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산

 

 

아리랑에 대한 소고(少考)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아리랑~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이 무슨 고약한 심보란 말인가.
너, 나 버리고 가지. 그래, 얼마나 잘 사나보자. 고렇게는 잘 안될 걸?
내 심보야말로 두어번 꼬였는지 내 귀에는 이런 고약한 심보로 밖에는 들리지 않는 아리랑이다.

물론, 나를 떠난 님에 대한 애증이 묻어나고 어쩌면 그래서 한이 묻어나는 그리움의
노래라고도 할 수 있을것이다.
아, 또 이 한(恨)이라는것에 대해서도 난 아주아주 많은 이의를 품고 있는 사람이다.
아니, 노래자체에 이의가 있는게 아니라
그 노래가 우리나라를 대표한다는 것에 이의가 있는것이다.
어디서 줏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태교음악으로 어떤 음악을 들어도 좋지만
국악만은 제외하라는 말을 들었다. 국악에는 한이 스며있어서 그렇다나.
모든 국악이 다 그렇지는 않지만 내딴에는 일리있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배창호 감독은 '(情)이라는 영화를 만들면서 한국인의 보편적인 정서는 한(恨)이
아니라 정(情)으로 파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다.

사실 영화를 보면 정으로 가장한 한을 그린 영화같기는 하다.
그러나 그 감독의 말에는 100% 동감이다.
한으로 똘똘뭉쳤다는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
소리를 하려면 한이 있어야 한다며 딸의 눈을 멀게하는 아버지가 나온다.
그렇게 恨 많은 여자가 부른 한이 서린 노래를 태교음악으로 하고 싶진 않을테다.
어쨌거나 배창호감독의 말대로 우리 영화뿐 아니라 우리 음악에도 한이 아닌 정이 넘쳐야 한다.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말은 같은 여자가 들어도 섬뜩하지 않은가.
'그놈의 情때문에!'를 외치는게 난 더 좋다.

2002년 월드컵때 아리랑을 부르는 사람들을 보면서 이런 생각이 다시 한번 강렬하게 들었다.
그러나 한가지는 인정해야겠다.
아리랑은 '대한민국'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나가는 모든 것에 있어서 국민들간에 응집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그리고 또 하나.
좋게 말하면 恨과 애증(愛憎)이 섞인 그리움,
내식으로 굳이 리폼(reform)해서 말하자면 저 처량맞고 청승맞고 고약한 노래를
부르는 방식을 달리하면 다르게 들릴 수도 있다는 사실,
그래서 작년 월드컵때 윤도현밴드가 아리랑을 불렀을때 꽤나 신선했었다.
내 귀에는 처량맞고 청승맞고 고약하게 들리는 아리랑을 저렇게도 부를 수 있구나,
하며 얼마나 놀라워했던가.
한을 품지 말고.. 정을 품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하여..

나는 오늘도..
情恨이란 단어에서 恨이란 단어는 뉘 고르듯 분리시켜
情만 골라서 내 가슴에 심고 싶다.

비님 오시는 날 촉촉한 가슴땅에 파종하리라~~~

.
.
.
.
예?
한이 없으면..깊은 정한이 우러나지 않는다구요?
글쎄요..........
그 것도 맞는 말씀이예요.
ㅎ~~~ 맞구 말구요!
"비오는 날 먼지나도록 맞는다" 는
속담이 갑자기 생각나서 그만..





.........................................................................................................

[아리랑이란?]


 

남녀 노소 사이에서 가장 널리 애창되는 이 노래의 기본 장단은 세마치장단으로
우리의 정서에 알맞고, 내용도 한말(韓末)에서 일제강점기를 통하여 이 겨레의
비분을 표백(表白)한 것으로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별조(別調)아리랑이 불리며,
장단과 사설(辭說)도 매우 다양하다.

 

 

예전에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이신 신용하교수님께서 아리랑의 의미를 동아일보에 연재하신 적이 있습니다.

그 내용..
              

‘아리랑’의 ‘아리’의 첫째 뜻은 ‘고운’의 뜻
이고, ‘랑’의 뜻은 ‘님’이다. ‘아리’가 고대 한국에서 ‘고운’ ‘곱다’ ‘아름다운’ ‘아름답다’의 뜻으로 쓰인 흔적은 현대 한국어에서 ‘아리따운’(아리+다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몽골어에서 ‘아리’는 아직도 ‘고운’ ‘곱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 아리랑’의 첫째 뜻은 ‘고운님’이다.


‘아리’의 둘째 뜻은 ‘(사무치게) 그리운’의 뜻
을 담고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 (마음이) ‘아리다’의 동사는 사랑에 빠져 상사병에 걸렸을 때나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때의 표현이다. 이것이 형용사가 되면 ‘아리’는 상사병이 나도록 ‘사무치게 그리운’의 뜻이 된다. 이때의 ‘아리랑’은 ‘(사무치게) 그리운 님’의 뜻이다.


