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여행중에 만난 이 그림 앞에서 순간 나는 세한도를 느꼈다.
그리고 아래 작품 설명을 읽고는 세한도와의 교감을 알고 나 자신이 대견해서 무척 기뻤다.
청맹과니 내 눈에도 애써 세한도와 연관을 짓다니..... 이 아니 흐믓한 일인가?
그 것도 바로 두 작품 다 제주도와 그리고 추운 겨울 따뜻한 茶 한 잔이 떠 올려지는 그림들이니....
세한송, 이 그림은 제주도 [오설록]전시관에서 내가 만나 본 그림이다.
아마도 소장은 태평양화학이 틀림없을터~~
그 그림을 녹차와 걸맞게 소장해 준 것이 고마울 따름, 꼭 적재적소에 와 있는 느낌에,
설록차와 세한송, 연이어 세한도까지 떠 올리게 하는....푸른 녹차밭 그 속에 자리잡은 [o'sulloc 오설록 뮤지엄]館
매화를 닮은 녹차꽃이 제주도 맵찬 바람속에 하이얗게 피어나고 있었다.
*사진을 클릭~` 크게 하신 후 글을 읽으시면 됩니다.
내게는 입수된지 오랜 추사 김정희님의 난그림이 한 점, 있는데... 보시는 분들은 이 그림이 혹시나 가짜가 아닐까 염려 않으셔도 된다. 왜냐면 믿을만한 데서 나온 영인본이기 때문이다. 잘모르지만 그의 간결한 붓 끝에서 김정희의 선비다운 교양과 인품을 나는 어렴풋이 느낄 수 있기에, 무시로 이 그림 앞에 서면 마음을 가다듬고 눈길로 붓 끝을 따라 허공에다 난을 쳐 본다. /이요조
o'sulloc 오설록
설록차 뮤지엄 오설록 (064)794-5312. http://www.osulloc.co.kr/museum/mu_intro.jsp
아랫글은 조선후기 서화가 김정희(金正喜)편/펌글입니다.
|
|
세 한
도
한때 초막에서 샘물 길어 차 달이노라
때는 동지섣달 긴긴 밤
차거운 달빛이 문풍지 뚫고
소나무 그림자 청한(靑寒)한
기운 일으키고
돌샘물 길어 차 마시던 추사(秋史)의 넋은
제주도 거센 바람되어 머물고
돌 여자 바람이 많아
삼다(三多)
거지 도둑 문이 없어 삼무(三無)
바람 홍수 가뭄이 심해 삼재(三災)의 땅
유배지 탐라에는 아직도 칼바람이
부는데
정한(情恨)이 많아 애틋한 제주에
청풍명월로 머물고 있나니
돌하르방으로 지켜보고 있나니
윤효선(소암)
서귀포? 모사찰, 좀 떨어진 경내에서 |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그림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흐의 'starry night'와 나의 사진 (0) | 2005.08.09 |
---|---|
2002년 쓴 글 하나 (0) | 2004.12.29 |
완당세한도/윗글의 부록편 (0) | 2004.11.27 |
시인의 날개를 단 샤갈 (0) | 2004.09.08 |
★샤갈/펌 그외 자료들 (0) | 200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