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것들*한 6~7년 되어가나 보다이 노래를 이어폰으로 듣고 자고...한 적이 있었다.아직도 그 때..멜로디가 자장가처럼 감미롭고 좋았던 그 마음이 되 살아난다.예민의 "아소 아소~~꽃잎이 지는소리~~"도 함께 정말....좋아했었는데... *서리맞은 먹감*-한 자웅이 왜 내 눈에는 행복해보이는 걸까? 감이라면 무조건 좋아하지만...(감꽃... 감잎 낙엽(그 빛깔? 얼마나 고운지 보셨어요?) 겨울 감잎 차,반갑게 만난 이 이미지만은 '의인화' 시키고 싶어졌습니다. 이 음악과 함께-아침에 눈을 떠 제일 먼저 보이는 그곁에 꼬옥 마주 매달려있는밤하늘.. 별을 함께 헤었을그들이 참 부럽다.첫 무서리를 서로의 체온으로부벼대며 서로의 입김으로 지탱했을,그래서 발그레해진 주홍그들 둘만의 사랑빛얼마나 찰까?서리맞은 감이라니뽄새가 없는 먹감이라도 좋다.그들은 둘이니까누구에게도손 타지 않아 좋다좀 외롭지만 아주 높으당한 곳에 매달렸으니,둘이 마주하고 있어 보기 좋다.매일 밤마다 내릴 서리로온기조차 잃은 그들은만추의 볕에도 지쳐 서서히탈진해 갈 터이고그렇게 서로를 꼬옥 안은 채오들오들 떨다가다음 사랑을 약속하며싸늘히 식어가겠지멋 모르고 날아 온눈 먼..까치하나그들 사랑의 내력도 모르고무심히 쪼아만 대겠지.글/ 이요조 ★까치와 감★ 먹감이란 햇볕이 닿는 부분이 까맣게 되는 특징이 있다네요.**감나무 이야기**돌담으로 둘러쳐진 사립문, 마당 구석의 감나무 한 두 그루, 나지막한초가집이 옛 우리 농촌의 풍경이다. 가을이 되어 붉은 감이 주렁주렁 달리고 지붕 위에 달덩이 같은 박이 얹혀지면 짙어 가는 가을의 풍성함이 돋보인다. 더더욱 수확이 끝난 감나무 가지 끝에 한 두개씩 까치도 먹고살라고남겨 놓은 '까치밥'은 우리 선조 들의 따뜻한 속마음을 보는 것 같다. 감에는 타닌이 들어있어서 단감이 아닌 이상 그대로는 먹기 어렵다. 껍질을 벗겨 말린 곶감(乾枾)으로 먹거나 따뜻한 소금물에 담가 삭히기도 하고 아예 홍시를 만들기도 한다.동의보감에 의하면 '곶감은 몸의 허함을 보하고 위장을 든든하게 하며체한 것을 없애준다. 또 주근깨를 없애주고 어혈(피가 모인 것)을 삭히고목소리를 곱게 한다'고 하였으며 '홍시는 심장과 폐를 눅여주며 갈증을 멈추게 하고 폐와 위의 심열을 치료한다. 식욕이 나게 하고 술독과 열독을풀어주며 위의 열을 내리고 입이 마르는 것을 낫게 하며 토혈을 멎게 한다'고 하여 감은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옛 사람들의 중요한 약재였다.민간에서는 감이 설사를 멎게 하고 배탈을 낫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이유는 바로 타닌 성분인데 수렴(收斂)작용이강한 타닌은 장의 점막을 수축시켜 설사를 멈추게 한다. 과음한 다음날 아침 생기는 숙취의 제거에도 감은 좋은 약이 된다. 이는 감속에 들어있는과당, 비타민C 등이 체내에서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주기 때문이다.제주도에서는 '갈중이' 혹은 '갈옷'이라 부르는 옷을 무명에 감물을 들여 만든다. 감물이 방부제 역할을 하여 땀 묻은 옷을 그냥 두어도 썩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통기성이 좋아 여름에는 시원할 뿐만 아니라, 밭일을 해도 물방울이나 오물이 쉽게 붙지 않고 곧 떨어지므로 위생적이다. 갈옷의 정확한 역사와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중국 남쪽에도 갈옷을 입은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몽고의 지배를 받던 고려 충렬왕 때 전래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감나무의 쓰임새는 과실만에서 끝나지 않는다. 목재가 단단하고 고른 재질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굵은 나무 속에 검은 줄무늬가 들어간 것을 먹감나무(烏枾木)라 하여 사대부 집안의 가구, 문갑, 사방탁자 등에 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또 골프채의 머리부분은 감나무로 만든 것을 최고급으로 친다.