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너에게 이름을 묻노니..


 

겨울이라곤 했지만 실감하지 못했는데,  12월로 들어서자  이내 매서워졌습니다.

한여름 소등을 두고 다툰다던 소나기처럼 산속에서 회오리로 눈발이 하얗게 묻혀 내려옵니다.

여행 목적지인 고성을 접어들며 산언덕에서 길가에 키 작은 산다화가 눈바람 회오리 속에서 빨갛게 핀 걸 보았습니다.  고혹적인 모습이었습니다.

 

매화가 귀히 여김을 받는 것은 맹추위를 견디고도 향기를 머금어 맨 먼저 화신을 전하는 절개일 터이고,

동백이나 산다화는 벌 나비도 없는 겨울 눈 속에 붉게(혹은 희게) 피어나기 때문일 겁니다.

꽃이 군데군데 달린 모습으로...그냥  쉽게 보면 절로 "아 동백꽃!" 하게끔~

고성군 하일면에 다다르니... 친구의 별장 마당에도 산다화가 곱게 피어있었습니다.


제가 동백을 보고 반한 적이 서너 번 있습니다.

부산여중을 다닐 때 교목이 동백이었고 내 키보다 두 배나 됨직한 키만 멀쑥이 큰 동백나무는 나무등걸이 허여멀끔한 게 그다지 예뻐 보이진 않았는데... 용케(부산) 잔설이 쌓인 어느 날,  눈 위에 떨어져 누운 서러운 붉은 동백꽃을 보고  일순 반해버렸습니다.

나무는 전부 홑 동백꽃이었는데..아무래도 동백꽃은 홑 동백꽃이 젤로 예쁜 것 같습니다.

오랜 세월 겨우내 통통히 살찌워 피워 올리던 꽃봉오리를 어느덧 피는가 싶으면 문득 눈물처럼 떨어트리는...


그 다음은 거제도 충렬사 마당에 아름드리 큰 동백나무였습니다.

어찌나 우람하게 크던지..

마치 잎새는 참기름을 바른 듯 하다고 어렸을 적에 말했던 기억이 납니다.

 

거제도 외도에 갔을 때도 계단을 오르는 진입로에 둘러 선, 빽빽한 동백군락이 일순 숨을  턱. 가로막았습니다.

포항 울기등대의 조성한 공원에도 동백은 애기 공만한 붉은 열매를 주렁주렁 매달고 서 있었습니다.


초여름이었던가?  거제도에서 산모롱이를 돌아 나오며 온 산이 은빛트리로 반짝이는 걸 본 적이 있습니다. 

비록 꽃은 져버린 늦은 봄 오월이었지만 동백군락은 도도하게도 봄빛 완연한 먼-바다를 향한  윤기나는 초록 잎새들의 환호와도 같은 반짝임 이였습니다.

바다의 빛들을 받아 거울로 되비추기 하는 아이들처럼 모든 빛들이 바다로 향해 퍼져나가고 있었습니다.

처음엔 도대체 뭐 길래 온 산이 저렇게 반짝이지?

누가 은빛 트리를 꾸민 것처럼? 그런 표현을 했던 몇 해 전 쯤의 기억이 납니다.

꽃보다 더 아름답던 동백군락지의 잎사귀들...


애석하게도 선운사 춘백을 아직 보지 못하였습니다.

그 곳에 들면 송창식의 ‘선운사’ 한 구절이 절로 나올 것 같은데....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바람불어 설운 날에 말이예요/ 동백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예요.”



작년 가을 제주도에 갔을 때, 이른 듯 피어있던 동백꽃! 그 게 산다화라는 걸 알았습니다.

그러나 산다화는 사전을 찾아보면 동백나무 꽃으로 명기되어 있었습니다.

식물에 조예가 깊다는 사람들 더러는 산다화는 사상과에 속하는 나무라 했습니다.

 

제가 가늠한 산다화의 모습은 영락없이 해당화와 홑 동백의 중간모습이라고 상기하고 싶습니다.

