑잔치를 일컫는다. 
숙질(叔姪): 아저씨와 조카 사이. 
승중상(承重喪): 아버지를 여읜 맏아들이 당한 할아버지나 할머니의 초상. 
시부모: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연하장(年賀狀): 새해를 축하하는 편지. 
위문: 위로하려고 문안함. 
육순(六旬): 집에서 세는 나이로 예순 살. 
임자: 친한 사람 끼리 `자네`라고 하기가 좀 거북할 때 부르는 말. 부부 사이에 상대방을 가리키는 말. 
자당(慈堂): `남의 어머니`의 높임말. 
자제분:  ' 남의 집안의 젊은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자형( 兄):  손위 누이의 남편 
작은아버지:  아버지의 아우. 
작은어머니: 작은아버지의 아내. 또는 서모를 자기 어머니와 구별하여 일컫는 말.
장모(丈母): 아내의 친어머니 
장인(丈人):  아내의 아버지. 가시아버지, 부공, 빙부, 악공, 악부, 악옹, 처부 
전의(奠儀):  초상 난 집에 도우려도 보내는 돈이나 물건. 
제부(弟夫):  당내 되는 아저씨. 또는 아우의 남편. 또는 아우의 아내. 
제수(씨): 아우의 아내. 형제가 여럿일 때, 막내아우의 아내. 
조문(弔文):  조상하는 글. 또는 상주 된 사람을 위문함. 
조상(弔喪):  남의 상사에 대하여 슬픈 뜻을 나타냄. 
조위(弔慰):  조상과 위문 
조장(弔狀):  조문하는 편지 
조전(弔電):  조상하는 뜻을 전하려고 보내는 전보. 
좌하(座下):  편지를 받아 볼 사람의 이름 아래에 써서 높이는 뜻으로 일컫는 말. 
진갑(進甲): 환갑 이듬해 또는 그 해의 생일. 
진외종조부(陳外從祖父):  아버지의 외가는 진외가라 한다. 자신의 외삼촌을 자녀에게 가리킬 때 `진외종조부`라고 한다. 
진지:  밥의 높임말. 
질부(姪婦):  조카며느리 
질서(姪壻):  조카사위 
처제(妻弟):  아내의 여동생 
처형(妻兄):  아내의 언니 
축의금(祝儀金):  축하는 뜻으로 내는 돈. 
춘부장(春府丈):  어르신네. 남의 아버지를 높이는 말. 혹은 아버지와 벗이 되는 어른이나 또는 그 이상 되는 어른을 높이는 말. 
칠순(七旬): 일흔 날. 또는 일흔 살. 
큰아버지: 아버지의 맏형. 또는 아버지의 형이 여럿 있는 때 형들. 
큰어머니:  큰아버지의 아내. 또는 아버지의 형이 여럿 있는 때, 그 형들의 아내. 
팔순(八旬):  여든 날. 또는 여든 살. 
합부인(閤夫人):  남의 아내를 높이는 말. 내상, 영규, 영실, 영정, 현합, 부인.
현고(顯考):  신주나 축문에서 `돌아가신 아버지`를 일컫는 말.
현비(顯 ): 신주나 축문에서 `돌아가신 어머니`를 일컫는 말. 
화갑(華甲):  예순 한 살. 주갑, 환갑, 회갑. 
환갑(還甲): 예순 한 살. 주갑, 화갑, 회갑. 
회갑(回甲): 예순 한 살. 주갑, 환갑, 화갑. 
희수(稀壽,喜壽):  나이 `일흔 살`의 다른 이름. 또는 나이 `일흔 일곱 살`의 다른 이름
희연(稀宴): 고희연. 일흔 살이 되는 해의 생일잔치. 

   
 

부모에 대한 호칭
어머니

어머니의 높임말 : 모친(母親)

자기의 어머니 : 자친(慈親).
가자(家慈). 자위(慈*)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자기의 어머니 : 선비 (先*).
선자(先慈). 전비(前*)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어머니 : 망모(亡母)

기제사 때 어머니(지방 또는 위패에 쓰는 호칭) : 선비(先*).
예) 선비경주김씨신위(先*慶州金氏神位)

남의 어머니 : 자당 (慈堂). 대부인. 영당(令堂).
훤당(萱堂). 북당(北堂)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 : 선대부인(先大夫人)
선자당(先慈堂)이라고도 함.

아내의 어머니 : 장모 (丈母)
악모(岳母). 처모(妻母)라고도 하며 높임말은 빙모(聘母)임.

남편의 어머니 : 시모(媤母)

딸의 시어머니나 며느리의 친정 어머니 : 안사돈(―査頓)
사돈댁(査頓宅)이라고도 하며, 높임말은 사부인(査夫人)임.

아버지

아버지의 높임말 : 부친(父親) .
가존(家尊)이라고도 함

자기의 아버지 : 가친(家親).
엄친(嚴親), 가부(家父), 가엄(家嚴), 엄군(嚴君)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자기의 아버지 : 선친(先親).
선고(先考), 선부(先父), 선인(先人)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아버지 : 망부 (亡父), 부군(府君 : 주로 위패에 씀)
부군은 대대의 할아버지를 높이어 일컫는 말이기도 함.

기제사 때 아버지(지방 또는 위패에 쓰는 호칭) : 선고(先考).
예) 선고학생부군신위(先考學生府君神位)

남의 아버지 : 춘부장(椿府丈).
춘당(椿堂). 춘부대인. 춘정(椿庭)이라고도 함.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 : 선대인(先大人)
선고장(先考丈), 선장(先丈)이라고도 함.

아내의 아버지 : 장인 (丈人).
빙부(聘父). 악부(岳父)라고도 하며, 높임말은 빙장(聘丈)임.

남편의 아버지 : 시부 (媤父)

딸의 시아버지나 며느리의 친정 아버지 : 바깥사돈(―査頓)

 


 

'공부합시다 > 아름다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 와~ 데의 차이점  (0) 2006.04.27
전승민요  (0) 2006.04.06
저어하다  (0) 2005.08.17
잊혀져가는 우리말 찾기  (0) 2005.08.11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05.08.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