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에서 아침을 밝혔습니다.

태양이 아니라...불길이 치솟는군요!!

아침바다가 활활 불 타오릅니다.

떠오르는 태양만 보았는데....이미지를 올리고 보니

소방정도 보이는군요!

물위에 떠있는 배도 불이나면 어쩔수 없이 소방정 힘을 빌려야 하나봅니다.

통영은 인연이 닿아 자주 들리는 곳입니다.

제 2의 고향같은 스스럼없는 곳입니다.

부산에 태어나 짭찌름한 갯내를 맡고 자랐으니

당연 바다의 모든 것이 엄마 품 같습니다.




 마리나리조트가 환히 바라보이는 곳이 숙소입니다.

정박해있는 요트가 보이고...

등대도 보입니다.

년전에 친정가족들이 다 모여서 밤에 등대로 나가 깔깔대며

웃고 얘기하던 일이 옛추억으로 떠오릅니다.


 

몇 번을 올랐던 통영 케블카지만

사진을 세세히 찍고보니

더욱 더 기억에 각인됩니다.

몇 년 전만해도 케블카 타기가 하늘의 별따기였었는데....

서쪽으로 남해를 거쳐 인근

여수밤바다의 케이블카가 인기를 더하면서

조금 타기가 수월해지자

숙지막해졌다지요!




참 재미진 바다 풍경입니다.

들쑥날쑥한 바다~

곶과 만이 많은 바다

<리아스식 해안>

이순신장군이 이 절묘한 바다의 지형을 역이용

왜군을 보기좋게 무찌른 해전의 바다가 아닙니까?


 

통영 미륵산에서 내다본 풍경입니다.

 저기 가로지른 섬 너머 경남 고성이 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섬 뒤쪽 바다.

뭐, 같은 바다  고성, 당항포에 내려우는 이야깁니다.

왜적이 세작을 보내

이렇게 들쭉날쭉한 바다의 지형을 해도로 그렸는데...

그만 그 세작이 대취하자

눈치 빠른 기생(제가 이름을 잊었군요)이 지도를 고쳐서 보냈다는

논개 못잖게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충절이 절절한 관기들이 많았나봅니다.

검색해서 나오면 이름 덧붙이겠습니다.

.

.

<월이군요>

설명글///아래로



당항포 해전 승리로 이끈 기생 월이


월이(月伊)는 고성읍성(邑城) 근처 무기산 아래 물맛 좋은 무기정(舞妓井)이란 우물이 있던 술집의 현명하고 아리따운 기생

이였다. 임진(1592년)년 당항포 해전이 일어나기전 승려를 가장한 일본의 간자(間者)와 하룻밤을 지내면서 이 사내가 소지한 고성읍성 주변지도를 바랑속에서 찿아 먹물로 지도를 고친것이 당항포해전을 큰 승리로 이끈 원인이 되었다. 그날 밤 월이는 붓에 먹물을 잔뜩 묻혀 소소포(召所浦,현재의 고성천하류 거류면 율천)와 죽도포(竹島浦,현재의 고성읍 수남리)사이를 일직선으로 그어 큰 뱃길이 있는 것처럼 표시했다. 현재와 마찬가지로 당항포는 고성만과는 연결이 안되니,적들이 이 바다로 들어서면 퇴로를 막을경우 독안에 든 쥐와 다름없는것이다.

 

드디어 임진년 6월 이순신의 해군은 이곳으로 잘못알고 들어온 왜선들을 대패시켰다. 그리고 고성에서는 당시 왜국의 첩자가 무기정에서 하룻밤을 자고 갔는데 그곳 기생 월이가 지도를 보고 소소포에서 죽도포에 이르는 뱃길을 그어놓았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로인해 월이는 당항포해전후 왜군에 체포되어 적장의 칼에 무참히 세상을 떠났다. 당항포에서의 승전(勝戰)은 조선왕조실록 1592년 6월21일 기록으로 남아 있으며 월이의 충절은 이순신 장군의 장계(狀啓) “당포파왜병(唐浦破倭兵)“에 언급되어 있다한다.

 

논개가 2차진주성 전투가 있던 1593년 6월에 왜장을 껴안고 목숨을 버린 거룩한 일화가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실려있는것을 후세들이 밝혀 그 의절(儀節)을 높이 기린다. 이보다 일년앞서 고성땅에 있었던 연약한 여인의 충절(忠節)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것이다. 그리고 왜적들이 오랫동안 방화,약탈,살상을 일삼았던 당시 바닷가에 가깝던 마암일원에서 힘든 삶을 영위하셨던 우리 선조들을 생각치 않을수 없다.


 향토작가 정해룡의 역사소설 “월이”를 읽고, 에서 옮김


 

바다위에 떠오르는 붉은 태양

이글이글 불붙듯

하늘과 바다를 마구 불지릅니다.

해가 좀 완연히 뜨면

아침바다가 금빛바다로 변하고(8시~9시)

오전 10시경이 되면 그냥 반짝이는

은빛바다로 변합니다.

바다는 일제히 낱낱의 비늘을 세우고 반짝이는 아침이 됩니다. 


글이 함참 늦었습니다.

5월27일 도남항 등대가 내려다 보이는 숙소의 아침이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