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라도 물이 그리울 거북이를 위해  제 얼굴이나 비추며 놀라고 떠나 놓은 물그릇에 목욕을 하다가 들켰다.

 

 

운동을 갔다오는데....직박구리란 늠이 글쎄 목욕을 하면서 나와 눈이 마주쳤는데도

웬걸, 나를 무서워 하지않고 여유를 부린다.

물에다가 머리를 푹 잠궜다가 부르르 털어내고는

여유있게 푸르르 날아간다.

일순 나는

<목욕비는 안내고 가냐?>

하고 큰 소리로 죠크를 했는데,

알아들었는지, 내 혼자만의 독백에 머물었는지 모르겠지만

 

저늠이 필시 나를 잘 안다는 그런 싸인 같다.

담장에 새모이를 얹어 놓는다든지  겨울 눈쌓였을 때 절집 어느 스님처럼

쇠고기 기름을 매달아 놓아주기도 했으니....

 

내가 직박구리란 정확한 이름을 안 것은 얼마되지 않는다.

봄이면 돼지 멱따는 소리가 아니라....새 멱따는 소리로 우는 게 너무 듣기 싫어서

저건 무슨 새일까? 이름이 뭘까 했더니 직박구리란다.

직박구리

이름마저 되게 구질구질하게 붙여졌다.

직박구리가 뭐람!!!

@.@

 

 

이런 이런....

난 직박구리를 여태 어치로 착각하고 있었다.

그랬는데...요즘 들어 우리집 마당에도 새벽부터 찾아와서는 찌익찌익 울어대다가

그 실체를 내게 들켜버렸다.

<헉, 네가...설마 네가 그 울음소리를...?>

어쩌랴 내가 무식해서 새모습과 울음소리를 함께 상관짓지 못해서 생긴 오해였음을...

 난 직박구리를 몇 년전 처음 만나고는 어치(산까치)인줄로만 알았다.

어치는 여러가지 새울음을 낸다고 들었다.

영낙없이 어치로 알고 사랑해서 그림까지 그려주었던 늠인데....ㅎㅎ

 

 이 사진은 봄을 맞아

게를 먹으려고 들린 영덕 삼사해상공원

통나무팬션에서 찍은 직박구리 모습이다.

 

 

좋지도 않은 카메라지만 

움직이는 동물만보면 손이 후덜덜 떨리는 수전증이 도지는데... 

 

 

 그 당시 용하게도 제대로 찍었다.

비록 똑딱이였지만...

 

 

요즘 직박구리 개체수가 부쩍늘었다.

까치가 많이 사라지더니 그 빈자리에 직박구리가 채워지는 모양이다.

이늠 역시나 까치처럼 과수에 해를 끼치는 새라는데....

 

까치의 깍깍 소리가 훨씬 듣기에 낫지

직박구리의 끼익끼익....소리는 정말 듣기싫다.

도대체 이늠 목소리는 왜 그럴까?

 

검색을 해도 이늠의 특징인 묘한 울음을 논한 글은 어디에도 없다.

목욕을 좋아한다는 네티즌 글들이 올라와 있지만...

 

 

백과사전 

'청색직박구리류'(greenbul)와 '갈색직박구리류'(brownbul)라고 불리는 조류를 포함한다. 몸길이가 14~28㎝이다. 활동적이며 소란스런 단조로운 색깔을 보이는 조류로 과수원에 해를 입히기도 한다. 직박구리속(―屬 Pycnonotus)에 속하는 47종 중 대표적인 조류는 몸길이가 18㎝ 정도의 회갈색을 띤 아프리카직박구리(P. barbatus:P. xanthopygosP. tricolor를 포함하기도 함)이다. 인도와 중국 남부가 원산지이며, 오스트레일리아와 플로리다 주 남부에 도입된 붉은수염직박구리(P. jocosus/Otocompsa jocosa)와 파키스탄에서 자바(원산지)와 피지 군도(도입종)에 분포하는 붉은배직박구리(P. cafer/Molpastes cafer) 등의 조류도 포함한다. 아프리카직박구리속(Phyllastrephus)의 22종은 아프리카의 열대에 흔하며 아시아 남서부에는 핀치부리직박구리속(Spizixos)이,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리까지에는 흰목직박구리(Criniger flaveolus)가 분포한다. 몸길이가 25㎝ 정도로 큰 종 중의 하나인 검은직박구리(Hypsipetes madagascariensis/Microscelis madagascariensis)는 마다가스카르, 인도양 군도, 아시아 남부에서 동쪽으로 타이완에 걸쳐 분포하는데 회색과 흑백을 띠는 종류가 있다.

 

 

 착각한 '어치'의 참모습은??

 

 

 

 

 

인터넷 검색을 할 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울음소리나 비상하는 모습을 의성어나 의태어로도

나타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영어단어 발음법처럼 클릭하면 그 새의 울음소리도 직접 들을 수 있다면

이 또한 더 바랄 바 없지 않을까 싶다.

언제쯤이면 그럴 날이 올까?

 

이요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