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미술을 정기구독하고 예술적으로 편집된 것 같은,
'네이버'란 잡지를 포켓사이즈로 인터넷 주문하고.....
(포켓싸이즈는 가격이 현저히 싸므로)EBS 화요일 오후 9시 20분 '이주헌의 미술기행"을 시청한답니다내가 그림을 알고자하는 知慾에 대해서 용을 쓰는 한계에 머문
방편들이지요.아이들 셋 중에 둘은 그림을 아주 잘 그렸습니다. 하나는 전혀 아니지만,둘은 글짓기와 그리기에 조금 남 다른 재능을 보였지요.
하나는 그리기 쪽으로
조금 더 낫고 또 하나는 글짓기 쪽으로...그러면서도 두 가지를 잘 해냈지만, 나는 그만...또 다른 각오를 해야했습니다.그런데 난, 글짓기를 더 잘하는 아이의 재능을 가위로 싹둑 잘라 내버렸고그리기를 아니..놀라운 색채감이 있던 아이의 재능은 지우개로 빡빡 문질러
지워버리고 말았습니다. 아직 그 뿌리의 상흔은 남아있는지 모르겠지만....자르고 지우고, 자르고 지우고의 반복의 愚를 범했던? 그 이유는 다음에나
써야겠습니다.누구에게나 본능은 잠재해 있습니다.
그 것을 어떻게 끄집어(개발) 내느냐의 차이일 뿐,
신석기 시대 동굴벽화에서 우리는 종종 그 시대의 사냥감인 짐승들을 봅니다.
바로 그 그림이 일종의 주술적인 목적으로 그린 것이랍니다.
벽에다 사냥감을 그려놓고 활을 던져 어떤. 주술과도 같이 용맹을 줄거라
믿어 담력을 길러내고 활을 맞는 그림의 짐승은 힘이 빠질 것 같은.....
그런 뜻으로...그려진 것이 라네요.
중세기 그림에서 신화를 그대로 인용한 그림을 많이 보게됩니다.
신화를 알고 난 후 그림을 보면,,,얼마나 재미있는지 모릅니다.
최초의 회화를 표현한 그림, 누구의 그림인지...이름을 잊었습니다.
그 그림은 언뜻 보면 남자가 그냥 앉아있고 젊은 아가씨가 붓을 들고 있습니다.
뜻을 모르면 그저 그런 그림입니다. 그런데...그 속 깊은 그림의 사정은
사랑하는 연인의 젊은 청년이 죽었답니다. 처녀는 너무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앞으로 그를 그리워할...무서운 아픔을 먼저 생각해 내고 그를 그렸답니다.
벽으로 끌고 가서 그림자가 벽에 잘 나타나도록 등잔을 갖다 놓고 그의 옆얼굴이
선명한 그림자의 선을 따라 그의 옆얼굴 선을 그리는 것이랍니다.
그 그림이 최초의 회화를 표현한 그림이라 하는군요.
그리고 그림 이해를 돕는 해프닝 이야기 하나...개발도상국에서 있었던 일이랍니다.
사람고기를 판다고 그곳 주민들이 데몬스트레이션을 벌이더랍니다.
알고 본즉 돼지 그림이 그려져 있으면 돼지고기가, 소 그림이 그려져 있으면 쇠고기가,
그런데 아기이유식에 웃는 아기가 그려져 있었으니 그 물건은 사람고기라는 것이었답니다.
우리는 간단한 사람 표정을 그릴 때 웃는 사람은 입이 올라가게 그리고
화 난 사람은 눈이 올라가게 그립니다.
그런데... 여기에도 또 약간의 상이점이 작용합니다.
요즘 젊은이들이 볼 때는 '졸라멘' 같다고 여깁니다. 그렇습니다.
그림을 보았을 때, 사람에 따라서 느낌은 같지 않습니다.
다 다를 수 있다는 말씀입니다.
그런 뜻이라면...주눅드실 필요는 하나도 없습니다.
매끈하고 유연하게 그린 수려한 그림보다 다소 거칠고 어눌해도 마음에 와 닿는 살아 있는
그림들을 우리는 만납니다.
어떤 그림은 따스한 기운으로 어떤 그림은 무섭도록 섬칫한 기분으로 어떤 그림은,
또 다른..언어로..
그럴 때...
마음에 집히는 대로 먼저 느낌을 떠올려 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표현해 보는 것입니다.
그 후에라도 작가의 프로필을 자세히 보고 그 그린 모든 상황을, 그려진 메시지를 읽어
느낌을 보탠다면 더 이상의 금상첨화가 있을 수 없겠지요.
물론 우리는 전문 평론가가 아닙니다. 그저 보고 나름대로 느끼면 그만인 것입니다.
반 고흐의 누런 황금 보리밭을 보고
내 마음에도 바람에 일렁이는 보리밭과 작열하는 프로방스의 태양이 느껴졌다면
이미 당신은 아주 훌륭합니다.
다른 영감이 떠올랐어도 당신은 바라던 바 그림과 아주 가까워진 것입니다.
역시 그의 그림에서
날아가고 있는 까마귀를 보고 그 울음소리를 들리는 듯하다면
그 울음이 전하는 바로 고흐의 심경으로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까마귀가_있는_보리밭* /上그림쌩 레미에서의 생활에 싫증을 낸 고흐는 동생의 추천으로 오베르에 오게 된다. 하지만 오베르에 오게 된 이후부터 그의 외로움은 더 커졌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이 컸다.
