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글씨는 잘 모르지만 나는 미수 허목의 팬이다.

미수 허목의 서체를 안동여행에서 하회마을  예안이씨 충효당에서 만나고는

입이 헤~ 벌어지며 기분이 급 좋아졌다.

씩씩하게도 그를 찾아 군사분계선까지 군인을 하나 달고 찾아가지 않았던가?

 

충효당

예안이씨 충효당은 1971년 8월 30일 보물 제553호로 지정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이준교이다.
예안이씨 충효당은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다 순국한 이홍인의 충과 이홍인의 8세손
이한오의 효의 정신이 깃들어 있는 곳으로, 소박하고 서민적인 민가 성격을 띤 유서 깊은 집이다.

 

 

대문이 어디있지?

집안으로 출입하는 기와 얹은 토담이 트여 있는 곳의 모양이 재미있는데,
왼편은 토담이 허물어진 듯 절개된 면이 가지런하지 않지만 오른편은 담장이 마당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감겨 있다.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담장 안은 화장실이다.

 

 

담장안을 들어오니 솟을 대문이 또 따로있다.

마주보이는 곳이 충효당 본채이다.

 ▼

 

눈에 띄이는 여러게의 소화기만 봐도

충효당 가치의 무게를 알 것만 같다.

보물 제553호

 

 

현재 후손이 충효당 왼켠의 또 다른 담너머 안채에 기거하면서

보존하고 있다.

 

 

분위기가 그윽하다.

 

 

장마철이라도

그렇게 (습기로)누지진 않겠다.

습기를 피해 전체 돌을 쌓아 지은 것이 꽤나 보기에도 좋고

실용성도 있어보인다.

 

 

 

충효당 현판은 정침의 사랑마루에 게첨되어 있다.

 

미수 허목의 전서체

 

미수의 전서체가 아주 재미있다.

충성충忠은 가운데 받들어 모시는 태양 즉 임금을 뜻하며

효는 孝 노인老을 공경하는 뜻을 나타내며

집당堂은 지붕아래 사람이 앉아있는 형상의 전서체가 볼수록 그림으로 다가오듯 재미있다.

 

미수를 꼭 만나보러

나는 2009년 2월에 연천군 왕징면 군사분계선

안에 있는 미수의 묘역을 찾았다.

 

미수 허목을 만나보다. http://blog.daum.net/yojo-lady/13745268
미수 허목'의 생애와 '척추 동해비' http://blog.daum.net/yojo-lady/12420754

 

 

예안이씨 충효당
종목 보물 553
이 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이홍인 부자의 충과 효가 얽혀있는 유서 깊은 집이다.
이홍인 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서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 건축으로 추정되며
‘충효당’이라 부른다. 안채와 사랑채가 맞붙어 있고 안동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내부의 중앙은 뜰로 꾸민 소박한 집으로 남쪽과 서쪽에 바깥으로 통하는 대문이 있다.
남문이 본래의 대문이지만 지금은 서문을 대문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서문 바깥에 평행하게 있던 바깥채를
철거한 뒤에 드나드는 문도 옮긴 것으로 보인다. 공간에 비하여 넓고 튼튼한 문틀을 하고 있으며 드나드는
문이 많아 흥미롭다.

 

안채

 

주소 경북 안동시 풍산읍 우렁길 73 (하리1리)
전화번호 054-858-4768

 

 

 

청암정

경북 봉화읍 유곡리 닭실마을

 

청암정에 걸린 '청암수석(靑巖水石)' 허목의 마지막 절필▲

 

허목선생은 호가 미수여서일까?  우연일까?  88세를 일기로 운명하셨다.

미수 허목은 청암정에 한 번 가보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다가, 88세 되는 해(1582년) 4월에 '청암수석(靑巖水石)' 네 글자를 써놓고

글씨를 보내기도 전에 병석에 눕게 되었다. 그 달 하순에 운명하니 이 글씨가 미수의 절필(絶筆)로 알려진 것이다.

미수가 후미에 써놓은 내용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

'청암정은 권충정공의 산수에 있는 옛집이다. 골짜기 수석이 가장 아름다워 절경으로 칭송되고 있다.

내 나이 늙고 길이 멀어 한 번 그 수석간에 노닐지는 못하지만, 항상 그곳의 높은 벼랑 맑은 시내를 그리워하고 있다.

특별히 청암수석 네 자를 큰 글자로 써 보내노니 이 또한 선현을 사모하는 마음 때문이다. 이 사실을 기록해 둔다.

8년 초여름 상완에 태령노인은 쓴다

(靑岩亭者, 權忠定公山水舊庄. 洞壑水石最佳稱絶景. 僕年老路遠, 不得一遊其間, 懷想常在高壁淸溪, 特書靑岩水石四大字,

亦慕賢之心也. 識之. 八年孟夏上浣台嶺老人書).' 

 


 

 

보물 제592-1호 
 동해비첩(東海碑帖) 

 

조선시대 유학자인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원고본들 가운데 하나이다.

허목은 전서체에 뛰어난 유학자이며, 23세 때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퇴계 이황의 학문을 존중하였다. 이로 인해 스승 정구로부터 퇴계의 학문을 이어 받아

다시 그 학문이 이익에 의해 계승, 발전되는 매개체역할을 하였다.

동해비는 본래 ‘척주동해비’로 현재 삼척군에 있으며, 그 비의 탁본은 많이 유포되어 있다.

원래 동해비의 글씨는 현재의 비보다 더 컸는데 파도에 침몰되어

선생이 따로 작은 글씨로 써둔 것을 보고 다시 새겼다. 크기는 가로 32.7㎝, 세로 50㎝이다.

이것은 허목의 전서체를 연구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금석운부*

 

*고문운부*


 

 

경북 봉화읍 유곡리 닭실마을

청암정에 있는 청암수석(靑巖水石)

충재박물관에 있는 원본

 

 생전에 써 두신 전서체의 비문으로
일월석(日月石)이라는 귀한 흰 돌에 새겼다 한다.