열대지방에도 감나무 무리가 자라고 있으나 과일을 맺지는 않는다. 이중에서 흑단(黑檀, ebony)이란 나무는 마치 먹물을 먹인 것처럼 새까만 나무이다. 그 독특한 색깔 때문에 멀리는 이집트 피라미드의 침상가구에서오늘날 흑인의 얼굴을 새기는 조각품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알려진 고급가구재, 조각재이다.감나무와 고욤나무는 열매가 달리지 않을 때는 구별에 약간 어려움이 있으나 감나무는 잎이 두껍고 작은 손바닥만하고 거의 타원형이다. 고욤나무는 잎이 조금 얇고 작으며 약간 긴 타원형이다. 고욤은 작은 새알 만한 크기인데 먹을 육질은 별로 없고 종자만 잔뜩 들어 있어서 식용으로는 잘 쓰지 않고 감나무를 접붙일 때 주로 밑나무로 쓴다.위 사진은 제가 찍은 것이 아님
*서리맞은 먹감*-한 자웅이 왜 내 눈에는 행복해보이는 걸까? 감이라면 무조건 좋아하지만...(감꽃... 감잎 낙엽(그 빛깔? 얼마나 고운지 보셨어요?) 겨울 감잎 차,반갑게 만난 이 이미지만은 '의인화' 시키고 싶어졌습니다. 이 음악과 함께-아침에 눈을 떠 제일 먼저 보이는 그곁에 꼬옥 마주 매달려있는밤하늘.. 별을 함께 헤었을그들이 참 부럽다.첫 무서리를 서로의 체온으로부벼대며 서로의 입김으로 지탱했을,그래서 발그레해진 주홍그들 둘만의 사랑빛얼마나 찰까?서리맞은 감이라니뽄새가 없는 먹감이라도 좋다.그들은 둘이니까누구에게도손 타지 않아 좋다좀 외롭지만 아주 높으당한 곳에 매달렸으니,둘이 마주하고 있어 보기 좋다.매일 밤마다 내릴 서리로온기조차 잃은 그들은만추의 볕에도 지쳐 서서히탈진해 갈 터이고그렇게 서로를 꼬옥 안은 채오들오들 떨다가다음 사랑을 약속하며싸늘히 식어가겠지멋 모르고 날아 온눈 먼..까치하나그들 사랑의 내력도 모르고무심히 쪼아만 대겠지.글/ 이요조 ★까치와 감★ 먹감이란 햇볕이 닿는 부분이 까맣게 되는 특징이 있다네요.**감나무 이야기**돌담으로 둘러쳐진 사립문, 마당 구석의 감나무 한 두 그루, 나지막한초가집이 옛 우리 농촌의 풍경이다. 가을이 되어 붉은 감이 주렁주렁 달리고 지붕 위에 달덩이 같은 박이 얹혀지면 짙어 가는 가을의 풍성함이 돋보인다. 더더욱 수확이 끝난 감나무 가지 끝에 한 두개씩 까치도 먹고살라고남겨 놓은 '까치밥'은 우리 선조 들의 따뜻한 속마음을 보는 것 같다. 감에는 타닌이 들어있어서 단감이 아닌 이상 그대로는 먹기 어렵다. 껍질을 벗겨 말린 곶감(乾枾)으로 먹거나 따뜻한 소금물에 담가 삭히기도 하고 아예 홍시를 만들기도 한다.동의보감에 의하면 '곶감은 몸의 허함을 보하고 위장을 든든하게 하며체한 것을 없애준다. 또 주근깨를 없애주고 어혈(피가 모인 것)을 삭히고목소리를 곱게 한다'고 하였으며 '홍시는 심장과 폐를 눅여주며 갈증을 멈추게 하고 폐와 위의 심열을 치료한다. 식욕이 나게 하고 술독과 열독을풀어주며 위의 열을 내리고 입이 마르는 것을 낫게 하며 토혈을 멎게 한다'고 하여 감은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옛 사람들의 중요한 약재였다.민간에서는 감이 설사를 멎게 하고 배탈을 낫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이유는 바로 타닌 성분인데 수렴(收斂)작용이강한 타닌은 장의 점막을 수축시켜 설사를 멈추게 한다. 과음한 다음날 아침 생기는 숙취의 제거에도 감은 좋은 약이 된다. 이는 감속에 들어있는과당, 비타민C 등이 체내에서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주기 때문이다.제주도에서는 '갈중이' 혹은 '갈옷'이라 부르는 옷을 무명에 감물을 들여 만든다. 감물이 방부제 역할을 하여 땀 묻은 옷을 그냥 두어도 썩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통기성이 좋아 여름에는 시원할 뿐만 아니라, 밭일을 해도 물방울이나 오물이 쉽게 붙지 않고 곧 떨어지므로 위생적이다. 갈옷의 정확한 역사와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중국 남쪽에도 갈옷을 입은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몽고의 지배를 받던 고려 충렬왕 때 전래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감나무의 쓰임새는 과실만에서 끝나지 않는다. 