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식이 지리탕>
 
바닷 속 생선들은 종류가 많기도 하다.
야생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야생화 이름을 많이 알고, 낚시꾼들은 생선이름을 많이 알고 있지만 이것도 저것도 아닌
엄마는 그 걸 다 외우기에도 숨이 턱에 찬다.
 
통영에서 처음 만나 이름도 생소하던 달갱이의 나비 같은 아름다운 지느러미~
먹어보긴 했는데...삼식이가 못났다는 말만 들었지 첫 대면한 정말 못난 쑤기미를 삼식이로 알고 조리를 했다. 그래서 그 실수로 삼식이에 대한 것을 많이 배웠다.
 쑤기미는 등에 난 독가시에 심하게 찔리면 병원으로 가서 해독제를 맞아야 할 정도로 팔에 마비도 온단다. 얼마나 험상궂고 못났던지 못났다는 심식이로만 영판 알고 있었더니 이미지를 본 네티즌님들께서 아니라고 정정해 주셨다.
어제는 장에서 삼식이 두 마리를 샀다. 얼굴을 제대로 보여주리란 생각에 집에 와서 열어보니 웬걸 친절하게도 토막으로 일일이 해체시켜 놨다.
<이런!...토막쯤이야 나도 잘 할 수 있는데...ㅉ!!!>
 
알이 들어 있었다. 삼식이가 제 철인가보다. 무슨 생선이든 산란기 때가 제일 맛난다.
봄 산란기에 이르러 맛있는 대표적인 것으로 도다리, 대게 등이 있다.
그래서 봄에 유독 맛있어지는 거다.
보통 물고기들도 찬바람이 불고 수온이 낮아지는 가을에 살이 단단해져서 대체로 다들 맛이 좋아지지만,
쑤기미로  삼식이로 착각할 때 백과사전에서 찾아 본 것인데 삼식이는  난태생이란다.
그러니까 알을 품었지만 뱃속에서 부화하여 새끼를 낳는 고기를 말함이다.
집에서 기르는 작은 열대어 구피도 난태생의 한 예이다.
 
삼식이는 쏨뱅이란 학명이 있는데...매운탕으로 알려지면서 삼식이로 많이 알려지고 부르게 되었다.
요즘 암컷은 알이 찼고 숫늠은 생식기도 벌쭘히 나와 있어서 구분이 쉽다한다.
유달리 비타민A가 많은 특이한 어종으로서 피부미용에는 물론 시원하게 지리로 끓여내면 비린내도 적고 기름기도 없어 감기에는 그저 그만이란다.
지리로 끓여내기에 좋은 생선은 첫째 비린내가 없어야하고 기름기가 없이 담백해야 한다. 물론 신선도는 두 말 할 필요도 없다.
지리로도 괜찮은 생선으로는 복이나, 대구, 물메기 등이 있다.
추운날 따끈하고 시원한 지리탕 한 그릇이면 감기쯤이야 겁날 거 없다.
 
만드는 방법은 별 다른 거 없이 무와 콩나물을 (둘 중에 하나만 넣어도 된다)넣고 먼저 물을 끓이다가 소금 조금 넣은 뒤 손질해둔 생선을 넣고  그 외 마늘, 파, 미나리, 쑥갓 등을 넣으면 되는데....
추석 명절때 줄기미나리를 7,500원하더니 명절 뒤에는 4,500원 하더구나 2,500원 쯤 하면 사올 텐데 너무 비싸서 눈 감았다.
쑥갓만 넣어도 맛은 훌륭하더구나.
삼식이 육질은 그런대로  탱글거렸고  꼬리나 지느러미 쪽에 젤라틴이 많아서 쫀득거리는 고소함이 한껏 풍미를 돋구어 주었다.
 
지리로 끓일 때 선도가 떨어지거나 하여 혹시나 날까 두려운 비린내 잡는 데는 식초 한 스푼이 제 격이다.
국에 넣기가 싫으면 지리탕에  곁들이는 찍어 먹을 와사비간장이나 양념간장에 식초를 섞어서 내면
찍어먹는 생선 맛이 한결 깔끔한 맛이 돌아서 낫다.
 