 

6,25동란중 총탄을 맞은 흔적이 난무하다.


문인석은 연천에 있는 돌은 아니고 삼척에서 가져온 강원도 해안지방의 돌이다.
멀리 남해안을 돌아 임진강으로 실어서 이 곳까지 가져온 돌이라는 설이 있다.

 

 

미수 허목과 우암송시열의 일화

 

또 한 예화로는

선생과 가장 무서운 정적으로 지목되었던 우암 송시열이 노경에 불치의 병이 들어 백약이 무효라 명재경각(命在頃刻)인 때에, 최후의 기대감에서 아들에게 명하여 이르기를,“너는 나를 살리고 싶거든 미수에게 가서 내 병의 증세를 말하고 약의 화제를 지어 달라고 하여 그대로 약을 지어오거라.”하니, 아들은
“아버지, 그것은 절대로 아니됩니다! 그렇지 않아도 아버지를 원수로 생각하고 어떻게 하면, 아버지를 제거할 수 있을까 하는 사람에게 가서 화제를 지어달라면, 그것은 바로 아버지께서 스스로 목숨을 끊으시는 것과 같습니다.” 하고 거절하니, 송시열이
“너는 아비가 시키는 대로하라. 이제는 어차피 다른 방법이 없으니, 그의 화제를 써서 죽는다면 그것이야 내 명이 다한 것일 뿐이니라.”
하고 엄히 꾸짖어 빨리 다녀올 것을 재촉하였다.

 

 아들은 어쩔 수 없이 아버지의 말씀대로 허목을 찾아가 사실을 말하고 화제를 받아 와서 보니, 과연 독극물인 비상이 들어 있었다.

송시열의 아들은 또 아버지께 말하기를, “이 화제대로 약을 지어 드시면, 아버지는 반드시 다시 일어나시지 못할 것입니다. 제발 이 화제의 약을 드시지 마십시오.”
라면서 간절히 간하였다. 그러나 송시열은 여전히
“아무 말을 말고 그 화제대로 약을 빨리 지어 오라.”고 호령을 하였다. 아들이 마지못하여 그대로 시행하였더니, 과연 그 약을 먹고 금방 쾌차하였다는 것이다.


송시열 아들이 후에 허목을 찾아가 고맙다고 인사 하면서 “선생님께서는 어찌하여 그 화제에 극약인 비상을 넣으셨습니까?”
하고 물으니, 허목이 대답하기를, “자네가 증상을 말하면서 대감께서 어린 손자 아이의 오줌을 드셨다고 하지 아니하였는가?

어르신네의 병환은 바로 그 요독(尿毒) 때문이었으니, 그 독을 제거하기 위함이었다네.”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허목과 송시열의 정치적 적대 관계를 초월한 깊은 인도주의적 생명관과 인간적 신뢰감을 깨닫게 하는 교훈으로 삼아 전설처럼 전하여 오고 있다.

 

 

 연천군 홈페이지 http://www.iyc21.net/_yc/tour/a06_b05_c03.asp?

 

 

 ①임진강 풀리자 '미수허목'을 찾아 떠난 길http://blog.daum.net/yojo-lady/13745266에 글에 연하여 씁니다.

 

연천군 왕징면 강서리 산 48번지는 민통선 안에 위치했다.

징파 초소까지 다다라서 어떻게 왔냐는 말에 여차저차 이야기를 하니 좀 기다려 보란다.

마침 페인트 깡통을 두 병사가 들고 나온 곳으로 다가가서 묻는다. <미수 허목의 묘역을 찾아왔다는데요. (안에)있습니까?> <응, 있어>

하사라고 한다. 초소의 고참인 모양이다. 어떻게 왔냐고 묻고 신분증을 맡겨놓고 병사를 한사람 대동하고 들어가란다.

그리고 나중에 카메라를 한 번 확인시켜주시면 된단다.

 

한 200m들어가자 삼거리에 이정표가 있긴한데 좌측으로 4km더 가서 있다는 안내판이다.

초병에게 물어보니 그 묘역이 어디에 있는지...어떤 분인지도 전혀 모른다고 했다.  초병에게 안내를 받는 게 아니라 그저 감시를 받는

감시병 한 사람을 달고 직접 두리번거리며 찾아나서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길 물어볼 사람 하나 없는 곳에서  아무튼 더 들어가 보기로 했다.

그래도 고맙게 두어군데 안내표지판이 있었고 큰돌에 새겨진 글씨가 눈에 들어왔다.(일일이 사진은 찍지 못했지만)

 

흔히 공덕비라고도 말하는 신도비가 있고 오른쪽으로 산위로 오르기 쉽도록 깨끗하게 단장된 계단을 올랐다.

어림잠작으로 아마도 <미수 허목>의 묘가 아닐까 싶었는데... 미궁으로 빠져들었다. 같은 종중이니 모두가 양천허씨가 맞긴 맞다.

대리석계단은 동산의 봉우리 위쪽으로 더 연결이 되었고 그 위로 올라가니 근간에(1994년) 의정부 송산리 묘역이 개발로 인해 수용당하여

이 곳으로 이장하여 다시 세운 묘였다.

 

부근 일대가 모두 양천허씨 종중묘역이므로 그제사 다시 둘러보니.. 바로 옆으로 자그마한 동산이 또 있다.

특이하게 검은 문인석들로 둘러싸인  묘 한 기 <아, 맞어...연천군 홈페이지에서 보았던 그 묘소가 이제야 기억속에 들어오다니~>

서둘러 다시 내려와 우측 안쪽으로 들어가니 5백여평 쯤 되보이는 너른 잔디 마당이 나온다. 정자도 있고 간이 화장실도 두 개나 설치된 걸로 봐서

문중에 초상이 나거나 벌초를 할 때나 문중 행사를 갖는 장소인가 보다.

잔디를 얼마나 곱게 심었는지 동산자체를 큰 왕릉 못잖게 손질을 해두었다.

 

입구 계단을 오르려 다다르자 이상한 돌무덤 같은 게 보인다.