목재가 단단하고 고른 재질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굵은 나무 속에 검은 줄무늬가 들어간 것을 먹감나무(烏枾木)라 하여 사대부 집안의 가구, 문갑, 사방탁자 등에 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또 골프채의 머리부분은 감나무로 만든 것을 최고급으로 친다.열대지방에도 감나무 무리가 자라고 있으나 과일을 맺지는 않는다. 이중에서 흑단(黑檀, ebony)이란 나무는 마치 먹물을 먹인 것처럼 새까만 나무이다. 그 독특한 색깔 때문에 멀리는 이집트 피라미드의 침상가구에서오늘날 흑인의 얼굴을 새기는 조각품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알려진 고급가구재, 조각재이다.감나무와 고욤나무는 열매가 달리지 않을 때는 구별에 약간 어려움이 있으나 감나무는 잎이 두껍고 작은 손바닥만하고 거의 타원형이다. 고욤나무는 잎이 조금 얇고 작으며 약간 긴 타원형이다. 고욤은 작은 새알 만한 크기인데 먹을 육질은 별로 없고 종자만 잔뜩 들어 있어서 식용으로는 잘 쓰지 않고 감나무를 접붙일 때 주로 밑나무로 쓴다.위 사진은 제가 찍은 것이 아님
★까치와 감★ 먹감이란 햇볕이 닿는 부분이 까맣게 되는 특징이 있다네요.**감나무 이야기**돌담으로 둘러쳐진 사립문, 마당 구석의 감나무 한 두 그루, 나지막한초가집이 옛 우리 농촌의 풍경이다. 가을이 되어 붉은 감이 주렁주렁 달리고 지붕 위에 달덩이 같은 박이 얹혀지면 짙어 가는 가을의 풍성함이 돋보인다. 더더욱 수확이 끝난 감나무 가지 끝에 한 두개씩 까치도 먹고살라고남겨 놓은 '까치밥'은 우리 선조 들의 따뜻한 속마음을 보는 것 같다. 감에는 타닌이 들어있어서 단감이 아닌 이상 그대로는 먹기 어렵다. 껍질을 벗겨 말린 곶감(乾枾)으로 먹거나 따뜻한 소금물에 담가 삭히기도 하고 아예 홍시를 만들기도 한다.동의보감에 의하면 '곶감은 몸의 허함을 보하고 위장을 든든하게 하며체한 것을 없애준다. 또 주근깨를 없애주고 어혈(피가 모인 것)을 삭히고목소리를 곱게 한다'고 하였으며 '홍시는 심장과 폐를 눅여주며 갈증을 멈추게 하고 폐와 위의 심열을 치료한다. 식욕이 나게 하고 술독과 열독을풀어주며 위의 열을 내리고 입이 마르는 것을 낫게 하며 토혈을 멎게 한다'고 하여 감은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옛 사람들의 중요한 약재였다.민간에서는 감이 설사를 멎게 하고 배탈을 낫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이유는 바로 타닌 성분인데 수렴(收斂)작용이강한 타닌은 장의 점막을 수축시켜 설사를 멈추게 한다. 과음한 다음날 아침 생기는 숙취의 제거에도 감은 좋은 약이 된다. 이는 감속에 들어있는과당, 비타민C 등이 체내에서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주기 때문이다.제주도에서는 '갈중이' 혹은 '갈옷'이라 부르는 옷을 무명에 감물을 들여 만든다. 감물이 방부제 역할을 하여 땀 묻은 옷을 그냥 두어도 썩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통기성이 좋아 여름에는 시원할 뿐만 아니라, 밭일을 해도 물방울이나 오물이 쉽게 붙지 않고 곧 떨어지므로 위생적이다. 갈옷의 정확한 역사와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중국 남쪽에도 갈옷을 입은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몽고의 지배를 받던 고려 충렬왕 때 전래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감나무의 쓰임새는 과실만에서 끝나지 않는다. 목재가 단단하고 고른 재질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굵은 나무 속에 검은 줄무늬가 들어간 것을 먹감나무(烏枾木)라 하여 사대부 집안의 가구, 문갑, 사방탁자 등에 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또 골프채의 머리부분은 감나무로 만든 것을 최고급으로 친다.