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면서 우리는 사람을 무수히 만난다.
그렇 듯 한국 여행지에는 곳곳마다 그 지방의 절집이 있다.
정말 많은 절을 만나고...시큰둥하게 그냥 지나치는가 하면 발우공양에다 하룻밤 묵어가는 절집,
템플스테이를 해서 기억에 남는 절집이 있는가 하면 그냥 길가에 지나치는 행인을 스치는 것 처럼 그냥 스쳐지나치는 절집도 있다.
불갑사가 두 번째다.
그저 꽃무릇이 예쁜 절이라 생각했고 꽃무릇 축제날에 와서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절은 사람이 북적대는 초파일이나 축제나...피해서 오는 게 맞다.
푸른 잎새가 지는 계절에 스러지고 스산하고 고즈넉한 절간 마당을 밟아야 비로소 가슴에 남아 안기는 것이 있다.
불갑사에 그냥 정말 무심히 들어섰다.
왼쪽길로 오르다가
1<풍판>
을 덧댄 이 건물을 마주했다.
단청칠도 하지 않은 일광당에 나는 일순 마음을 뺐겼다.
불갑사 스님들이 수행정진하는 선방이란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건물에는 맞배지붕이라 할지라도 풍판이 없다.
봉정사 극락전, 강릉 임영관 삼문,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조사당 등에서 풍판이 사용되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맞배지붕건물은 대개 풍판이 있다.
따라서 풍판은 조선시대에 널리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일광당은 승당으로서 조선 영조41년애 중건1840년과 1941년에 보수를 거쳐
지금에 이르렀다고 한다.
다시 현재로 와서 수리를 하면서 정재간(부엌)의 다락방을 그대로 두고
옛날 그대로 복원 수리를 했다고 한다.
일광당은 선방이란다.
승당(僧堂)
또는 승방(僧房), 선방(禪房) 이라고도 불리운다.
이 요사채에는 사찰 내의 대중들이 거처하는 방사(房舍)를 비롯하여 승려들의 식생활이 이루어지는 후원이 있다. 후원은 승원이라고도 하는데 이곳에는 취사를 담당하는 주방, 외부인에게 제공하는 객실, 승원의 살림을 맡는 원주실(院主室)과 별좌실(別座室), 사찰 고용인의 식당, 행자들이 거처하는 방사 등이 있다. 또한, 주지가 거처하는 주지실과 대방(大房)·판도방(判道房)을 비롯하여 목욕실, 곡물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곡루(穀樓), 우사(牛舍) 등도 갖추게 된다. 그 밖에 법당을 관리하는 분수승(焚修僧)들이 거처하는 향각(香閣)도 승당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요사채에는 사찰 내의 대중들이 거처하는 방사(房舍)를 비롯하여 승려들의 식생활이 이루어지는 후원이 있다. 후원은 승원이라고도 하는데 이곳에는 취사를 담당하는 주방, 외부인에게 제공하는 객실, 승원의 살림을 맡는 원주실(院主室)과 별좌실(別座室), 사찰 고용인의 식당, 행자들이 거처하는 방사 등이 있다. 또한, 주지가 거처하는 주지실과 대방(大房)·판도방(判道房)을 비롯하여 목욕실, 곡물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곡루(穀樓), 우사(牛舍) 등도 갖추게 된다. 그 밖에 법당을 관리하는 분수승(焚修僧)들이 거처하는 향각(香閣)도 승당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시대 맞배지붕의 비가림 풍판도 다시 새나무로 만들어진 흔적이 역력했다.
불갑사 일광당은
선방으로 사용하던 전각
나무기둥의 복원된 이음새 좀 보소
이름을 눠라고 했는데....그저 모르겠소!!
사진의 포카스는 반대로 되어서 촛점은 희미하고...
쓰잘데 없는 배경은 찐하고,
기둥마다 공기 통하는 구멍이 재미있다.
문을 열어 바람에 닫히지 않게 기둥에다
고리를 달았다.
살림을 맡아서 하고 식생활이 주로 이루어지는 곳이었다네
그러자니 부엌도(정주간) 있고
음식을 만들거나 곡식을 넣어둘 다락이 필요했을 것이다.
곡식을 넣어둔다거나
많은 음식을 만들어(쥐나 사람을 피해)
보관 할 다락이 필요했을터,
요즘 같았으면 복층 구조다.
댓돌이 자연석이다.
뒷면 마루위로 정재간 다락이 있어 키가 낮다.
길다란 마루위가 온통 다락이자 창고인 셈이다.
나무기둥은 모다 써금써금 하였다.
왼쪽 기둥 아래도 나무쩌귀를 만들어 박아 넣었다.
나무기등은 여기저기 상한 데 투성이
그래도 그 기둥을 살리려 복원한 흔적이 뚜렷!
받치고 있는 이 기둥 상반부도....마찬가지
온돌방이 넓직하고 따뜻해 보인다.
부엌도 있고 온돌이 있으면 분명 굴뚝도 았을터인데...
놓쳐버렸다.
선방이라더니 선짜가 ...
禅
마음을 한 곳에 모아 고요히 생각하는 일...(불교)
정면은 5칸, 주련이 달린 기둥으로 칸을 나눈다.
기둥 사이마다 공기구멍이 보인다.
측면 3칸의 맞배지붕 형식이다.
정면은 겹처마로 배면은 홑처마로 구성되었다.
일광당 굴뚝을 만나보지 못했다.
또다시 갈 일이 있다면
다시 가면 꼭 찾아봐야겠다.
- 풍판은 풍판널[廳板]과 뒤에서 풍판널을 잡아주고 엮어주는 가로 방향의 띠장목[帶木], 풍판널 앞에서 풍판 사이를 세로로 길게 연결해주는 쫄대목[率木]으로 구성된다. 17∼18세기 『영건의궤』에서는 풍차판(風遮板)이라고 기록하였고, 이후 19세기 영건의궤부터 풍판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맞배지붕은 책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로 앞뒷면에만 지붕이 있고 양 측면에는 지붕이 없다. 우진각이나 팔작지붕에 비해 추녀가 없고 가구가 간단해 경제적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측면이 비바람에 노출된다는 것이 단점이다. 측면에 노출된 목부재들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무 널을 이어 붙여 풍판이라는 것을 달아준다. [본문으로]
'여행발전소 > 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양 백운산 자연휴양림 치유 산책 (0) | 2019.10.27 |
---|---|
완도 정도리 구계동 해변 (0) | 2016.10.01 |
구례 유곡마을에서 농촌을 재미있게 배우다. (0) | 2016.06.02 |
구례 서시천에서 바라본 노고단의 운해 (0) | 2016.05.25 |
구례 서시천의 꽃양귀비(포피) (0) | 2016.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