<아!  石棺이다>......이모저모 사진을 찍고 내 발걸음으로 길이를 재어보니 보통 행보로는 네 걸음이요 성큼성큼은 세 걸음의 길이다.

여섯자가웃은 좋이 되겠다.  안을 비쳐서 요리조리 사진도 찍어보고....신기하기만 하다.

안내판을 읽어보니 훈(薰) 이라면 방금 다녀온 곳의 동산 정수리에  이장한 듯 새로 만들어진 묘의 임자가 아니던가? 

석관은 협천공 훈(증 좌찬성)과 배위 정경부인 고성이씨의 석관으로 서기 1994년 12월 12일 의정부 송산에서 이 곳으로 이장 모실 때 출토된 것이다.

약 500년 전 것으로 우가(오른쪽)공 좌가(왼쪽)비의 것이다. 출토당시에는 네 귀가 정밀하게 맞추어지고 이음새는 모두 석회로 잘 다져져 있었다.

 

우리말로는 널이라고 불러지는 관(棺), 500년이 된 석관을 이렇게 자세히 만져보다니....

물론 용산 박물관에 있는 석관처럼 그림이나 글이 새겨진 고급스러운 석관은 아니지만 그 투박하고 단순함이 마음에 차왔다.

<미수 허목>의 묘역을 둘러보지 않아도 그리 서운하지 않을 것 같은 흡족한 마음이다.

 

석관 내부를 찍어보았다.

열려진 석관위로 한줄기 햇살도 들어오고, 파르라니 뭔가 새싹도 움트고, 낙엽도 찾아들었다.

 

처음 잘 모르고 찾아올라간 묘역이 목적인 <미수 허목>의 묘가 아니라고 실망하며 괜히 올라갔던 게 아니었다. 

오히려 먼저 뵙고 무려 500여년을 누워계시던 관을 이리도 만져보니 그 게 도리고 예의가 아닌가?

 

잘 가꾸어진 계단을 조금 더 오르자 비로소 그분의 묘소가 한 눈에 들어왔다.

(다음글③로 계속)

 

 

우리나라의 관은 재료에 따라 목관(木棺)·옹관(甕棺)·석관(石棺)·와관(瓦棺)·도관(陶棺)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진 목관은 신분에 따른 구별없이 거의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평양 정백동 유적, 백제 무령왕릉, 신라 천마총 등의 목관이 대표적이다. 옹관은 토기그릇을 시체 담는 관으로 대용했던 것으로서, 단옹식 옹관과 조합식 옹관으로 구분되며 부여 송국리 독무덤이 잘 알려져 있다. 돌을 재료로 한 석관으로는 고발식석관(刳拔式石棺)과 조합식석관이 있다. 와관은 기와를 이용해서 만든 것인데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황해도 은율군 운성리 유적에 남아 있다. 화장이 성행하면서 많이 제작되었던 도관은 흙을 빚어 구워서 만든 것으로서, 공주시 마암리 유적에서 찾아볼 수 있다./검색

 

 

 

미수허목의 묘역에 들어서다.

 

계단을 향해가는 오른편에 석관이 놓여있다.

 

 여기 석관은 협천공 훈(증 좌찬성)과 배위 정경부인 고성이씨의 석관으로 서기 1994년 12월 12일 의정부 송산에서 이 곳으로 이장 모실 때 출토된 것이다.

약 500년 전 것으로 우가(오른쪽)공 좌가(왼쪽)비의 것이다. 출토당시에는 네 귀가 정밀하게 맞추어지고 이음새는 모두 석회로 잘 다져져 있었다.

양천허씨 협천공파 종회

 글이나 문양이 새겨져 있지 않아도 충분히 아름답다.

 

 낙엽들이 찾아들었다. 햇살도...새 생명도 움이트고,

 의정부 송산의 도시계획으로 94년 이장할 때 출토되었다 한다.

 오른쪽이 (薰)공의 것이고 좌측이 비의 것이다.

 뒤로 고즈넉한 민통선안의 풍경이 보인다.

 빛이 있으니 생명을 가진 새싹도 움트고...

 석실내부는 충분히 넉넉해보인다.

계단을 오르면서 다시 보아도 역시 아름답다.

널이 아름다운 것인지...돌이 아름다운 것인지....나 역시 구분이 잘 서질 않는다. 

 

 .............................................................................................................................................................................

 

먼저 잘 못알고 올라갔던 묘 

 

 

근래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 묘역입구에는  미수 선생의 생애와 공덕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미수 선생과 그의 증조부 許磁님의 신도비가 나란히 서있다.

이 곳에서부터는 양천허씨 종중 묘역을 알리는 입구인 셈이다.

 

 미수 허목의 신도비

 

문인석이 세워진 이 묘로 착각했었다. 

 6.25 전란의 참사가 이렇듯 흉흉한 사실로 남아있는 곳!

흉탄은 문인석의 왼쪽 어깨를 날려버렸다.

등 뒤를 보면...얼마나 총탄의 위력이 쎈지...

순간 소름이 오싹끼쳤다.

 전란중에는 북쪽 땅이다가 (3,8선 이북)

전후에는 우리땅이지만....민간인은 출입을 할 수 없는 곳! 

 

문인석에 핀 돌이끼가 세원무상을 말해주는 듯...오른쪽 문인석의 건너편 귀부분 아래가 <미수 허목>의 묘역이다. 

 

잘 못 찾아간 양천 허씨의 훈공묘 ↗ 

계단을 더 오르니

 새로 이장한 묘였다.

 바로 석관의 주인인 셈이다.

석관이 출토된지 대략 500여년으로 셈하니 <미수 허목>은 300여년 전에 가셨으니

200여년을 앞서신 선조 할아버지인 셈이다.

 

(다음 글로 이어씁니다)

 

이요조

 

 

 

 

 

 

 

 

 

 


  • 종 목 보물  제592호
    명 칭 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고본
    수량/면적 3종12책
    지 정 일 1975.05.16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립중앙박물관
    관 리 자 국립중앙박물관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원고본들이다.

