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은 호국영령의 달이다.

나라를 위해 돌아가신 영령을 기리는 현충일이 있고 우리에겐 잊을 수 없는 아픈 상흔의 6,25 전쟁이 있었던 달이다.

6,25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인민군이 북위 38˚선 이남으로 무력 침공함으로써 남한과 북한 간에 발생한 전쟁으로 62주년이 되었다.

전쟁을 이야기로만 전해들은 아이들은 6,25에 대한 참상을 알지 못한다.

 

용산구에 있는 용산 전쟁기념관을 찾았더니 애 어른 할 것 없이 많은 관람객들로 붐볐고 또한 볼만하게 잘 전시된 곳이라 여겨졌다.

관람료는 무료이고 10인 이상이면 해설사의 도움을 청하면 좋고 아니면 해설사가 있는 단체관람에 슬쩍 묻혀 해설을 들어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조금 이상했다.

왜 전쟁 박물관이 아니고 기념관이라고 할까?

 

전쟁기념관이라는 이름이 정해진 이유는?

첫째, 전쟁이 북침이 아닌 남침인데 왜 기념이 될 수 있는가? 라고 생각하시는 부분에 대한 답변입니다. “기념”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뜻 깊은 일을 잊지 아니하고 생각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즉 기념하는 대상의 긍정․부정적 의미를 떠나

기억하고 의미를 찾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사업회에서 ‘전쟁’과 ‘기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전쟁을 찬양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사실로서 전쟁을 잊

지 않고 기억하게 하고 그 교훈을 인식시킴으로서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갖게 하는데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기념관 회랑에 새겨진 17만 명의 전사자 명단도 이들 호국영령들의 위업을 기리고 넋을 추모하기 위한 것입니다.

 

둘째, 다른 많은 이름 중에서 전쟁기념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전쟁기념관 명칭제정은 기념관 설립준비 당시부터 전쟁기념관, 호국기념관, 군사박물관 등의 명칭을 놓고 각 계층별 설문조사와 공청회 등 다양한 여

론 수렴 과정을 거친 결과 전쟁기념관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의견이 모아져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상정되어 결정되었습니다. 제정이후에도 명칭변경관련 언론보도와 민원이 여러 차례 있어 설문조사 등을 통해 적절성을 검토한 결과 현재의 명칭이 기념관 건립목적과 사업성격

에 가장 부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외국의 예를 보면 영국을 비롯한 프랑스, 독일, 미국, 스페인, 호주 등 선진 각국에서는 대부분 WAR MEMORIAL 또는 WAR MUSEUM이라는 명칭을 사용 하는데 우리말로는 전쟁기념관 또는 전쟁박물관이라는 뜻으로 전쟁기념관이라는 용어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 알고 보니 이제야 이해가 간다.

전쟁기념관은 우리 반만년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호국의 전당이다.

이곳에 와서 전쟁의 스토리를 눈으로 보고  우리 국민의 하나 됨을 익히고 목숨 바쳐 이 나라를 지켜 온 선조들의 애국심이 후손들에게 가슴으로 느껴져 길이 전해진다면 더 이상 바랄 게 없을 것이다.

 

6월 시작되는 무더위와 장마 속에 전쟁기념관으로  역사적 체험을 가족 나들이로 계획해보는 건 어떨까 싶다.

 

임진왜란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

추운겨울 살을에이는 삭풍속의 1,4 후퇴 피난민의 모습

미처 피난을 가지 못한 주민을 괴롭히는 인민군들

인민군에 끌려가지 않으려 숨어지내는 남자들

광안에 그 바닥에도 피신처를 만들고 숨어지내던 사람들

피난처에서는 비록 천막이지만 학교를 세우고 교육을 멈추지 않았다.

야외수업과 천막교실

부상자속출

어린이들은 거지꼴이나 진배없었고

끼니조차 때우기 어려웠다.

피난민들의 비참한 생활상

화장실도 당연 모자라 줄을 서고

어린이들도 비위생적으로 길러졌다.

집이라고는 노숙자나 별반 다름없었으며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아버지는 짐꾼(지겠꾼) 노릇이라도 해야만 했다.

