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오리나무
제목

[올괴불나무]

나무가 아직 어려선지 꽃이나 열매가 없더군요.
이름표에 아주 우습지만 처음 들어보는 나무 이름인지라 찍어왔습니다. 이름표가 제대로 붙었는지...
[검색]
올아귀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어린 가지는 갈색 바탕에 검은빛 반점이 있으며 묵은 가지는 잿빛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줄기의 속은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이고 길이 3∼6cm, 나비 2∼4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근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5mm이다.

꽃은 3∼5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는데, 묵은 가지 끝에서 길이 2∼3mm의 꽃자루가 나와 2송이씩 달린다. 꽃자루에는 잔털이 나고 선점(腺點)이 있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가운데가 갈라지고 화관은 짧고 5갈래로 갈라지며 위·아랫입술꽃잎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수술은 5개로서 화관보다 약간 길다. 열매는 장과로서 공 모양이고 5∼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주로 심는다.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에 분포한다.



 이용일요조님...뭔가 팻말이 잘못박혀 있었나 보군요...사진은 올괴불나무와는 많이 다른데요.2004/07/01  
 이태규아~ 그렇군요 요조님께서 잘목된 팻말을 보신게 분명하군요. 아래 설명은 맞습니다.2004/07/01  
 이요조지가 그라믄 그러치유,,,, 그 부근 것 언젠가는 다 찍어 올릴랍니다. 역쒸..이氏 님들은 머가 달라도 달러유~~2004/07/02x 
 신흥균얼릉 족보 찾아서...수정해야겠습니다....족보들 찾아주세요~2004/07/02  
 이태규혹시 오리나무 종류 아닙니까 ?2004/07/02  
 이요조그냥 삭제하믄 안될까유?2004/07/02x 
 이요조절대 못잊을 오리나무! 명심하겠습니다.2004/07/02x 
 이요조물오리나무라고 판정이 났습니다.


▲꽃지도에 올린 글

.........................................................................................................

▼Q&A에 올린  글

 

제목: 잘못 오른 이름 좀 제대로 찾아주세요.

 

 


소요산에 등산갔다가 이름표가 하도 우습길래 찍어 왔지요
그래서는 겁도 읍씨..꽃지도에 냉큼 올렸지요. '올괴불나무'라고요
[올괴불나무]
근데..이름표가 잘 못 붙었나봐요. 이태규님은 오리나무 비슷하다시고...
신흥균님은 빨랑 제 이름 붙여놔야 한다시고...
열등생, 버벅거리다 영 낙오생 될 것 같습니다.
부디~~  살려주시기를...



 김은주제 생각에도 오리나무로 보입니다. 고향마을엔 오리나무골이 있는데 그 골에는 오리나무가 많이 있습니다. 오리나무는 나무가지를 손으로 잘라도 똑똑 잘도 부러집니다. 제 눈에는 그 오리나무와 같은데요.2004/07/02  
 이요조은주님.. 그럼 오리나무로 알고 수정하러 갑니다. ㅎ 감사~~2004/07/02x 
 이요조펴엉쌩...이찌모탈....2004/07/02x 
 김귀병요조님의 열성에 갈채를 보냅니다. ^^2004/07/02  
 홍은화아이코코...제가 여기서 딴지를 걸면 거석한 분위기인디...오리나무잎은 이렇게 넓지가 않사옵니다. 혹시 물오리나무라면 몰라도예.. ^^;2004/07/02  
 신흥균그라예~....오리나무는 아닙니다. 산(물)오리나무에 가깝지요...나무껍질을 봐야만 정확히 알겠는데요...보통 오리나무는 산기슭 개울가나 논둑에서 많이 자라고, 산오리나무는 헐벗은 산에 흙이 씻겨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사방용으로 많이 심었거든요...또 사방오리나무는 남부지방에 사방용으로 많이 심어져 있고요...얘는 정확한 판단이 안되네예~2004/07/02  
 박희열물오리가 맞는듯....2004/07/02  
 이요조예, 그렇군요..그럼 [물]자 한자 더 첨부해 놓겠습니다. 여러분,,감사합니다.

.........................................................................................................

 

 

 

http://www.wildflower114.com/

 

 

위엣 글은 제가 잘 가는 [한국 야생화 개발 연구회] 사이트에서 공부한 흔적들 입니다.

그 곳에서는 모든 식물공부를 자연스레 할 수 있어서 참 좋습니다.

 

이젠 몰랐던 식물들 이름을 하나 하나 익혀가면서 식물들을 만나면서 산행을 하니...

그렇게 힘들지만도 않답니다.

식물둘과 교감할 수 있다는 것... 참 좋은 일입니다.

 

먼저 이름하나라도 제대로 불러 줄 수 있다는 것...

그 것으로 시작하려 합니다.

가입한지.. 일년이 되어가는데도 요모양입니다만,

 

 

 

 

참쑥과 개쑥 구분도 제대로 못하는....반풍수/이요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