삼식이 매운탕에는 별 다름없이 고춧가루만 더 풀어내면 된다.
 
좀 더 가을이 깊어지고 날씨가 쌀쌀해지면 겨울철 별미로는  물메기탕이 있다.
물메기는 곰치 혹은 물텀벙이라고도 불리는 데 위에 말한 삼식이 지리처럼 끓여내면 아주 시원한 탕이 된다.
 
날씨가 쌀쌀해지는 요즘 단백질과 칼슘이 많은 시원한 생선 지리탕으로 식탁을 꾸며보기로 하자!
 
 
<생선 지리탕은?>
 
담백한 생선으로 지리매운탕을 만들 때는 별 방법은 따로 없으나
알아두면  유용한 방법 그대로 재료만 바꾸면 된다.
대신 살이 좀 무른 물메기 같은 것은 마지막에 넣어 살짝만 (5~6분간만) 익혀내어야만 살이 물크러지지 않는다.
생선은 냉동이나 반건조는 비린내가 날 수도 있다. 언제나 생물이 더 시원하고 맛이 좋다.

생선이므로 미나리나 쑥갓 둘 중에 하나는 필수!!
 

<지리매운탕 만드는 방법>
 
 
 1. 생선은 깨끗이 씻어  머리를 자르고 배를 갈라 내장을 떼고 배에 붙어 있는 검은 막도 말끔히 훑어 낸  다음 끓는 물을 끼얹어 손질이 덜 된 잡티를 없앤다.
2. 표고버섯도  맛이 잘 우러나게 손질해두고, 배추는 길이로 쭉쭉 잘라 5㎝ 길이로 자른다.  미나리줄기도 5㎝ 길이로 자른다.
3. 무는 나박 썰어둔다.
4. 굵은 파는 어슷하게 썰고, 쑥갓을 준비한다.
5. 지리 끓일 냄비에 다시마를 넣고 찬물을 부어 30분 정도 우렸다가  불에 올린다.
   끓기 직전에 다시마는 건지고 무를 넣고 소금으로 싱겁게 간한다.
6. 국물이 팔팔 끓으면 손질한 대구와 준비된 야채, 파 마늘을 넣고 대구살이 익도록 끓인다.
7. 쑥갓 잎을 얹고 불에서 내린다.

 

tip
야채는 (무나,콩나물)  (미나리, 쑥갓) 중 택일  선택을 하여도 되고 버섯은  팽이나 표고나 있는 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소스만들기/ 실파는 송송 썰어 넣은 간장에 무를 강판에 갈아낸 즙을 한데 섞고 넣고 다시마 국물과 식초를 섞어 만든 지리 소스를 곁들여 건더기를 찍어 먹는다.  (간장1) (무즙1) (육수, 식초1) 실파 송송. 고추장냉이를 곁들여 내면 좋다.( 엄마는 간단모드/ 간장1:식초1:물1)
 
매운탕으로 만들 때는 위의 방법과 동일한데 양념으로  고추장 조금과 고춧가루로 매운 양념을 해주면 된다.
얼큰한 것이 더 좋다면 청량고추로 마무리 하면된다.

 

딸에게 엄마가 

  

삼식이 흰배를 뒤집고 있다. 

 

 

알이 배었다./10월 5일 

매운탕이든  (고춧가루만 있으면)지리든 준비를 하고.... 

끓여낸다. 

쑥갓을 얹어 상에 내고, 

살은 탱글탱글, 

젤라틴은 쫄깃쫄깃.....쫀득인가?

 

고추냉이장에 찍어서~

 쫀득한 바로 저 맛 때문이다.

한 냄비로  둘이서 다 먹었다. (2.5인분 밖에 안되는 셈)

.

가시만  수북하고(한 마리분)...........삼식이와 착각했던 쑤기미!

 

 

<물메기/물꼼/물텀벙> 

 물메기는 요즘 신분이 귀해졌다. 

kg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지만 대략 1만원~ 3만원 이상 까지도 있다. 