열대지방에도 감나무 무리가 자라고 있으나 과일을 맺지는 않는다. 이중에서 흑단(黑檀, ebony)이란 나무는 마치 먹물을 먹인 것처럼 새까만 나무이다. 그 독특한 색깔 때문에 멀리는 이집트 피라미드의 침상가구에서오늘날 흑인의 얼굴을 새기는 조각품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알려진 고급가구재, 조각재이다.감나무와 고욤나무는 열매가 달리지 않을 때는 구별에 약간 어려움이 있으나 감나무는 잎이 두껍고 작은 손바닥만하고 거의 타원형이다. 고욤나무는 잎이 조금 얇고 작으며 약간 긴 타원형이다. 고욤은 작은 새알 만한 크기인데 먹을 육질은 별로 없고 종자만 잔뜩 들어 있어서 식용으로는 잘 쓰지 않고 감나무를 접붙일 때 주로 밑나무로 쓴다.위 사진은 제가 찍은 것이 아님
감에는 타닌이 들어있어서 단감이 아닌 이상 그대로는 먹기 어렵다. 껍질을 벗겨 말린 곶감(乾枾)으로 먹거나 따뜻한 소금물에 담가 삭히기도 하고 아예 홍시를 만들기도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곶감은 몸의 허함을 보하고 위장을 든든하게 하며체한 것을 없애준다. 또 주근깨를 없애주고 어혈(피가 모인 것)을 삭히고목소리를 곱게 한다'고 하였으며 '홍시는 심장과 폐를 눅여주며 갈증을 멈추게 하고 폐와 위의 심열을 치료한다. 식욕이 나게 하고 술독과 열독을풀어주며 위의 열을 내리고 입이 마르는 것을 낫게 하며 토혈을 멎게 한다'고 하여 감은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옛 사람들의 중요한 약재였다.
민간에서는 감이 설사를 멎게 하고 배탈을 낫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이유는 바로 타닌 성분인데 수렴(收斂)작용이강한 타닌은 장의 점막을 수축시켜 설사를 멈추게 한다. 과음한 다음날 아침 생기는 숙취의 제거에도 감은 좋은 약이 된다. 이는 감속에 들어있는과당, 비타민C 등이 체내에서 알코올의 분해를 도와주기 때문이다.
제주도에서는 '갈중이' 혹은 '갈옷'이라 부르는 옷을 무명에 감물을 들여 만든다. 감물이 방부제 역할을 하여 땀 묻은 옷을 그냥 두어도 썩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통기성이 좋아 여름에는 시원할 뿐만 아니라, 밭일을 해도 물방울이나 오물이 쉽게 붙지 않고 곧 떨어지므로 위생적이다. 갈옷의 정확한 역사와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중국 남쪽에도 갈옷을 입은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몽고의 지배를 받던 고려 충렬왕 때 전래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감나무의 쓰임새는 과실만에서 끝나지 않는다. 목재가 단단하고 고른 재질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굵은 나무 속에 검은 줄무늬가 들어간 것을 먹감나무(烏枾木)라 하여 사대부 집안의 가구, 문갑, 사방탁자 등에 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또 골프채의 머리부분은 감나무로 만든 것을 최고급으로 친다.
열대지방에도 감나무 무리가 자라고 있으나 과일을 맺지는 않는다. 이중에서 흑단(黑檀, ebony)이란 나무는 마치 먹물을 먹인 것처럼 새까만 나무이다. 그 독특한 색깔 때문에 멀리는 이집트 피라미드의 침상가구에서오늘날 흑인의 얼굴을 새기는 조각품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알려진 고급가구재, 조각재이다.
감나무와 고욤나무는 열매가 달리지 않을 때는 구별에 약간 어려움이 있으나 감나무는 잎이 두껍고 작은 손바닥만하고 거의 타원형이다. 고욤나무는 잎이 조금 얇고 작으며 약간 긴 타원형이다. 고욤은 작은 새알 만한 크기인데 먹을 육질은 별로 없고 종자만 잔뜩 들어 있어서 식용으로는 잘 쓰지 않고 감나무를 접붙일 때 주로 밑나무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