색깔 역시 홑 동백은 피처럼 붉은 색이면 산다화는 해당화의 빛깔을 많이 닮아있습니다.

산다화!

작은 동백이라고도 불리우는 산다화는 분명 동백꽃의 모습은 아닙니다.

아름드리 클 수도 없을 뿐더러  활짝 벌어진 가운데 수술 모습도 해당화를 닮은 듯 합니다.

동백 수술은 한데 엉긴 듯 가지런히 모아져 있습니다.


오죽하면 제가 쓴  "冬栢開花' 시조 말연(종장)에...

"귀한님 화사금관을 고이 받든 붉은 도포" 라고 표현했을라고요.

 

산다화는 그 모습이  활짝 핀 화사한  기녀라면

기껏 만개해도 벌어지게 피지도(웃지도) 못하는 동백은 규방의 여염집 아녀자 같다고나 할까요?


눈이 왔습니다.

지금도 해안가 동백군락지에는 통통하게 물오른 동백이 붉은 꽃망울을 피우고 섰고

키 작은 산다화는 기녀의 치맛자락같이 눈 속에서 살핏한 미소를 물고 있을 것입니다.


꽃이라고는  다 져버린 눈 속에서도 뜨겁도록 붉은 빛깔로 피어나는

동백은 찬 눈 속에 떨어져 몸을 누이는 정열을 안으로만 숨겨 다독인 수줍음 입니다.

산다화는 고운 빛깔이 스러진 겨울 속에서 눈을 번쩍 뜨이게 하는 당당한 화사함입니다.

.

.

.

.

눈쌓인 겨울에 여행을 가신다면 해안가 해풍을 머금어 피어나는 동백꽃과 산다화의 아릿한 아름다움을 흰 눈 속에서 한 번 찾아 보시는 멋도 .....좋을 듯 합니다.

 

글/사진 이요조


 

.

 

↑동백꽃

↑산다화

 

산다화의 다른이름

산다목, 산다화, 산다수 등

과     명

차나무과의 상록교목

특     징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관목으로 되는 것이 많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고 잎 가장 자리에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있으며 윤기가 있습니다.

꽃은 붉은색으로 이른 봄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져서

비스듬히 퍼지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집니다.

열매는 삭과(果)로 둥글고 지름 3∼4 cm로서 3실이며,

씨는 검은 갈색을 띱니다.

꽃말은 '신중·허세부리지 않음’이며, 꽃잎이 납작하게 활짝 퍼지는 것을

뜰동백(var. hortensis)이라 하며 가장 많은 품종이 있고

흰꽃이 피는 것을 흰동백(for. albipetala), 어린가지와 잎 뒷면에

털이 많이 나 있는 것을 애기동백이라고 합니다.

분     포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중국·일본 등지에 분포

 

 

산다화(山茶花, 俗名-冬柏)

 

<남방초목기(南方草木記)>에 이르되 『산다화에 붉은 것과 흰 것의 두가지가 있고 천엽(千葉)이란 것이 있으니 이름과 종류가 하도 많아서 다 기록할 수 없고, 대강 든다면 보주산다(寶珠山茶), 누자산다(樓子山茶), 천엽산다(千葉山茶) 등이 있다』하였다.

<격물론(格物論)>에 이르되, 산다화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 바 보주다(寶珠茶), 석류다(石榴茶), 해류다(海榴茶)는 쇄화(碎花)가 있고, 철쭉다(  茶), 말리다(茉莉茶), 궁분다(宮紛茶), 관주다(串朱茶)는 모두 분홍빛이고, 일념홍(一念紅), 조전홍(照殿紅)은 잎이 각각 다르다고 하였다.

양성재(養誠齋)는 산다시(山茶詩)에서,

   금빛 조알, 은빛 실을 뉘라서 박았는가.
   이른 봄엔 복숭아, 오얏꽃의 시새움 많고
   추운 겨울엔 눈 서리의 사나움도 침노하지 못한다.

송현(宋賢)도 시를 지어 이렇게 읊었다.

