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성산읍에 있는 성산일출봉을 가려면  먼저,

 

꼭 이곳에 와서 그를  먼-눈빛으로  먼저 쓰다듬어보고 가셔야 합니다.

 

 

그의 전신이 온전히 다 보이는 곳은 올레길 2코스가 시작되는 광치기해변이기 때문입니다.

 

 

바위에는 녹색이끼가 늘 덮여있어 마주 바라다 보이는 성산일출봉은 가까이서 보는 것과는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와 더욱 신비롭게 보이기까지 합니다.

성산일출봉을 찍으려면 성산포의 전신을 찍으려면 광치기해변으로 출사를 가야합니다.

제주도에서 일출이 가장 아름답다는 성산일출봉 사진은 광치기 해변에서 일출봉을 넣고

찍으면 일출봉은 아침 찬란한 햇살을 받아 마치 황금 크라운관으로 비쳐보인다는군요!!

그래선지 작가들은 일출의 모습을 담으려 광치기해변으로 그 찬란한 모습을 담으려 떠난다는군요!

 

 

성산포에서는 성산포를 한 눈에 다 담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광치기해변은 해수욕장으로는 돌과 이끼와 화강암 굵은 모래로 해수욕장으로는 각광받지 못하여

제 철인 여름이나 겨울이나 늘 한적한 해변이지만 성산일출봉을 찍으려는 많은 사진작가 분들이

심심찮게 즐겨 찾는 명소이기도 합니다.

 

 

 

 

 

 

 

올레길을 도보여행을 해야 정석이지만

차로 이동하였습니다. 서귀포시 남원읍에서 아침을 먹고 느지막히 9시 30분에 출발하였더니

12월의 아침해를 받으며 바닷길로 달리는군요. 제 2코스 올레길을 거슬러 가는 중입니다.

목표는 광비치해변에서 성산 일출봉을 찍고는 성산일출봉으로 올라갈 예정입니다. 

말방목장도 스쳐 지나가고....

 

 

 

오징어와 생선을 말리는 곳을 스쳐지나갑니다.

역광이라 부지런하다면 제대로 된 사진을 얻으려면 차에서 내려 해를 등지고 몸을 눕혀서라도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햇살을 받아 바람에 건들거리며 마르고 있는 오징어를 찍는데....

그래야만 하는데  전 그냥 앉은 자리에서 대충 찍고맙니다.

화강석 돌담만 없으면 영락없는 강원도 어느 해안가 풍경입니다.

 

 

드디어 성산일출봉이 보이기기 시작하고....

자세히보니 용설란입니다.

추운겨울에도 꿋꿋하게 잘 자라는 모양을 보니 제주도, 섬의 기온이 새삼 따뜻하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용설란

 

점점 광치기해변이 다가옵니다.

 

올레코스 안내석이 나옵니다.

광치기해변 오른쪽으로 가면 제 1코스 올레길!

제 2코스 시작은  광치기해변이 됩니다.

 

 

이끼가 새파랗게 바위 전체를 덮었습니다.

성산포 아니고는 이런 그림이 어디에 또 있나요?

 

 

성산포의 수직벽은 사람이 오를수 없어 무슨 식물이 자생하는지 모른다는군요!!

 

 

고려조 말기 삼별초 난으로 인해 제주섬에 들어온 김통정 장군이 「청산」 발치께에 토성(土城)을 쌓은데서
「청산」을 성산봉(城山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과, 성산일출봉(日出峰)의 정상에 빙 둘러선 석봉(石峰)이
마치 산성(山城) 과 같다하여 성산봉(城山峰) 이라고 하였다는 설이 있다.
「일출봉(日出峰)」은 영주십경(瀛州十景)의 하나인 성산일출(城山日出)에서 비롯되어, 최근에야 불리고 있는 이름이다. 
 

 

 

 

 

 

 

 

 

 

 

광치기해변에는 문주란도 잘 자라고 있었다.

 

 

광치기해변의 문주란

 

이제 광치기해변에서 실컷 있었으니

성산일출봉에 올라야겠지요?

 

 

 

 

 

 

 

*등대가 보이는 저 곳 천진항을 지나 우도 등대 올렛길을 오르는 중에 뒤돌아 보며 찍은 사진*

 

8년 전 우도에 처음 발을 들였을 때는 우도 등대를 눈앞에 두고도 못올라갔다.

검멀레해변을 코앞에 두고도 못 내려가봤다. 그 이유는 한라산을 무리하게 오르고 한 이틀 잘 쉬고도 겨우 보폭 짧은 걸음만 시늉으로 떼었지 도무지

다리 근육이 뭉쳐서 오르거나 내려가거나 할 입장이 못되었기 때문이다.

늘 그 부분이 아쉬움으로 가득차 있었는데....우도를 다시 가게됐으니 당연 우도등대 올렛길을 가는 게 큰 관건인 셈이다.

우도 그것구석을 하나라도 놓칠세라 세세히 살필참이다.

