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난은 글이 아래 왼쪽 공간에 왔으면 좋겠고

국은 글씨가 왼쪽으로 조금 더 물러나서 써졌으면 하는 생각이다.다음엔 더 잘해야지 ㅡ

언제쯤 글씨를 잘 쓰게 될까?

얼른 내 고유의 글씨를 찾아내어 멋지게 사용하고 싶다.

.

.

.그래도 공모대전에 심체상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국화와 군자·은자
의견없음담기보내기폰트설정 메뉴
남부지방에서 불리는 〈각설이 타령〉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굿자(九字)나 한 장 들고 봐
구월이라 국화꽃
화중군자(花中君子) 일러있고
이와 같이 국화는 매화·난초·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일컬어 왔다. 또 국화·연·매화·대나무를 사일(四逸)이라고 한다. 국화는 또 가우(佳友)라고도 하는데 모란 작약과 함께 삼가품(三佳品)이라고 한다.
군자는 뜻이 맞는 친구를 선택한다. 삼익우(三益友)가 있는데 솔·대나무·매화가 여기에 들어간다. 매화와 대나무는 군자이기도 하고 익우(益友)이기도 하지만 국화는 여기에 제외되어 있다. 그 이유를 주돈이(周敦頤)의 〈애련설(愛蓮說)〉에서 볼 수 있다.
국화의 고귀함을 인정하면서도 '국화는 은일자(隱逸者)'라는 성격을 부여한 것이다. 이 영향으로 국화는 은군자(隱君子) 또는 은사(隱士)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고 대중(大衆)은 하나의 선을 획책해 놓은 꽃으로 위치를 굳혀 버린 것이다.
국화는 뭇 꽃들이 다투어 피는 봄이나 여름을 피하여 황량한 늦가을에 고고하게 피어난다. 자연의 현상에서 인생의 진실을 배웠던 우리 선조들은 늦가을 찬바람이 몰아치는 벌판에서 외롭게 피어난 그 모습을 보고 이 세상의 모든 영화를 버리고 자연 속에 숨어사는 은사의 풍모를 느꼈던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꽃의 외화(外華)보다는 꽃에 담긴 덕(德)과 지(志)와 기(氣)를 취했는데 국화는 일찍 심어 늦게 피니 군자의 '덕'이요, 서리를 이겨 피니 선비의 '지'며, 물 없어도 피니 한사(寒士)의 '기'라 하여 이를 국화의 삼륜(三倫)이라 하였다.
이미지 갤러리 가기
청자상감국화절지문호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박물관 소장
이미지 갤러리 가기
시전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또 위(魏)나라 종회(鍾會)는 〈국화부(菊花賦)〉에서, 국화에는 다섯 가지 아름다움이 있다고 하였다.
첫째, 동그란 꽃송이가 높다랗게 달려 있음은 천극(天極)을 본 뜬 것이요
둘째, 잡색이 섞임이 없이 순수한 황색은 땅의 빛깔이고
셋째, 일찍 심어 늦게 피는 것은 군자의 덕이며
넷째, 서리를 뚫고 꽃이 피는 것은 굳세고 곧은 기상이요
다섯째, 술잔에 꽃잎이 떠 있음은 신선의 음식이다.
중국 역사상 가장 전형적인 은사로는 도잠(陶潛, 365~427년)을 꼽는다. 그는 육조(六朝)시대의 전원(田園)시인으로 〈귀거래사(歸去來辭)〉와 더불어 지조와 은일의 상징으로 그 이름이 높았다. 가난한 선비였던 도연명은 호구지책으로 천성에 맞지 않는 관직에 몸 담았다가 80여일만에 사직하고 〈귀거래사〉를 썼는데 그 속에 있는 다음과 같은 시구로 은사 도연명과 국화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게 되었다.
삼경(三逕)은 이미 황폐했으나 三逕就荒
소나무와 국화는 여전하구나 松菊猶存
또 송나라의 범석호(范石湖)는 〈국보(菊譜)〉의 서(序)에서 국화의 은사적인 풍모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가을이 되면 모든 초목들이 시들고 죽는데 국화만은 홀로 싱싱하게 꽃을 피워 풍상 앞에 오만하게 버티고 서 있는 품이 마치 유인(幽人)과 일사(逸士)가 고결한 지조를 품고 비록 적막하고 황량한 처지에 있더라도 오직 도(道)를 즐기어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연관목차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1. 국화 - 들어가는 말
2. 국화의 상징
(1) 국화와 군자·은자
(2) 인고(忍苦)와 절개의 국화
(3) 불로장수의 상징, 국화
출처

제공처 정보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이미지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2004. 3. 10.
책 보러가기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시리즈의 제3권. 꽃의 상징, 한국인의 꽃에 대한 미의식, 꽃과 민속, 꽃과 문학, 꽃과 예술, 꽃에 얽힌 전설 등 한국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꽃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책이다. 3권에서는 매화, 살구꽃, 진달래, 모란, 국화, 대나무, 버드나무 등 우리 조상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아온 꽃과 식물 14가지에 대해 상징, 민속, 문학, 설화로 분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보기
저자
이상희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