   옅은 빛은 옥명(玉茗)이요, 짙은 빛은 도승(都勝)이라.
   큰 것은 산다요, 작은 것은 해홍(海紅)이라.
   이름이사 많지만 벗은 외로와, 해마다 부질없이 눈 속에 산다.

우리나라에서 심는 것은 다만 네 종류가 있는데 단엽홍화(單葉紅花)로 눈 속에 피는 것을 세속에서 동백(冬柏)이라하니, 곧 <격물론>에서 말한 일념홍이고, 단엽(單葉)분화(粉花)로 봄에 피는 것을 춘동백이라하는데 이것은 격물론에서 말한 궁분다이고 서울에서 심어 기르는 천엽동백은 격물론에서 말한 석류다이다. 또 천엽다가 있는데 꽃술에 금빛 조알이 붙은 것은 이른바 보주다란 것이다. 대저 천엽다는 잎이 두껍고 빛이 짙푸르고, 꽃술이 쇄화로 되어있다. 꽃 기르는 사람들이 이 꽃을 귀히 여기지만 보주다의 뛰어남은 미치지 못하다. 단엽동백과 춘동백은 남해 섬 가운데 많이 나는데 거기 사람들이 베어 땔감으로 쓰고, 열매를 따서 기름을 내어 머릿기름으로 쓰고 있다. 서울에서 씨앗을 심으면 하나하나가 다 곁가지가 올라오니 분에 옮겨 심고 천엽에 접붙이되 접매(接梅)하는 방법과 같이 하여 백을 접하면 백이 다 산다. 다만 분이 작으면 마르기 쉬우니 자주 물을 주어야 한다. 가지를 꺽어 놓으면 단엽은 잘 살지만 천엽은 꽂아 심고, 흙은 분토를 쓰며 구덩이를 한 자쯤 파고 분을 그 안에 들여 놓는다. 낮엔 딴 그릇으로 덮어 주어 햇볕이 들지 않게 하고, 밤엔 열어놓아 이슬을 맞힌다. 이렇게 하여 얼마간을 지내면 뿌리가 생긴다. 다(茶)의 잎새에 먼지나 티끌이 많이 붙으니 자주 물걸레로 깨끗이 닦아서 윤기가 나게 한다. 거두어 간직할 때 가지나 잎사귀에 다른 것이 서로 닿지 않게 하고, 온도를 알맞게 해주고 또한 사람의 훈김이나 불기운에 가까이 말고, 물을 주되 습하게도 말고 조하게도 말며, 햇볕에 쬐이지 말아야 한다. 분은 와기(瓦器)를 쓴다.

           남방초목기(南方草木記) : 책이름 三권, 초목 80종의 산물을 기록한 책.
           송현(宋賢) : 명나라 사람, 자는 급보(及甫), 호는 정우(定于), 벼슬은 어사.
 

 

 

 

 

처용 단장(處龍斷章) /김춘수(金春洙 1922- ) 경남 충무 태생.

 

 

삼월(三月)에도 눈이 오고 있었다.
눈은
라일락의 새 순을 적시고
피어나는 산다화(山茶花)를 적시고 있었다.
미처 벗지 못한 겨울 털옷 속의
일찍 눈을 뜨는 남(南)쪽 바다,
그 날 밤 잠들기 전에
물개의 수컷이 우는 소리를 나는 들었다.
삼월(三月)에 오는 눈은 송이가 크고,
깊은 수렁에서처럼
피어나는 산다화(山茶花)의
보얀 목덜미를 적시고 있었다.

 

 

제주도 산다화 나무

 

클릭/산다화 노래/등려군☞ http://music.bugs.co.kr/music/NetizenRecom.asp?Cat=C&Country=cpop&Genre_Code=41


동백꽃

 

'가납사니 > 이요조의 식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기동백, 산다화, 탱자나무  (0) 2006.03.22
상사화 새싹  (0) 2006.03.08
호박손  (0) 2005.07.22
이름표를 달아주실래요?  (0) 2005.07.12
다산드라, 감나무  (0) 2005.06.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