물메기는 내장도 함께 끓여내면 그 맛이 더 깊다.
 

 

 

 

<물메기지리탕> 
물메기는 물곰또는 곰치라고도 불리는 쏨뱅이목 꼼칫과로 탕과 회, 찜으로 먹는 겨울이 제철인 생선이다.
머리의 폭이 넓고 입이 커서 민물고기인 메기에 빗대 물메기로 불린다는데,
예전에는 생선 축에도 못 끼어서 어부들이 잡아서는 그냥 버리는 잡어의 한 종류였다 한다.
이름도 없어서 바다에 던지면 텀벙 소리가 난다해서 물텀벙이라는 이름을 갖게도 되었다 한다.
 한 어부의 아내가  끓여냈더니 얼마나 시원했던지 그 후로 입소문이 돌고 돌아  지금은 술꾼들에게 좋은 술안주 또는 해장 술국이 되어 준단다.
 무나 콩나믈, 고춧가루 약간을..넣고 끓여내면 시원한  탕이 되는데 그 살코기는 물컹물컹 흐믈흐믈한 게 씹지 않고도 넘어가는 이 맛을 알고 나면  누구나 영원히 못 잊는 맛이 된다한다.
생선국인데도 전혀 비리지가 않고 시원한 맛이 가히 일품이다. 거제도 지방에서는 떡국을 넣어 끓이는 별미도 있다한다. 
물메기는 내장도 함께 끓여내면 그 맛이 더 깊다.

 

 

 

 

물메기탕은 고춧가루를 뿌려 색을 냈지만 사실은
거의 맑은 국이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요리편지 > 국과 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장국(북어김치콩나물국밥)  (0) 2007.11.05
육개장 그리고 온면  (0) 2007.10.25
힘이 불끈솟는 가을'추어탕'  (0) 2007.09.03
쑥국(艾湯), 봄에는 쑥에서 기(氣)를 얻고  (0) 2007.03.29
감자탕  (0) 2007.01.18

쑤기 

 

#

 

이 번 여행은

고성, 자란만 일대에서 일주일을 묵었으니....

자란만 해안도로를 그리며 새벽마다 어판장으로 나가 늘 생선으로 사오니

다른 생선이야 그런대로 손질했으나

삼식씨만은 아니다.

손질하기가 영-마뜩찮았다.

 

함께 간 언니네도 둘 다 젬병,

동생네도 젬병,

그나마 내가 하겠다고 큰 소리 뻥뻥치고 왔으니

갖고 놀았다는 수준이 더 옳겠다.

아니다

삼식이가 날 갖고 놀았다.

 

#

 

갯장어(하모)는 사람을 불러다 손질했지만

대야채로 경매를 부탁하여 사 온 잡어중에 삼식이가 딱 걸렸다.

걍 버리자, 말자로 분분하다가

<맛있짜너....>란

통일된 대답에 어찌해보긴 해얄텐데...

<이 늠 보게나 명이 보통 질긴 게 아니다>

역시 생긴 모습답다.

나는 이늠들을 깍뚜기라 명명했다.

정면으로 바라보자니 이늠들 역시 人面魚(인면어)같다.

<어라....혓바닥에도 문신을 했짜너,,,>

 

#

 

여튼 인상 하난 드럽다.

어부들이 던져내버렸다는 말에 수긍이 간다.

근데...삼식이 매운탕이 맛있다니...

새벽 일찌감치 사 온 삼식이가

미처 양이 많아 손질못한 여타 종류님들은

세상을 뜨셔도

물 한 방울 없이 11시가 되어도 살아계신다.

 

#

 

어판장 1번 할머니

첨엔 우리 꼬라질 보더니

제꺽 알아차리시고는

가시 절대 조심해야 된다시며 당부, 당부를 하셨다.

그 말을 듣고는 더욱 무서워서

나는 삼식이 명줄이 끊어지길 바랐으나

삼식이는 칼 들고 앉은 내 명줄을 기다리는 것 같았다.

