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본사 방문겸 휴가겸 겸사겸사 떠난 길이었다.

공항에 내리자 마자 한국농어촌공사 제주본사로 직행, 택시를 탔는데 날씨는 분명 해가 났는데도 비가 내리는 이상한 날씨다.

이런 날씨를 일컬어 햇살이 한창인 여름하늘에 갑자기 쏟아지는 비. ‘호랑이가 장가가는 날’ 혹은 ‘여우가 시집가는 날’

택시기사가 씨익 웃으시며 제주도 날씨는 변덕이 심해 늘 이렇다고 한다.

제대로 비가오는날은 바람이 몰아쳐서 비온다는 표현보다는 비바람친다는 표현을 쓴다는데~ 제주도 여름 날씨는 우산을 지참하는 게 좋단다.

 

어차피 공항에서 한 참을 가야 된다고 하니 택시기사분게 제주도 물사정에 대한 질문을 던져보았다.

<비행기타고 오시면서 보셨지요? 마을이 바닷가 쪽으로 몰린 건  제주도 한라산은 화산토라 물을 흡수해 버려서 산에서는 식수를 구하기 어렵고

바닷가쪽으로 용천수(스민물이 다시 솟아오르는 물)가 많이 솟아나고 있어 식수를 해안가에서 조달 허벅에다 날라서 생활을 해서 그래요

허벅에다 길어오는 물로만 의존하던 제주도는 34년 전 1970년대에 상수대가 개통되고 살만해졌어요!>

 

그나마 무수천에 의지 (평소에는 물이 없다가 비오면 많이 생기는 말 그대로 건천,  요즘이사 통상 관광객들은 그저 근심이 사라지는 川이다, 쉽게 부르고 있지만)

5~600mm로 쏟아지면 그 물을 가둬서 농식수로 사용하던 제주도 물의 역사가 서린 川이기도 하다.

 

제주도의 연간 강우량은 국내 평균강우량의 1.4배가 되는 1,872mm로 국내최다우 지역이며,  총강우량의 44% 정도가 지하로 스며들어

제주도의 지하수자원을 형성시켜 주고 있고 전문가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그 양이 700억톤 이상일 것으로 추정하고

부족 농업용수는 지표수를 개발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제주도하면 얼핏 떠오르는 대표 이미지로는 비바리와 물 허벅을 많이 떠 올린다.

그랬던 허벅도 마을에 수도시설이 생기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언제부터 사라지게 되었을까?

제주본사에 들어와 차장님의 말씀을 듣고는 뿌듯한 긍지감이 생겼다.

 

요즘에는 집집마다 상수도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서 볼 수 없는 풍경이지만,

예전에는 아침저녁으로 우물에 가서 물을 길어 오는 것은 나이를 불문하고

여성들의 몫이었다. 제주 지역에서는 물을 긷는 데 사용하는 물동이를 ‘

허벅’이라고 부른다.

 

  제주도 물의 제-1 혁명 

 

제주도는 화산섬 특유의 지형지질 여건상 수자이 개발되지 않던 1970년 이전에는 허벅으로 식수를 날라다 먹는데 의존하던 것을

한림읍 동명리쪽에 최초로 농어촌공사가 동명 지하수 관정  제주도 제 1의 물혁명 이루었다.

 

그러나 제주도 농경지 5400ha 중 2400ha는 농업용수 공급이 원활하지만 3000ha는 개발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적정 계발량의 97%까지 착수! 지하수 관정은 거의 다 진행했다고 보면 된다.

제주도 지하수 개발수위는 상승세를 타는 반면 강우량은 감소세를 보이면서 제주도는 지하수 과다개발 억제 시책과 함께 빗물 이용시설

확충 및 저수지 개발 등의 대체수자원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제주 함덕 송당지구, 농촌용수 개발지구로 농촌용수개발사업을 발주할 예정이며

 옹포지구는 지하수가 풍부하고 군데군데 용천수가 많은 (용천수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글로)지역 특성을 살려 저수지를 개발중이며

성읍지구는 물이 잘 고이는 곳으로 지표수를 이용하는 저수지를 농어촌공사에서 현재 개발 공사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정면에 야자수가 있어 그런지 이국 분위기 물씬 풍기는  한국농어촌공사 전경

 

 제주도 본부 사무실에 들리자 사업계획팀 전광희 차장님, 사업계획팀 홍탁균 계장님이 반가이 맞아주셨다.