    허목은 전서체에 뛰어난 유학자이며, 23세 때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퇴계 이황의 학문을 존중하였다. 이로 인해 스승 정구로부터 퇴계의 학문을 이어 받아 다시 그 학문이 이익에 의해 계승, 발전되는 매개체역할을 하였다.

    유물을 보면『동해비첩』1책,『금석운부』2책, 『고문운부』9책으로 총 3종 12책이다. 이것들은 모두 허목의 대표적 전서체 작품들로서 그의 필체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서예가인 허목(1595~1682)의 자필고본.
    허목 /허목수고본(17세기), 〈고문운부〉에서, 보물 제592호, ...

    보물 제592호. 3종 12책. 선진(先秦)의 전서(篆書)를 통해 문과의 본원을 회복하고 회화성이 강한 상형미와 창고미(蒼古美)의 이상을 구현하고자 했던 허목의 서예세계와 특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동해비첩 東海碑帖〉(세로 50cm, 가로 32.7cm) 1책은 허목이 삼척부사로 부임한 이듬해인 1661년에 동해송을 짓고 고문자로 쓴 동해비의 저고본(底稿本)으로, 그의 대표적인 전서체 작품으로 꼽힌다. 〈금석운부 金石韻府〉(세로 34.5cm, 가로 22cm) 2책은 금석에 나타난 전서를 모아 꾸민 자전이다. 〈고문운부 古文韻府〉(세로 24.5cm, 가로 22.7cm) 9책은 금석을 비롯한 각종 고문을 모은 전서의 자전으로 사성별(四聲別)로 순서를 정한 뒤 각 글자마다 정서체를 쓰고 그 다음에 각 체의 전서를 썼다. 여러 종류의 전서체가 망라되어 있어 허목의 고문수집 성격과 함께 그의 전서연구에 기본 자료가 되고 있다. 허혁(許)이 소장하고 있다.

     

     척추 동해비- 허목선생

     

     

     

    허목 동해비첩

     

    종    목 보물  제592-1호
    명     칭 동해비첩(東海碑帖)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1975.05.16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시대 유학자인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원고본들 가운데 하나이다.

    허목은 전서체에 뛰어난 유학자이며, 23세 때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퇴계 이황의 학문을 존중하였다. 이로 인해 스승 정구로부터 퇴계의 학문을 이어 받아 다시 그 학문이 이익에 의해 계승, 발전되는 매개체역할을 하였다.

    동해비는 본래 ‘척주동해비’로 현재 삼척군에 있으며, 그 비의 탁본은 많이 유포되어 있다. 원래 동해비의 글씨는 현재의 비보다 더 컸는데 파도에 침몰되어 선생이 따로 작은 글씨로 써둔 것을 보고 다시 새겼다. 크기는 가로 32.7㎝, 세로 50㎝이다.

    이것은 허목의 전서체를 연구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금석운부

     

     

    종    목 보물  제592-2호
    명     칭 금석운부(金石韻府)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1975.05.16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일반설명 | 전문설명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원고본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은 옛 금석문에 나타난 전서를 총망라하여 만든 전서자전으로, 석판으로 영인간행된 적이 있다. 크기는 가로 22.7㎝, 세로 34.5㎝이다.

    이것은 허목의 전서체를 연구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고문운부

     

     

    종    목 보물  제592-3호
    명     칭 고문운부(古文韻府)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9책
    지 정 일 1975.05.16
    소 재 지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시대 유학자인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원고본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은 옛 문헌 및 금석에 나타난 옛 전서문을 운별로 정리하여 먼저 해서를 쓰고 다음에 각 체의 고문과 전을 기입한 고문자전이다.『금석운부』는 금석자료에 한정되었으나 이 책은 고문헌까지 망라하였으므로, 내용이 더욱 방대하다. 크기는 가로 22.7㎝, 세로 34.5㎝이다.

    이것은 허목의 전서체를 연구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1.   서   론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는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 육향산 산정에 있는 높이 175㎝,  넓이 76㎝, 두께 23㎝의 큰 비석으로서 조선 현종 때의 정치가이며 대학자인 미수(眉수) 허목(許穆 : 1595∼1682)선생이 세운 비석이다. 1660년(현종 원년)에 허목이 삼척 부사로 부임할 당시, 동해에는 조석간만에 의한 피해가 극심했다. 조수가 삼척 시내까지 올라와 여름철 홍수 때는 강하구가 막히고 오십천이 범람하여 주민들의 피해가 심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허목은 신비한 뜻이 담긴 동해송(東海頌)을 짓고 독창적인 전서체로 써서 1661년<을축> 3월 정라진(汀羅津) 앞의 만리도(萬里島)에 비를 세우니 바다가 조용해 지고,거친 풍랑도 이 신비로운 문장의 위력에 감동되어 그 후로 조수의 피해가 없어졌다고 한다.

     

    조수를 물리치는 신비한 비석이라 하여 일명 퇴조비(退潮碑)라고도 불리워졌는데, 원래의 비는 1707년, 풍랑에 파손되어, 1709년에 재차 건립한 것이 지금의 비이다.

    비 전면

    본고에서는 허미수 전서가 조선 중기 서예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동 비문을 풀이해본다.


    2.  허 목 의  생 애

    허목 (1595∼1682 선조 28∼숙종 8)은 경기도 연천출신으로서   본관은 양천, 호는 미수(眉수), 자는 문보(文甫), ·화보(和甫),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허목 영정

    29세 때인 1624년(인조2) 광주(廣州) 우천(牛川)의 자봉산(紫峯山)에 들어가 독서와 글씨에 정진하여 그의 독특한 필체인 고전팔분체(古篆八分體)를 완성하였다.

    3. 비 의 내 력

         비의 전면과 측면 

    허목은 1660년 10월부터 2년동안 삼척부사로 재직하면서 향약을 만들어 주민교화에 힘쓰고 척주지를 편찬하는 한편, 삼척이 동해에 가까워 조수가 들어 주민들의 피해가 심하자 '퇴조비'를 세웠다. 훌륭한 목민관(牧民官) 치적의 일환으로 척주동해비가 탄생된 것이다.