우-C~

 

#

 

세 마리중▲

한 넘은 가셨고(右)

左측 늠은 가시를 눕힌 채 기진상태였지만 살았다.

죽은 줄로만 영판 알고는

칼을 찔렀다가 칼이 꽂힌 채로 펄떡대는 바람에...<음마야!!!!>

난 손을 놓고 엉덩방아를 찧고! ^^;;

하지는 못하면서 언니는 말로만

칼등으로 머리통을 빡쎄게 때려주란다.

(요는 먼저 기절시키라는 말,)

그 늠은 알을 통통히 밴

어미였었다.

 

#

알이 있어서 알을 낳는지 알았는데...

허허, 고늠 참!

새끼를 낳는단다.

난태생

이야기가 쪼메 거시기하지만

큰 숫늠은 교미기도 벌쭘히 나와 있어서 구별이 된단다.

거,

암만봐도 얼굴이 보이더만

뭔가 달라도 달러!!

역씨~

 

#

등에 가시침을 있는대로 곤두세운

가운데 늠은 찌그러진 인상으로 나랑 기싸움을 하자하고,

정식학명은

쏨뱅이 [scorpion fish/marbled rockfish]

라는데, 

지역마다 이늠들 이름이 각기 다르단다.

 

#


 부산에서는 ‘삼베이',

청산도에서는 복조개'.

순천에서는 ‘삼뱅이',

완도에서는 ‘쑤쑤감펭이',

통영에서는 ‘자우레기’,

전남 지역에서는 ‘쑤염어’,

제주에서는 ‘쏠치’, '우럭’,

서산은 ‘감팽이’,

경기지역에서는 ‘삼식이’,

해남에서는 ‘쏨팽이’로 부른다.

 

해서 여타 - 쫌배
- 쫌뱅이라고도 불리는 삼식이는 이름도 많다.

매운탕이 알려지면서 삼식이라는 이름으로 요즘에는 대개 통한다.

 

 

#

아무리 서식지에 따라 그 빛깔이 다르다고는 하지만

이렇게 못난 삼식이는 첨 만났다.

하지만 용서해준다.

맛있으니까...

 

얼마나 맛있었던지

완성된 매운탕 사진이 없다는 결과만 낳았다.

살은 단단하고 맛은 담백했다. 비타민A가 풍부하다는 별쫑!!

<거 참 희안하게 맛있데...???>

.

.

.

.

.

.

.

삼식이를 검색하다가

엉뚱한 거 알았다.

완전히

삼식이 덕이다.

 

 

 

삼식 [三食]
[명사]아침, 점심, 저녁의 세 끼 식사.
삼식 [三識]
[명사]<불교>
1 마음가짐의 더럽고 청정함에 따라 나누는 세 가지. 말나식, 아뢰야식, 암마라식이다.
2 세 가지 마음가짐. 진식, 현식, 분별사식이다.
삼식 [糝食]
[명사]<역사> 궁중에서, 제사 지낼 때 두(豆)에 담던 제물.

 


말나식 [末那識]
[명사]<불교> 삼식(三識)의 하나. 모든 감각이나 의식을 통괄하여 자기라는 의식을 낳게 하는 마음의 작용. 객관의 사물을 자아로 여겨 모든 미망(迷妄)의 근원이 되는 잘못된 인식 작용을 이른다. ≒말나(末那)·사량식.

아라야식 [阿羅耶識]
[명사]<불교> 삼식(三識)의 하나. 모든 법의 종자를 갈무리하며, 만법 연기의 근본이 된다. ≒뇌야·무몰식·아라야·아뢰야식·알라야식·장식(藏識)·종자식.

 암마라식(菴摩羅識)이란, 청정(淸淨)이라는 뜻이며 완전한 인간, 곧 절대의 깨달음자리.

 

 

 

 

카테고리...음식이야기로 분류해야하나?

동물이야기로 분류해야나?

마, 여행Photo 다.

 

글:사진/이요조

 

 

上記 ▲ 이랬던 삼식이는 통영에서 잡힌다는 쑤기미로 정정합니다.

