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이영도)는 재색을 고루 갖춘 규수로 출가하여
딸 하나를 낳고 홀로 되어 해방되던 해
가을 통영여중 가사 교사로 부임했다.
해방이 되자 고향에 돌아와 통영여중 국어교사가 된
청마의 첫 눈에 정운은 깊은 물그림자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일제하의 방황과 고독으로 지쳐 돌아온 남보다 피가
뜨거운 서른 여덟살의 청마는 스물아홉의 청상 정운을
만나면서 걷잡을 수 없는 사랑의 불길이 치솟았다.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파도야
어쩌란 말이냐임은 뭍같이 까딱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날 어쩌란 말이냐"
통영 앞바다에서 바위를 때리고 있는 청마의 시
'그리움'은 '뭍같이 까딱않는' 정운에게 바친 사랑의
절규였다.
유교적 가풍의 전통적 규범을 깨뜨릴 수 없는 정운이기에
마음의 빗장을 굳게 걸고 청마의 사랑이 들어설 틈을 주지
않았다.청마는 하루가 멀다하고 편지를 쓰고 시를 썼다.
날마다 배달되는 편지와 청마의 사랑 시편들에 마침내
빙산처럼 까딱않던 정운의 마음이 녹기 시작했다.
청마가 정운에게 보낸 편지들은 모두 그대로 시였다.
"내가 언제 그대를 사랑한다던?
그러나 얼굴을 부벼들고만 싶은 알뜰함이
아아 병인양 오슬오슬드는지고".
"덧없는 목숨이여소망일랑 아예 갖지 않으매
요지경같이 요지경같이 높게 낮게 불타는 나의 -노래여,
뉘우침이여". "나의 구원인 정향! 절망인 정향!
나의 영혼의 전부가 당신에게만 있는 나의 정향!
오늘 이 날이 나의 낙명(落命)의 날이 된달지라도
아깝지 않을 정향 "- 52년 6월2일 당신의 마(馬)
끝이 보이지 않던 유치환의 사랑은 갑작스런 죽음으로
끝이 났다.1967년 2월 13일 저녁, 부산에서 교통사고로
붓을 영영 놓게 된 것이다.
"-사랑하는 것은사랑을 받느니 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나니-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
"이렇게 고운 보배를 나는 가지고 사는 것 이다
마지막 내가 죽는 날은 이 보배를 밝혀 남기리라 "
-유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