사랑하는 가족의 전사통보를 받고 애통해 하는 가족들

꿀꿀이죽으로 연명하고

전쟁통에 고아가 된 아이들도 부지기수!

남편을 잃은 부인들은 아이들을 위해 길거리에서 풀빵장수등....닥치는대로 일을 했다.

군부대에서 나오는 짠밥으로 다시 끓여 가난한 자들은 주린배를 채우기도 하고...

전쟁시절 피난민들의 생활은 고달픔이었다.

다시는 이런 비극이 되풀이 되지 말아야 한다.

유엔군 전사자 추모비

 

 

 

 

시대별 구분

그밖에도 시대별로 잘 구분되어있었다.

고려시대 고구려시대, 그 시대에는 어떤 전쟁이 있었으며 무기는 어땠을까? 궁금증을 풀어준다.

 

 

 

 

 

 

 

 

 


▼실외에도 비행기 장갑차등이 전시돼있어 볼거리가 많다. 

▲ 옥외전시장

전쟁기념관에는 이 시간에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호국문화공간이자 휴식공간으로 최고의 기념관  그 곳을 찾아보는 호국의 달로 맞이해 보자

 

 

기념관에는 볼거리도 많다.

우리 민족의 정서를 이끌어오고 있는 화랑정신, 백의민족정신, 그리고 우리 국토와 태극기, 금수강산, 우주의 신비 등을 상징적으로 담아 호국의지를 표현하였다. 1993년 작가 서승원의 작품이다. 호국의지를 구성하는 이들 요소들은 애국충정과 민족적 결속을 의미한다. 이들은 하나의 공간안에서 서로 조화(Harmoney)를 이룬다. 실제의 그림을 컴퓨터를 이용, 확대하여 천장 원통형 면에 설치하였다.

 

* 개인의 느낌으로는 호국영령의 혼들이 눈동자처럼 우리 민족을 지켜보고 보호해주는 모습으로 생각되는

 느낌이 들어 아주 좋았습니다.

 



 


보다 아늑하고 쾌적하게 리모델링한 의무실수유실이 실내전시실 입구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찾아오시는길

기차

- 서울역에서 지하철 4호선타고 삼각지역(1번 출구) 하차, 도보 5분 거리

 

지하철

- 4호선 삼각지역 1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 6호선 삼각지역 11,12번 출구에서 도보로 3분 거리


- 1호선 남영역에서 내려 도보로 10분 거리

 

시내버스

- 전쟁기념관 정문/후문앞, 국방부 앞에서 내림
- 정문 110B, 740, 421 - 파랑간선
- 삼각지역 149, 150, 151, 152, 500, 501, 502, 504, 506, 507, 605, 750A, 750B, 751, 752 - 파랑간선
 6001 - 공항버스, 용산03 - 마을버스

 

승용차

- 이태원, 반포방면에서는 동문으로 진입
- 노량진, 신촌, 서울역 방면에서는 북문으로 진입

 

전쟁기념관은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유모차와 휠체어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기념관 안내데스크에 신분증을 맡기시면 무료로 대여해 드립니다.

다만

유모차는 안전사고 방지와 다른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24개월 미만 유아에게만 대여해 드리고 있으며,

유모차와 휠체어 모두 실내 전시장에서만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주말처럼 이용객이 많을 때에는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차량을 이용하여 오시는 관람객께서는 가지고 오실 것을 권합니다.

관람 시간 

09:00~18:00 (17:00까지 입장 가능)

 

관람요금/무료

 

주차요금

구분  요금


소형차
(15인승이하)  - 관람 및 일반차량 : 2시간까지 2,000원
- 웨딩홀 하객차량 : 2시간까지 2,000원
- 초과 30분당: 1,000원


중/대형차
(16인승이상)  - 관람 및 일반차량 : 2시간까지 10,000원
- 초과 30분당: 3,000원


기념관 주소 : 140-021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9(용산동1가)
문의전화/FAX : (02)709-3139, 3114 / (02)709-3100
단체관람예약 : (02)709-3139
단체식사예약 : 뮤지엄카페(한식,분식,양식) (02)709-3221~2

 

 

 

 

전쟁기념관 캐릭터 '무돌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