    그는 당나라 한퇴지가 조주(潮州)에서 악어를 제축(祭逐) 한 고사를 따라 동해송(東海頌)을 짓고 비를 세우니, 과연 그  날부터 조수의 환이 없어졌다고 하는데,이 것이 이 비를 일명 퇴조비(退潮碑)라고도 부르는 연유이다.

    글은 허목 자신이 지었으며 비제(碑題)와 본문을 모두 허목 독특한 고전(古篆)으로 썼다. 비제(碑題)인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와 본문은 판독이 쉽지 않은 과두문자이다. 본문은 그의 문집, 기타에 수록되어 있는 매우 유명한 문장으로서, 실상 200여 글자에 지나지 않는 짧은 문장이지만, 다음과 같은 일화와 함께 대단히 유명하다

    <일화1> 허목은 다시 같은 문자의 비를 별도로 만들고 죽서루(竹西樓) 밑에 몰래 묻은 다음, 소리( 少吏)에게 말하기를 "내가 죽은 뒤 때가 되면, 서인(西人) 수재(守宰)로, 나와 원수간에 있던 자가 와서 이 비를 파쇄할 것이오. 그렇게 된 즉, 조환( 潮患)이 여전하겠기에 네게 별도의 비석 뭍은 곳을 알려 주는 것이니 너는 명심코 누설치 말라"하였다 한다. 뒷날 이 말이 과연적중하여 다시 퇴조비를 세우게 되었는데 그 다시 세운 비가 곧 이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라는 것이다.

    <일화2> 퇴조비를 세운지 49년이 지난 숙종36년(1710년), 새로 부임한 부사, 박래정(朴來貞)이 이 비석의 영험함을 전해듣고, 미신이라며 철거해 버렸다. 그후 다시 해일이 일어 백성들의 원성이 자자하자 박 부사가 근심에 쌓여있었다.

    비의 후면

    나이 많은 통인이 아뢰기를, 허미수 전 부사께서 오늘 같은 일이 있을 것을 미리 아시고 그 때 가장 나이 어린 저에게 당부를 하고 임지를 떠나셨습니다. "장차 퇴조비에 이상이 있거든 동헌 마루 밑에 퇴조비 하나를 묻어 두었으니 쓰도록 하라"   박부사가 동헌마루를 파보니 과연 퇴조비가 묻혀 있었다. 이에 잘못을 뉘우치고 퇴조비를 다시 세우고 나니 해일이 멎었다. 그 이후 사람들은 퇴조비를 수화불침(水火不侵)의 영물로 여기고 재앙을 막기 위해 소장하는 풍습이 유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비석의 내력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구전설화에 불과하며, 비석의 측면에 각한 추기(追記)에 따르면, 재차 비를 세우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고, 다만, 대자(大字)로 된 구본과 소자(小字)로 된 신본에 관한 이야기만이 간단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 것으로 본다면 신비(新碑)를 새긴 연대는 1709년(肅宗 35)임이 분명하다.

    아래의 문장이 측면에 해서로 쓰여진 추기인데, 이에 의하면 비석은 당초   정라도에 세웠으나(1661년), 풍랑으로 파손되어 바다 속에 잠겼으므로(1707년), 선생이 이 소식을 듣고 다시 써 주어, 비석 앞 면의 큰 글자는 구본(舊本,즉 원래 비의 탁본)으로 사용하고, 뒷면의 작은 글자는 신본(新本)을 사용하여,숙종 35년(1709년)에  재차 각하여, 죽관도에 세운(1710년) 것으로 풀이가 된다.

    육향산정의 비각 <1961년에 이 자리로 옮겼다>

    <顯宗二年 先生來守是邦 撰篆東海碑 立於汀羅島 爲風浪澈沈 先生聞而 改書 今 參考兩本 大字用舊本 小字用新本 刻竪于竹串島  時 上之三五年乙丑春三月也>
    현종 2년 선생이 이 곳에 태수로 와서 동해비를 짓고 써,정라도에 세웠으나 풍랑에 물 속으로 잠기니,선생이 이를 듣고 다시 써주었다. 이제 신,구의 두 가지를 참고하여,"척주동해비"라는 큰 글자는 구본<옛 비석의 탁본을 말하는 듯함>을 사용하고,작은 글자인 비문은 신본을 써서 각하여 죽관도에 세운다.  때는 숙종 35년 을축년 봄 3월이노라.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허목은 1682년에 사망하였으므로, 1709년에 다시 비문을 써준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1708년 비석이 부서져 당시 부사 홍만기(洪萬紀)가 사방으로 비문을 찾다가, 문생(門生) 한숙(韓塾)의 처소에서 원문을 구하여 모사개각한 것을, 1709년 2월 부사 박내정(朴乃貞)이 죽관도(지금의 육향산) 동쪽에 비각을 짓고 옮겨 세웠다"는 김구용의 [척주지](1848) 내용이 옳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先生聞而 改書" 부분의 풀이가 명확치 못하다. 또한 미수 재임시 비의 파손으로 재차 건립하였었다는 설도 있으나, 학술적으로 좀더 전문성이 있어야 확인되겠는데, 여하튼 이 비는 이렇게 세월을 맞이해오다가, 세워져있는 위치가 음지인 관계로 훼손의 여지가 많아, 유지들의 건의에 따라 ,1969년 12월 6일, 현재의 위치인 육향산 산정으로 다시 이전 준공하였고, 지방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으니, 동일한 비가 두 번씩이나 제조되고, 장소는 3군데나 옮겨다니는 진기록을 가지게 되었다.

    이 비문을 지니고 있으면 재액이 물러가며,가정에 안녕과 번창이 온다는  믿음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를 간직하고 있으며, 현재 허목 후손의 댁에 소자(小字)로 씌여진 고본(稿本)이 전하고 있다.

