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운생태공원

 의성, 금성면 6개 초등 동기 운동회가 10월 17일에 있을 예정이라는 플래카드가 웬지 부럽게도 정겹다.

이 너른 잔디운동장에서 뛰고 구른다면...

금성산아래 상서로운 구름이 몰린다는 동네 산운마을로 접어들다.

산운마을 : 금성산 아래 산운마을은 영천 이씨 집성촌으로 일명‘대감마을’로도 불린다.

천혜의 자연환경과 전통문화가 함께하는 산운마을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옛날로 돌아간 듯한....

저 우물은 그럼....현실과 과거를 넘나들 수 있는 .....블랙홀?

채마밭이 곱다.

산운마을은 자연친화적인 동네~~생태계가 살아있는 그림같은 마을이다.

 녹두와 팥이 열리는 건 아직 보지 못한 나에게 친절하게 가르쳐준다.  녹두!

 팥이란다. 지금은 덜 붉지만 붉게 된다고 한다.

 

소우당

 

의성 소우당 중요민속자료237호

소 재 지; 경북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 171-3

북쪽의 금성산과 남쪽의 창이들 들판 사이 나지막한 구릉과 평지에 자리잡은 이 마을은 수정계곡 아래 구름이 감도는 것이 보여 ‘산운리’라고 하였다고 한다. 조선 명종 때 영천 이씨(永川李氏)가 처음 정착하였다고 전한다. 이 마을에는 운곡당(雲谷堂)·소우당(素宇堂) 등을 비롯하여 10여채가 넘는 전통가옥이 있다. 소우당(素宇堂)은 소유자의 6대조인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이 19세기 초에 지었다고 전하며, 안채는 1880년대에 고쳐지었다고 한다.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사랑채가 안마당을 감싸며 튼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남쪽으로는 一자형의 문간채가 있고 그 서쪽에는 외측간이, 안채의 북서쪽에는 내측간이 있다. 안채의 서쪽에는 별도의 담장을 돌려 공간을 형성하고 그 안에 안사랑채 또는 별당으로 불리는 건물을 배치하였다. 주위에는 연못과 각종 나무를 심어 정원을 꾸몄으며, 안채와 사랑채에서 각각 출입할 수 있도록 문을 두었다.

 

 

 

 

 

 

 

 

 

 

 점우당 이희발의 아우, 이가발의 집으로 소우장은 이가발의 소가가 살았다는 집이다.

정원이 아름답고 가옥이 무척아름다와 등급이 높은 건축물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명 칭 :  소우당(素于堂)
소 재 지 :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 171-3
(원소재지 :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 171-3)
건 축 주 :  이가발(李家發, 1776~1861)
건축시기 :  19세기 초
소 유 자 :  이희춘(李憙春)
문 화 재 :  중요민속자료 제237호

건축 이야기
이 건물은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이 19세기 초에 건립하였고, 안채는 1880년대에 고쳐지었다고 전한다. 소우당이 위치하고 있는 산운(山雲) 마을은 금성산(金城山) 아래 나지막한 구릉과 평지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조선 명종(明宗) 연간에 학동(鶴洞) 이광준(李光俊, 1531~1609)이 처음 들어와서 정착한 이후로 영천이씨(永川李氏)의 집성촌(集成村)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를 들어서면 오른쪽에는 예전에 쓰던 디딜방아가 있고, 문간채 곁에는 양반가의 견공(犬公) 한 마리가 조용하면서도 굳건하게 집을 지키고 있다. 산운마을에 있는 유교문화재 중에서 가장 등급이 높은 건축물이다.

건축 특징
안채와 사랑채 외에 별당(別堂) 형식의 공간을 담을 둘러 따로 구성한 점이 특이한데, 19세기 상류가옥의 멋을 느낄 수 있으며 별서(別墅, 별장) 건축의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되고 있다. 높고 낮은 나무들과 아기자기한 돌, 연못 그리고 요즘에도 거처하는 모양인 듯 이부자리와 안석 등이 갖추어진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 동선(動線)을 따라가면서 크고 작은 돌을 이용하여 통행에 편리하도록 길을 만들어 두었다.