이에 필요한 자료도 챙겨 주시면서 옹포지구와 성읍지구는 제주도의 동과 서로 나뉘어져 둘러보기에 좀 불편한 점도 없잖아 있다시며

옹포에가면 서영석 차장님을, 성읍에 가면 박위식 소장님께 먼저 전화를 넣으면 저수지공사현장을 둘러보기에 용이하다시며

일일이 메모를 해주시는 것도 잊지 않으셨다. 제일 중요한 것!! 옹포지구에 가면 용천수를 꼭 확인하고 취재해보라며 일러주셨다.

 

제주본부에서 볼일을 마치고 가족과 합류하기 위해 짧은 만남의 작별을 고했다.

이번 제주도 여행엔 한국농어촌 공사의 시각으로 바라 본 제주도의 물 이야기만 눈에 띌 것 같은 예감에 빠졌다.

제주도'산굼부리'억새밭

 

현무암이나 화산토로 형성된 지질상 이유로 물이 잘 고이지

않는다는 이야기에 불현듯 떠오르는 곳이 있었으니

2004년도에 가 본 억새 군락지 '산굼부리'가 생각이 났다.

분화구지만 물이 전혀 고이지 않고 현무암 사이로 물이

쑥숙 다 빠져 버리는 특이한 지형이다.

◀산굼부리 분화구 

아무리 많은 비가 와도 산굼부리는 모든 물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백록담처럼 물이 고여있질 않다.
굼부리는 화산체의 분화구를 이르는 제주어이다.
마르(maar)형 화구로서 귀중한 존재인 이 굼부리는
보기 드믄 분화구 식물원이기도 하다.

 

가족들과 만나 서귀포에서 점심을 하고 마라도로 가는 배에 올랐다.

마라도는 6년 전에도 다녀갔지만 그새 많이 달라져 있었다.

그 때만해도 한적하고 자전거를 대여해주었는데 이젠 골프 잔디밭을 누비는수많은 골프차량들이 관광객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때문에 도로도 보완되었고...대신 천혜의 자연은 훼손되어지는 듯 그 차이를 보였다.

6년전에 왔을 때 만났던 갯가바위틈에 무성한 백년초와 갯방풍 큰 키의 기름나물등은 신경쓰고 찾아야 보일 듯.....잘 보이지 않았다.

그나마

물공부 좀 했다고 마라도의 물은 어떻게 해결되는지 그 문제가 부쩍 궁금해졌다.

  

마라도의 화장실과 화장실안의 물절약 캠페인로고!

  

주민 60여명이 산다는 마라도의 전력은 태양광설치

Q물은? 해수담수화시설(2009년 완공)로 그나마 식수고민 해결!

 

 

 

 마라도엔 물 웅덩이가 4군데나 있다.

마라도가 무인도였던 것은 무엇보다 식수(食水) 난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마라도에는 샘물이 없다.

따라서 먹는 물은 모두 빗물을 이용하게 된다.  마라도를 거닐다 보면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파 놓은 물 웅덩이가

동서남북으로 4군데나 있는데 이는 주민들이 허드레 물을 쓰기 위해서 빗물을 받아 모아두는 곳이다.

 

 

마실수 있는용천수 (절물약수터) 제주시 봉개동 위치

 제주시가 지정한 제1호 약수터 절물약수터

 

 

 

 

 

 

 

 여행을 자주 다니는 필자에겐 늘 이 점이 매우 궁금했다.

늘 가차이 있는 "삼다수!"

제주도엔 물이 늘 풍족할까? 제주도 지하자원인 식수가

뭍으로까지 와서 이렇게 많이 유통되고 있다는 것에 저으기 놀랐다.

제주도 농산물은 거의 산다수를 먹고 자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그냥 솟구치는 옹포지구 용천수 물과 한라산 빗물을 모으고

그대로 흘러 바다로 나가는 한림지구 지표수를 모아 저수지를

만드는 일이 농어촌 공사에서 진행중인 제주도 물개발 사업이

지금 이 시간에도 쉼없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제주도 물 이야기는 2,3부로 계속 이어집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