    4. 조선 중기서예의 흐름과 허목의 전서

     (1) 17세기 중국의 전서

    일반적으로 전서의 입문은 금문(金文),대전(大篆)을 거쳐, 진(秦. BC221-205)의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를 그 전범(典範)으로 하고, 당나라 이양빙(李陽氷)의 전법(篆法)을 거치는 것으로서 정통성을 확보하게 된다.  

    허신과 이양빙의 연대 차이는 약 900년 정도가 되는데도 불구하고,도판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양빙의 삼분기(三墳記)는 옥조전(玉조篆)이라는 전서로서, 운필(運筆)이나 결구(結構)에서 설문해자와 큰 차이가 없다. 이는 허신 이후 당(唐) 중기까지 전서의 변화가 많지않았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양빙 이후 약 1,000년이 경과한 17세기경 청(淸)에서 주로 쓰여진 전서 역시, 이양빙의 전서와 비교하여 차이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전서는 서체가  실용성이  적어, 쓰임새가 많지않다보니 자연히 연구가 활발치 못하게 되므로서 빚어진 결과로 보아야 한다. 비액이나 인장등 극히 한정적인 용도에만 사용되어,폭넓은 변환을 이끌어내지 못하였던 것이다.

     

    唐 李陽氷의 三墳記碑(762년)

    이후 약 100년간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다가 , 등석여(鄧石如 1739-1805)가 출현하여 일신된 전법(篆法)을 제시하면서, 이후 서령8가(西령8가)등 여러 전각가와 오창석(吳昌碩),등산목(鄧散木),제백석(齊白石)등 전서,전각의 대가들이 출현하여 중국 금속예술의 꽃을 피우지만, 그렇게되기 전, 17세기 초중반의 전서는 그 모양이 단아하고 정돈된 세련미를 특징으로 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예술성을 추가하지 못하므로서, 행서나 기타 서체의 발달에 비한다면 정체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암(李암)의
    문수사장경비전액(文殊寺藏經碑篆額)(1327)
     

    (2) 조선중기의 전서   

    이렇듯,당 이후 송,명,청에 이르기까지 전서의 답보적 상태는 조선 중기 우리 서단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중국과의 교류에 의해서 행서 위주의 변화는 꾸준하였으나, 전서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워낙 부족하고,또한 좋은 교재를 입수하기가 어려웠던 때문에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못하였다.

    금석학의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당시 조선으로서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조선말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 1953)이 전서와 전각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기 직전까지 계속되었으니, 조선에 전서 명가는 있었어도 명품은 없다시피한 것은 이러함에 기인한다.

    조선 중기의 전서는 여말이나 선초의 전서와 크게 변화없이 소전(小篆)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주로 행서와 초서가 쓰여지던 시대였다. 고려말 조맹부(趙孟부)의 영향을 받아 소위 송설체(松雪體)가 주류를 이루던 조선 초의 서풍은 다시금 왕희지(王羲之)풍으로 복고하면서 사자관(寫字官)   한호(韓濩 1543 - 1605 )의 서풍이 조선 전역에 큰 흐름을 가지고 있던 시절이었다.

    전국을 풍미하는 행서 일변도의 서풍에 상대적으로 해서,예서는 그 중요도가 떨어지게되었으며, 그 중 전서는 현상이 더욱 심하여,  비액을 쓰거나 인장을 새기는 경우등을 제외하면 그 쓰여지는 예가 극히 드믈었다.

    이렇게 빈곤한 환경 속에서도 꾸준히 전서가 명맥만은 유지하고 있었으니, 대표적인 서가로는 김상용(金尙容 1561- 1637), 김수환(金壽恒.1629-1689), 이정영(李正英,1616-1686), 김진홍(1621-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김상용은 대전과 소전을 두루 갖추어 굵은 획으로 비액(碑額)을 많이 썼는데, 특히 평양에 있는 숭인전비(崇仁殿碑) 두액(頭額)은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이정영 역시 엄정한 소전풍으로 전서를 썼으며, 미수의 고전(古篆)에 대하여 강하게 비판하고 나선 인물이다.

    篆韻(전운)이란 전자운서(篆字韻書)를 지은 신여탁(申汝擢),삼전도비 전액을 쓴 여이징(呂爾徵),전문자관(篆文字官)으로서 전자편람(篆字便覽)을  펴낸 경유겸(景惟謙)등도 전서를 잘 썼다.

    송계(松溪) 김진흥(金振興. 1621-   )은 전대학(篆大學)이란 학습서와 전자운서(篆字韻書)를 지어 고전(古篆)의 보급에 기여했는데,  그의 묵적으로 알려진 동명(東銘)은 소위 고전38팔체(古篆三十八體) 가운데에서 기자전(奇字篆)이라 불리우는 것으로서 특유의 도안적 형태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도안 형태의 전서는 비명(碑銘)에는 잘 쓰이지 아니하고, 그림이나 서책 또는 전각등에 사용되는데, 당시 제작된 계회도(契會圖) 의 제목글씨로 많이 쓰여져  조선 중기 전서의 한 부분을 장식하게 되었다.

    김상용(金尙容)의
    숭인전비(崇仁殿碑) 두액( 頭額) (1613)

      

    김진흥(金振興)의 동명(東銘)(1667)

    )

    허목의 고문운부(古文韻府)

    (3) 허목의 전서

    이러한 환경 속에서 허목은 하(夏),은(殷),주(周),삼대문자(三代文字)인 고전(古篆)을  집중 탐구하여 특유의 전서를 창안했는데 그 연구결과는 그가 평생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펴낸 고문운부(古文韻府) 9책,금석운부(金石韻府) 2책,고문운율(古文韻律) 4책에 잘 나타나 있다.