 

등에 있는 지느러미가 침입니다.
 독이 세어 어른들도 한쪽 팔이
미비가 될정도라는군요
 매운탕을 끊여 놓으면

사진을 깜빡잊고 못찍을 만큼 끝내줍니다.

 

 


 

< 쑤기미 >  Inimicus japonicus(Cuvier)

 

   쑤기미는 쏨벵이목(目) 양복낚과(科)에 속하는 물고기로 껍질이 우둘우둘하여 꼭 악마나 귀신을 연상 하리만치 흉측하게 생신 물고기 입니다. 몸 색깔은 수심에 따라 변화가 심해 보통  연안에 서식하는 것은 흑갈색 또는 유백색을 띠고 깊은 곳에 서식하는 것은 붉은색 또는 노란색을 띱니다.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의 가시는 강한 독을 가지는데 가시에 찔리면 그 통증은 불로 지지는 듯하고 채찍으로 치는 듯하여 견디기가 힘듭니다. 통증이 너무 심하기 때문에 견디다 못한 환자는 치료에 좋다는 주변 사람들의 말에 사람의 배설물에 상처를 담그는 것조차 주저하지 않을 정도 입니다.

 

   쑤기미의 영명인 "devil stinger(쏘는 악마)"나, 일명인 oniojoze(흉측하게 생신 귀신물고기)"는 이 물고기의 모습이 추하고 가시에 독이 있는 데서 유래된 것 입니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는 쑤기미를 "범치"라고 부릅니다. 범치는 "범처럼 무서운 물고기" 라는 뜻으로 예로부터 사람들이 이 물고기에 쏘이는 것을 얼마나 두려워했는지를 그 이름에서 알 수 있읍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바닷가 사람들에게 "쑤기미"라는 별명이 많은데 그것은 쑤기미의 못생긴 모습 보다는 기질이 강하고 독한 사람을 일컬을 경우가 많읍니다.

 

 

쑤기미는 복어회에 버금가는 맛, 향, 탄력

 

 

   이런 쑤기미의 특성은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도 잘 나타나 있읍니다. 정약전은 쑤기미를 "손치어"라 하였고 속명을 "쏘는 물고기"란 뜻으로 "석어"라 하였읍니다. "등지느러미에 강한 독이 있고 성이나면 고슴도치처럼 되고 적이 가까이 가면 찌른다. 사람도 이것에 띨리면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아프다" 고 하였읍니다. 쑤기미는 이처럼 무서운 독을 가지고 있으며 흉하게 생겼지만 맛이 아주 좋은 물고기 입니다. 여름철인 6~8월에 그 맛이 정정을 이루는데 좋은 육수가 나오기 때문에 맑은 국이나 매운탕을 해먹으면 그 시원함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며 회나 찜, 튀김등의 다양한 요리로 이용할 수도 있읍니다. 여름철 통영지역 사람들과 저녁에 술을 마시고 이튿날 아침 해장을 하러가면 으례 쑤기미 매운탕을 먹읍니다. 우리야 아무거나 시원한 국물이 있으면 그만인데, 바닷가 사람들은 물고기 맛을 제대로 알고 먹는지라 제철인 쑤기미의 맛을 그냥 보낼 수 없는가 봅니다. 쑥갓과 양념을 해 끓여온 쑤기미탕은 숙취해소에 아주 그만이더군요.

 

   중국에서는 쑤기미를 노호어(老虎魚)라 하여 민간요법에서 요퇴통과 간염을 치료하는 약제로도 이용하고 있으며 쑤기미에 쏘였을 때는 상처 주위에 10~50ml의 에메틴(emetine)을 주사하면 해독되고 치료되는 것으로 중국 문헌에 소개되어 있읍니다. 일본 사람들이 복어회의 단경기인 여름의 공백기를 메우기 위해 복어회 대신으로 개발한 것이 쑤기미 입니다. 육질의 멋, 향, 탄력등이 복어와 거의 동일합니다. 쑤기미의 맛을 인정하여 일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중국에서도 양식을 산업화 하기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거으로 보아 우리나라도 관심을 가져야 할 어종으로 생각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