‘쓰리랑’은 ‘아리랑’의 둘째의 뜻과 동의어 또는 유사어이다. 마음이 ‘쓰리다’는 마음이 ‘아리다’와 유사어이다. 즉 ‘쓰리랑’은 마음이 아리고 ‘쓰리도록 그리운 님’인 것이다. ‘랑’은 한자로서 삼국시대에는 ‘낭(郞)’자를 써서 젊은 남녀를 모두 표현했다.


통일신라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는 남녀를 구분하여 남자는 주로 ‘郞’자, 여자는 ‘娘’자로 표시하였다. 발음은 모두 ‘랑’이며, 뜻은 ‘님’이다. 신라 향가(鄕歌)의 죽지랑(竹旨郞), 기파랑(耆婆郞) 등이 좋은 예이다.


‘아라리’는 근 현대에 뜻을 몰라 잃어버린 말인데, 필자는 이를 ‘상사병’의 고대 한국어라고 판단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상사병을 나타내는 ‘가슴아리’(가슴앓이)에서 그 흔적이 어렴풋이 보인다. ‘쓰리다’를 강조할 때 ‘쓰라리다’라고 강조사 ‘라’를 넣는 것처럼 ‘가슴아리’는 ‘가슴아라리’ ‘아라리’와 같다.


‘삼국유사’ 등에는 상사병에 걸린 사랑 이야기가 몇 개 나오는데, 상사병에 해당하는 순수고대 한국어를 한자가 수입된 뒤 언젠가 그만 잃어버린 것이다. 민요 ‘아리랑’에 들어있는 ‘아라리’가 바로 ‘상사병’의 순수 한국어인 것이다.


‘아리랑’ ‘아라리’ 등의 용례로 보아서 필자는 ‘아리랑’은 먼 옛날 삼국시대에 애창된 노래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 후 수많은 변천을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는 동안에 ‘아리랑’ ‘아라리’의 뜻은 모르게 되었지만, ‘앞소리’ 또는 ‘후렴’으로 지금도 애창되는 것이라고 본다.


‘아리랑’이 뜻도 모른 채 일천수백 년을 내려온 것은 이 고대어 속에 현대어로는 치환할 수 없는 절묘한 뜻과 멋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현대 한국어는 이미 분화되어서 ‘고운님’과 ‘(사무치게) 그리운 님’을 복합한 1개 단어가 없어지게 되었다. 그런데 사랑에 빠지면 ‘고운님’과 ‘(사무치게) 그리운 님’은 둘이 아니라 하나로 복합된다. 그러니 ‘아리랑’을 대체할 현대 한국어는 없는 것이다.


그 위에 ‘아리랑’과 ‘아라리’는 뜻과 소리에서 실로 절묘한 운율 대응을 이루어서, 기막히게 멋진 표현인 것이다. 현대 한국어로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의 이 멋있는 절묘한 표현을 도저히 대치할 수 없는 것이다.


구태여 현대 한국어로 리듬을 접어두고 번역하면,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는 “곱고 그리운님/곱고 그리운님/(상사병이 나도록) 사무치게 그리워라”의 뜻이다. 또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는 “곱고 고운님/그립고 그리운님/(사무치게 그리워) 상사병이 났네” 의 뜻이다.


노랫말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는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간다”의 표현을 운율에 맞추어 ‘아리랑’ 다음의 토씨를 생략한 것이다. “곱고 그리운 님이 고개를 넘어간다”는 뜻이다. 한국전통사회에서 마을공동체의 활동범위를 차단하는 것은 ‘고개’였다. ‘고개’를 넘어가는 것은 다시 만나기 어려운 공간으로의 ‘이별’을 의미했다.


“아리랑이 고개를 넘어간다”는 것은 “곱고 그리운 님과의 가슴아픈 이별”을 뜻하는 것이다. 그런데 ‘아리랑’의 뜻을 모르게 된 이후에는 ‘아리랑’이 고개이름인 줄 알고 ‘아리랑고개’로 생각하여 다수의 가사들이 지어지기도 하였다
내용출처: 동아 일보

소요산

 

사진은 둘 다 어제 찍은 소요산입니다.

'Family net > $cont.escTit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표가 바뀌었어요.  (0) 2004.07.03
대추나무를 바라보며  (0) 2004.07.02
薄薄酒勝茶湯(박박주 승다탕)  (0) 2004.06.29
陽氣로 뭉친 ' 단오' 이야기  (0) 2004.06.21
술패랭이의 아뜩한 향내~~  (0) 2004.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