    조선 영조때 학자이며 일세의 문장가인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는 자신의 시문에서 "지금 동해비를 보니 그 문사(文辭)의 크기가 대해(大海)와 같고 그 소리가 놀란 파도와 같아 만약 해령(海靈)이 있다면 그 글씨에 황홀해 질 것이나, 허목이 아니면 누가 다시 이 글과 글씨를 썼겠는가"라고 감탄했으며, 미수의 학덕과 인품을 흠모하던 정조(正祖)는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 이명기에게 명을 내려 허목의 초상화를 그리게 한 뒤, 대궐안에 비치하게 할 정도였다

    반면, 당시 온건한 필법으로 서예계를 대표할 만했던 이정영(李正英) 같은 사람은 그의 광서괴행(狂書怪行)을 마땅치 않게 생각한 나머지 왕에게까지 그의 체를 금할 것을 청한 일도 있었다. 그러나 그는 조금도 개의치 않고 집비(集碑)에서 배운 서체라 자칭, 여전히 이 법을 고수하였다 한다. 이정영의 이러한 간섭을 냉소하며 지었다는,"朝日上東嶺 煙霞生戶窓 不知窓外事 墨葛寫과두" 운운하는 풍자시는 이러한 서풍을 고집하는 그의 심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규상(李奎象)은 "미수의 획은 철획법(鐵劃法)으로 삼엄하기가 진한(秦漢)  이전의 획과 같았다." 고 말하고 있으나, 근대의 한문학자   임창순은 "중국에서 수입된 위조 하우전(夏禹篆)등 고전이 아닌 위전(僞篆)으로 익혔으나, 전서를 쓰는데 행서의 필의를 운용하고 행초에는 전법을 구사하는 등 새로운 형태를 창안하여 이채를 띄었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정영(李正英)의
    김성휘묘갈명두전(金成輝墓碣銘頭篆) (1690)

    허목의 전서

     

    허목의 행서 - 잡지(雜誌)

    미수의 전서는 자형이 매우 복잡하며, 편봉을 과감히 사용했다. 반면 그의 행서에서는 오히려 전서 쓰듯 엄정하게 써내려간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행서보다는 전서가 더 엄중하게 느껴지게 마련인데도 불구하고, 미수의 경우 전서는 변화무쌍하고 가는 획인 반면, 행서,또는 행초의 경우 무게가 있고 장중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미수가 그의 전법을 완성함에 있어 고전에 근거하였다고는 하나,문자학적 측면에서 볼 때 정통성에 의아심이 가는 것은 사실이다. 즉, 설문해자 또는 이양빙의 전서를 입문치 아니하고, 금석운부(金石韻府)와 같이 조작된 글자가 많은 자본(字本), 또는 후인의 위작(僞作)이라 하는 하우(夏禹)의 비 등을 답습한 데에서 빚어지는 결과이다. 심지어 그의 전서를 잡전(雜篆)이라하여 정통서예에 비하여 하잘 것없는 자체(字體)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학습입문과정에서는 그러하나,그가 독창성과 개성을 두드러지게 하여 풍부한 예술성을 살리므로서 전서의 다양화에 기여하는 고전(古篆)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는 가치를 부여해야한다. 

    또한 그는 중국,조선 양국이 공히 전서를 중히 여기지 아니하던 시대적 상황에서 고문을 깊이 연구하여, 전에 볼 수 없었던 특유의 서체를 개발하고,그의 문인들에게 물려주므로서, 조선사회 전서의 내재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서예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간과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그의 전서작 중에서 척주동해비를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영상이원익비(領相李元翼碑), 구산사비음기(龜山祠碑陰記) 등 많은 금석을 남기고 있으나 , 단지 유감스러운 점은 그의 복잡 미묘한 필획에 대한 각을 정교히 할 수가 없었던 관계로, 금석문에서는 육필과 같은 생동미가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허목의 천마비명(天摩碑銘)

     

    5.  비 문 풀 이

    州古悉直氏之地 在예墟 南去京都七百里 東臨大海 都護府史 孔岩 許穆書

    척주는 옛날에 실직씨의 땅이요, 예나라의 터 남쪽으로, 서울로부터 700리요, 동쪽으로는 큰 바다에 임하여 있다. 도호부사 공암 허목 쓰다

    註 :

    悉直氏

    신라 사바왕 때 이 곳을 지배하던 토호로서 102년 신라에 항복하였다.  

     

    예맥 예. 예맥은 옛 우리나라 동북방면밖에 한민족의 근간이 되는 민족이다.

    瀛海망瀁   영해망양

    바다 가없이 일렁이고

    瀛   바다 영
    망   아득할 망
    瀁   넓고출렁일  양

    百川朝宗   백천조종

    온갖 냇물이 흘러드니

    朝   흘러들 조
    宗   흘러들 종  

     

    其大無窮   기대무궁

    그 큼이 끝이 없어라

     

     

    東北砂海   동북사해

    동북은 모래바다

     

     

    無潮無汐   무조무석

    밀물 썰물 없으므로

     

     

    號爲大澤   호위대택

    대택이라 이름했네

     大澤 - 동해를 이름

     

    積水稽天   적수계천

    쌓인 물은 하늘에 다다르고

     稽    다다를 계

     

    渤휼汪濊   발휼왕회

    출렁댐이 넓고도 아득하니

     渤    물솟아오를 발
     휼    샘솟을 휼
     汪    넓을 왕
     濊    물많은모양 회

    海動有에   해동유에

    바다의 움직임엔 음산함이 서려 있네

     에    음산할 에

    明明暘谷   명명양곡

    밝디 밝은 양곡은

     暘    해돋을 양
     暘谷 - 해 뜨는 곳

     

    太陽之門   태양지문

    해뜨는 문이로다

     

     

    羲伯司賓   희백사빈

    희백이 공손히 해를 맞으니

     羲    복희 희
      伯   맏 백

     羲伯 - 요임금 때 천지와 사시를 다스리던 관원

     

    析木之次   석목지차

    석목의 위차요

     析木 - 동쪽(寅方)에  위치하는 두 별

     

    牝牛之宮   빈우지궁

    빈우의 궁으로

     牝   암컷 빈
     牝牛 - 丑方의 두 별

     

    日本無東   일본무동

    해 돋는 동쪽의 끝이로다

     

     

    鮫人之珍   교인지진

    교인의 보배와

     鮫   상어교
     鮫人 - 물속 괴물. 울면 눈
     물이  모두 구슬로 변한다.