그러나 이 시기는 가장 많은 작품을 낸 시기 중의 하나이다.
결과적인 해석일지는 모르나 이 시기의 그림은 그의 불행한 종말을 암시라도 하는 듯
짙은 어둠의 이미지가 강하다. 오베르의 교회에 나타나는 무거운 하늘의 이미지가 그렇고
까마귀가 나는 밀밭의 하늘이 또한 그러하다.
특히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그 역동적인 이미지만큼이나 불길한 이미지도 크게 느껴진다.
바람에 쓰러질 듯 흔들리는 밀밭과 파도 치듯 구부러진 길은
도저히 감내할 수 없는 그의 심리상태를 보는 듯하며,
금방 폭풍우가 몰아칠 듯 무겁게 내려앉은 하늘에서 불길함이 다가온다.
그 속을 날고 있는 까마귀의 존재가 이러한 느낌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그의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이 작품을 남기고 그는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만다.
우리의 그림...우리작가를, 먼저 알자는 큰 뜻이 요즘 화두로 부상됩니다만..저, 역시나...요즘 들어 겨우 '최북'/칠칠이 를 책에서 알았지요...그 보다도 빈센트 반 고흐를 더 먼저 알기에....부끄럽지만그에다가 우선 비유해 드렸습니다.언제...동양화 읽기라도 함께 공부해 보기로 하십시다.쉽게는 김정희의 세한도 정도라도 가려 볼 줄은 알아야겠기에.....東洋畵는 주로 線으로 구성된 담채화로 정신세계를 나타내고 있으며,서양화는 面의 구성된 유채화로 입체감이 뛰어난 극사실에 가깝다는 것만전하고 다음으로 약속드립니다.첨글/이흥로 화백 님도 계신데...심히 부끄럽습니다.미루에서는 요만큼 입니다.(미루나무에 걸린 바람/舊칼럼)넓은 아량으로 보아주시기를....
다음, 아랫글은 제가 2001년 봄 쯤에...모 신문에 난 기사를 옮겨 놓은 것입니다.마침..생각이 나길래 찾아왔습니다.
*추상 미술도 재밌네[펌]*
◆사진설명 : 몬드리안 作‘적 ·황 ·청 ’/下그림
웬만한 교양을 갖춘 사람들에게도 추상미술은 ‘컴플렉스’의 대상이다.
한국 보통 사람들의 그림에 대한 이해는 대체로 인상파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에 온 드니즈 르네의 컬렉션 ‘20세기 추상미술의
빛과 움직임'전은 실물 명작을 감상함으로써 '추상미술 컴플렉스’를
극복할 좋은 기회.
조선일보는 평론가 이주헌씨의 안내로 ‘20세기 추상미술…’전에 나온
명작들의 감상포인트를 살펴보는 ‘추상미술도 재밌네’를 연재한다.
( 편집자 ) 20세기의 전설적인 화상 드니즈 르네가 다뤄온 작품은 주로
‘차가운 추상’이라 불리는 기하학적 추상이다.
내면의 감정을 분출하는 서정적 추상에 비해 한층 이지적으로 보이는
이 미술은 그만큼 더 어렵게 느껴진다.
현대 미술에 대한 깊은 지식이 있어야 비로소 감상이 가능할 듯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상은 무엇보다 나 자신의 느낌을 얻기 위한 행위이다.
바로 이런 자신감을 갖고 현대 추상 미술을 한 번 헤집고 다녀 보자.
그 첫 대상은 추상미술의 시조 가운데 한 사람인 몬드리안이다.
몬드리안의 그림은 대체로 하얀 평면 위에 수직, 수평의 검은 선과
적, 황, 청, 흑의 색면으로 구성돼 있다. 너무나도 단순하다. 어슷비슷한
이 그림들에서 우리는 무얼 봐야 하는 걸까? 보고 있는 걸까?
아니, 흰색은 그 티 없는 순결함으로 모든 것의 시초, 근원이 되어준다.
거기 수평선이 그어져 있다. 그것은 대지, 대양, 바탕 따위를 연상시킨다.
수평선에서 서 있는 나무를 떠올릴 사람이 없듯이 수직선에서 누운 대지를
떠올릴 사람 또한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수직선은 서 있는 모든 것을 대표한다.사람, 나무, 건물 등.
우리는 뜻도 세운다. 뜻이 서야 실천이 있다. 그런 까닭에 수직선에서는
어떤 의지, 생명 같은 것도 느낄 수 있다.
이렇듯 근본적 환경으로서의 수평선과 실천적 의지로서의 수직선이 만나면
그것이 곧 우리가 사는 세상이다.
그렇다면 색면은 그 세상이 빚어낸 역사적, 개인사적, 진화사적 사건들일것이다.
복잡하고 제각각 달라 보여도 세상살이란 다 똑같다. 모든 것의 근원은 같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는 말은 세상의 다름을 이야기하는 화두가 아니라,
세상의 같음을 이야기하는 화두이다.단지 세상의 표정만이 시시때때로 변할 뿐이다.
몬드리안은 구성의 간단한 조정을 통해 그 복잡해 보이는 변화를 손쉽게
‘정식화’했다.그 정리를 통해 몬드리안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 같다.
세상 살아보니 어떻습디까?
커서 결혼하고 애 낳고 늙고 죽고, 별 다를 것 없지요? 우리 쉽고 단순하게 삽시다.
( 미술평론가 아트스페이스서울 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