 

   우도에서는 제주도 본도를 모도(母導)어머니 섬이라고 칭한다.

 제주도는 유인도 9개 섬 9형제 중 우도는 동쪽끝자락에 위치하며 '우도 장남'이라고도 한다.<헤드라인제주>

 

우도(牛島)를 우리말로 쓰면 "소섬"이다. 섬의 모양새가 "드러누운 소"의 형상이라 하여 "소섬"이라 불리었고 우도라는 이름은 이에 유래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우도라는 지명은 설촌의 시기로 보고 있는 헌종9년(1843) 이전부터 쓰여져 왔음이 기록상 나타나고 있다.

광무4년에는 "물위에 뜬 두둑"이라는 의미의 연평(演坪)이라는 지명으로 바뀌어 오랫동안 행정 구역명칭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1986년 4월 1일 연평리가 우도면으로 승격 되면서 다시 우도라는 지명을 사용하게 되었다.

 

우도에 사람들이 정착하여 살기 시작한 것은 조선조 헌종 9년(1843)경부터이다.
물론 그 이전부터 사람들의 왕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우도에서 생산되는 해산물을 채취 하기위해,그리고 숙종 23년(1679) 이후 목장이 설치되면서 부터는 국마를 관리,사육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했다.
순조23년(1823)부터 제주 백성들이 계속하여 우도의 개간을 조정에 요청하게 되었고 헌종8년에는 이를 승인 받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이 우도에 들어가 땅을 개간하기 시작 한 것은 그간 우도에서 방목하던 마필을 다른 목장으로 반출한 이후인 헌종9년 봄 부터이다.

 

섬이라는 지리적 환경적 여건상 우도지역의 신앙이나 세시풍속은 바다와 관련성이 깊다.
우도의 각 마을에는 바다로부터 오는 사(邪)를 막기 위하여 세웠다는 방사탑(防邪塔)이 많다.
지금은 많이 없어졌지만 아직도 일곱개의 방사탑이 보존되고 있다.
새해를 맞이하고 정월 초정일(初丁日)이 되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 는 유교식 마을제인 포제를 지낸다.
이 제의 준비가 시작되면 마을 입구에는 부정한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하는 금줄이 쳐지고 제관으로 참여하는 사람은 부정을 멀리 한다 하여 합숙을 하며 지내는등 정성을 기울이는데 엄격하기 이를데 없다.

 

비와사폭포

비가오면 우도봉 근처 빗물이 흘러 폭포가 되어 기암절벽위에서 우레와 같은 소리를 내며
쏟아져 내리는 하얀 물기둥은 바다로 간다.
"비가오면 절벽에서 폭포가 만들어져 내리는 폭포, 비와사 폭포"
바닷물은 빗물의 집합체 이 아름다운 경치는 그림같은 절경을 만들어 놓았다.
폭포수의 양옆 깍아지른 암벽 풍광이 빼어나 수직으로 내리는 물줄기, 소리내며 세차게 떨어지는 모습은 장관이며 폭포속에 햇빛이 내리쬐면 무지개색이 나타나 더욱 더 감동을 준다.
절벽에는 식물들이 울창한 숲과 군락을 이루며 고귀한 풍란이 자생하고 현무암 용암이 굳어질때 일어난 지질현상 경관이 독특하고 빼어난 곳! 아래는 현무암,편성암, 화강암이 형성, 주변은 주간명월, 광대코지, 자갈밭, 일출봉, 해색동굴 지층이 어우러져 우도를 뽐내는 비경을 자아낸다.
아- 이 섬에서 한 밤만 자고 가자.

비와사폭포는 비가와야 비로소 폭포의 몸체를 드러낸다.

비와사폭포 부근에 다다르자 차도도 끊어진다.

우도의 오른뺨 광대뼈는 원숭이 형상을 하고 있다.

 

톨칸이

 

'톨칸이'는 소의 여물통이란 뜻으로 '촐까니'라고도 한다.

"촐'은 '꼴' 또는 '건초'로서 소나 말에게 먹이는 풀따위를 말하며, 우도에서는 소나 말에게 먹이를 담아주는 큰 그릇을 '까니'라 불렀다 한다.

우도는 소가 누워있는 모습의 섬으로 앞에 있는 오름은 소의 머리요.

툭 튀어나온 기암절벽은 소 얼굴의 광대뼈로서 이 곳 남서쪽에 위치한 성산읍 오조리 식산봉을 '촐눌' 과 소 사이에는 '소먹이통'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바로 이 곳으로 기암절벽과 먹돌해안이 어우러져 비경을 이루고 있다.

'톨칸이'는 '촐까니'가 와전된 말로서 즉 소의 '여물통'을 말한다.

 

'톨깐이'를 뒤로하고 자칫 잘못들수도 있는 길,

길도 없어 보이는 억새풀밭길로 스적스적 헤쳐가며 올라간다.