     

    涵海百産   함해백산

    바다의 온갖 산물

     涵   적실 함   포용할 함

     

    汗汗漫漫   한한만만

    많기도 하여라

     汗   땀 한   물많을 한
     漫   물넓을 만

     

    奇物譎詭   기물휼궤

    기이한 물건 조화를 부려

     譎   속일 휼
     詭   속일 계

     

    宛宛之祥   완완지상

    너울대는 그 상서는

     宛   완연할 완    굽을 완

     

    興德而章   흥덕이장

    덕을 일으켜 나타남이로다

     章   글월 장   드러날 장

     

    蚌之胎珠   방지태주

    조개는 진주를 잉태하고

     蚌   조개 방  
     胎   태아 태  처음 태

     

    與月盛衰   여월성쇠

    달과 함께 성하고 이지러지며

     

     

    旁氣昇비   방기승비

    기운을 토하고 김을 올리고

     旁   곁 방   도울 방
     비   눈비많이내리는모양 비

    天吳九首   천오구수

    머리 아홉인 천오와

     天吳  - 水伯으로 머리는 범과  같고  몸은 사람 같다.

     

    怪夔一股   괴기일고

    외발 달린 기는

     夔  외발달린소 기. 용같이 생긴 외발달린 짐승.

     

    태回且雨   태회차우

    태풍을 일으키고 비를 뿌리네

     태 -  큰 바람 태

    (風+幷)

    出日朝暾   출일조돈

    아침에 돋는 햇살

     暾   해돋을 돈

     

    교軋炫煌   교알현황

    찬란하고 눈부시니

     교   섞여 어지러울 교
     軋   서로다툴 알
     炫    밝을 황
     煌    밝을 황

    紫赤滄滄   자적창창

    자주 빛 붉은 빛이 일렁거리네

     滄    넓고아득할 창

     

    三五月盈   삼오월영

    삼오야 둥실 뜬 달

     

     

    水鏡圓靈   수경원령

    물은 거울이 되어 주위를 신령스레 되비추니

     圓靈 - 하늘

     

    列宿韜光   열숙도광

    늘어선 별들이 빛을 감추네

     韜   덮어가릴 도
     列宿 - 별자리

     

    搏桑砂華   부상사화
    (搏은 扶의 잘못인듯)

    부상의 사화와

     搏   잡을 박   칠 박 
     扶桑 - 동해에 있는 神木.  그
     아래에서 해다 돋는다고 함.
     砂華 - 동해에 있는 나라

     

    黑齒麻羅   흑치마라

    흑치의 마라와

    黑齒,麻羅 - 남만에 있는 종족

     

    撮계보家   촬계보가

    상투 튼 보가며

     撮    모을 촬
     계   상투나 쪽 계
     보   풀이름 보
     보家 - 부족,종족이름

    단蠻之호   단만지호

    단만의 굴과 조개

     단<연>   종족이름 단 
     蠻   오랑캐 만
     호   굴조개 호
     단<연>蠻 - 부족의 이름

    爪蛙之후   조와지후

    조와의 원숭이

     蛙   개구리와 

     후   원숭이 후
     爪蛙 - 부족,종족이름

    佛齊之牛   불제지우

    불제의 소들은

     佛齊 - 부족,종족이름

     

    海外雜種   해외잡종

    바다 밖 잡종으로

     

     

    絶黨殊俗   절당수속

    무리도 다르고 풍속도 다른데

     

     

    同유咸育   동유감육

    한 곳에서 함께 자라네

     유   동물을 기르는 동산 유

    古聖遠德   고성원덕

    옛  성왕의  덕화가 멀리 미쳐서

     

     

    百蠻重譯   백만중역

    모든 오랑캐들에게 거듭 알려져서

     

     

    無遠不服   무원불복

    멀리까지 복종하지 않는 곳이 없었네

     

     

    皇哉凞哉   황재희재

    아아, 크고도 빛나도다

     皇   임금 황   밝을 황
     凞   화할 희

     

    大治廣博   대치광박

    큰 다스림은 널리 퍼져

     

     

    遺風邈哉   유풍막재

    남겨진 풍모는 끝이 없어라

     邈    멀 막
     遺風 - 세대에서 남긴 풍속과  교화 

     

    顯宗二年 先生來守是邦 撰篆東海碑 立於汀羅島 爲風浪澈沈 先生聞而改書 今參考兩本 大字用舊本 小字用新本 刻竪于竹串島  時 上之 三五年 乙丑春三月也

    현종 2년 선생이 이 곳에 태수로 와서 동해비를 짓고 써,정라도에 세웠으나 풍랑에 물 속으로 잠기니,선생이 이를 듣고 다시 써주었다. 이제 신,구의 두 가지를 참고하여,"척주동해비"라는 큰 글자는 구본<옛 비석의 탁본을 말하는 듯함>을 사용하고,작은 글자인 비문은 신본을 써서 각하여 죽관도에 세운다.  때는 숙종 35년 을축년 봄 3월이노라

     

    6.  결   론

    전술한 대로 허미수의 전서는  문자학적 정통성 확보라는 면에서 찬반이 뒤섞인다. 하지만 고전(古篆)을 연구하여   이를 체계화하고 책을 펴내 보급하며, 더구나 전서 불모지나 다름없는 조선에 전서를 인식시키므로서 행서 일변도의 서예계를 다변화시겼다 하는 것만으로도  그의 서예사적 공헌은 높이 평가 받아야 한다.

    세인들로부터 괴기하다는 평을 들은 추사나 미수의 글씨.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자산으로 쌓여질 때, 비로서 우리 민족 특유의 대동서예(大同書藝)가 정착될 것이다. 단,민족적 긍지를 살리는데 급급하여, 결점에 대한 비판은 덮어둔 채, 장점만 과대평가하는 것은 학술적 자세로 볼 수 없으며, 결국 민족에게 해가 된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하겠다.

    <스크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