건축 구성

가옥은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안마당을 감싸고 있어 ‘튼 ㅁ’자형(字形)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남측 전면에는 ‘ㅡ’자형 문간채가 있고 문간채의 서쪽에는 외측간이, 안채의 북서쪽에는 내측간이 있다. 안채, 사랑채 일곽(一郭)의 서쪽으로는 별도의 담장을 돌려 공간을 형성하고 원림(園林)을 조성하였다. 원림 중앙부에는 안사랑채 또는 별당(別堂)으로 불리는 건물을 배치하고, 그 남쪽으로는 연못과 수림(樹林) 및 보도(步道)를 조성하여 정원(庭園)으로 꾸몄다. 안채 서북쪽에 나 있는 문을 통해서도 별당으로 출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문중 이야기
- 한번쯤 살아보고 싶은 곳. 소우당

조선중기에 학동(鶴洞) 이광준(李光俊, 1531~1609)이 산운마을로 들어와서 거처한 이래로 이곳에는 영천이씨(永川李氏)가 대를 이어가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광준의 후손들이 생활하는 여러 채의 옛날 가옥들이 마을 곳곳에 남아있지만, 그 중에서도 멋스러움으로 말하자면 소우당이 단연 압권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소우당의 한 켠에 별도의 공간을 이루고 있는 별당 구역이 멋진데, 입구에 들어서는 순간 ‘와 멋지다’라는 탄성이 저절로 날 정도이고, ‘나도 한 번 이런 집을 가져 봤으면...’하고 분수에 넘치는 욕심을 꿈꾸기도 한다. 별당 앞쪽에 있는 우리나라 지도를 응용하여 조성하였다고도 하는 연못은 부정형의 곡선으로 되었고, 호안(護岸)은 자연 경사면으로 되었는데 입수구가 없이 과거에는 물을 길어다 채웠다 하며 출수구는 남측 담장 밑으로 배수되도록 하였다. 별당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정면 앞쪽에는 3칸 규모의 마루를 설치했고, 우측과 뒤쪽에는 툇간을 두었다. 여기에는 별도의 현판은 없다. 특이한 것은 좌측 뒤쪽에 화장실이 붙어있다는 사실이다. 별당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 요즘식으로 말하자면 완벽한 원룸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소우당의 또 하나의 재미있는 볼거리는 측간에 숨어있다. 측간은 물론 수세식이 아닌 푸세식으로 근래에 수리를 하여 깔끔하게 단장되어 있다. 측간 내부에는 판자를 깔고서 그 가운데에 볼일을 볼 수 있도록 자그마한 구멍을 뚫어 놓았는데, 대변이던 소변이던 볼일을 보면 그 배출물은 측간 아래에 우뚝 솟아 있는 돌기둥에 부딪히게 된다. 푸세식 화장실을 이용할 때 가장 불편하고 두려운 점이 바로 물이 튀어 오르는 것이 아니던가. 하지만 여기에서는 그런 걱정이 필요 없다. 돌기둥 덕분이다. 볼일을 볼 때 엉덩이에 물이 튀지 않도록 주인의 세심한 배려가 잔잔한 미소를 머금게 한다.
사랑채와 안채가 만나는 지점에는 옛날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 우물이 있는데, 그 곁에는 요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도꼭지를 갖춘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두었다. 사랑채 앞마루는 근래에 교체 작업을 해서 깔끔하게 바뀌었고, 사랑채 방문에는 샤시와 비닐을 설치하여 추운 겨울철을 대비하고 있다. 소우당은 운곡당(雲谷堂)과 민가 한 채를 사이에 두고 50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운곡당에서 소우당으로 통하는 길 가의 공터에는 2008년 4월 5일에 의성군수가 ‘민선4기 2주년 기념 유교문화권 관광개발사업 성공기원’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식수와 표석이 있다.

 

 

관련인물

- 검소한 삶을 추구한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 1776∼186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