성산포구가 그림처럼 펼쳐진다.

성산일출봉도 바라보이고...

오를수록 멋진 이 감동!

쇠머리오름에는 매서운 한겨울인데도 유채꽃밭이 펼쳐진다.

빨간 등대의 천진항과 먹돌 톨칸이 해변이 보이고

우리가 오르기 시작한 길이 저만치 보인다.

우도 등대가 보이고...

말을 잃을 정도로 아름다운 바다풍경

바다도 피부결을 가지고 있었다.

갓난아기처럼 보들보들한 살결을....

성산일출봉도 오름이고 우도쇠머리도 오름이다.

*제주의 오름은 대부분 폭발식 분화로 방출된 화산 쇄설물이 화구를 중심으로 집적되어 생긴 화산 쇄설구에 해당한다.

멀리~ 한라산 정상도 보이고

러일전쟁당시 일본 해군초소유허지

승마장도 있고,,,

다시 살짝 내려가서 숲사이로 난 길, 등대공원 올렛길을 오른다.

눈쌓인 한라산을 간간히 뒤돌아봐가며...등대길을 오른다.

제주도에는 털머위가 많다.

잎은 매낀하게 생겼는데 왜 털머위일까 궁금했었는데...꽃 지고난 자린가?

이발소 귀쑤시개마냥 털이 보송송한 막대기를 달고 섰다.

그리고 이 곳은 난데 없는 봄인지? 유채꽃에 웬 수선화 군락 무더기!

참, 바보같이 계절도 모르는 제주도는 한겨울에도 꽃을 피워낸다.

바위이끼도 목련꽃처럼 하얗게 피었다.

털머위

수선화

바위이끼도 목련꽃처럼 피었다.

우도등대

우도저수지

우도봉중앙화구구인 알오름(표고 87.5m)은 정상부까지 묘지로 조성돼 있다. 우도인들이 영원한 안식처인 우도 공동묘지다.

우도봉알오름(표고 87.5m, 비고 30m) 바로 옆(오른편)에는 빗물을 가둬두는 저수지가 위치해 있다. 1999년 해수 담수화시설을 하여 물걱정은 없으며, 화구 안에는 저수지로 향하는 물길이 만들어졌다.주요 농산물은 땅콩,고구마, 보리, 마늘 등이 생산됩니다. 부근 해역에서는 고등어, 갈치, 전복 등이 잡힙니다. 소, 돼지 등의 사육도 활발하며 해녀 잠수부들이 캔 해산물, 해초도 유명합니다.

우도면공설묘지

줌으로 댕겨보니 성산일추롱이 손에 잡힐 듯 가깝다.

등대박물관에도 잠시 들러보고,

 

 

 

검멀레쪽 해변을 바라본다.

우도, 사람사는 모습이 어찌 이리 그림처럼 아름다운가!!

외국, 그 유명한 어느곳보다 못하지 않다.

아기자기한 돌담밭이 해풍에 몸을 맡기고 농작물을 키워낸다.

고즈넉한 평화로움...아름답단 말밖에...

검멀레!!

저 아래 보이는 초록색 지붕에 가서 모터보트도 타고

우도의 팔경, 주간명월도 보고 스킨스쿠버도 할 것이다.

그 글은 다음으로 미루며......

 

 

우도 정면에서 바라 본 쇠머리

우도등대에서(새등대와 옛등대)인증샷

 

천진항에서 올라 검멀레로 내려왔다.

보통은 검멀레로 올라 등대만 갔다가 검멀레로 다시 내려오는데

천진항에서 오르는 경치가 더 좋은 것 같았다.

 

 

 

 

성산일출봉에서 바라본 '우도'  소머리에서~ 꼬리까지~~ 소가 누워있는 것 처럼 보인다.

 

 

 

 

 섬 안의 섬! 

우도! 소가 누워있는 형상의 섬!

제주도에서 우도를 가려면 성산일출봉에서 배를 타야한다. 

성산일출봉을 뒤로하고 눈 앞에 보이는 우도로 향하면 정작 가는 길은 뱃길로 10분인데

카페리라 이럭저럭 승선하고 하선하고 우도 선상 바람을 느끼기엔 20분이면 족하다.

 

 

 2004년 사진

 

그 섬에 가면 모래가 하얀 백사장이 있다. 일러 <서빈백사>

모래가 하얀 이유는 흰 산호초가 그 원인이다.

산호가 파도에 부서져서 하얀 모래가 되고 바다는 덕분에 아쿠아마린처럼 스카이블루빛을 지닌 바다가 된다.

 

 

서빈백사! 하얀 백사장엔 검은 화산석 바위가 군데군데 거뭇거뭇 있다.

그 바위에는 하얀 쌀알들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고...

나는 상상 속으로 빠져 스토리를 써내린다.

 

옛날 옛날에 논농사가 없어 쌀이 귀한 우도에 시집 온 철부지 며느리는 시어머니 물질 나가시고 쌀을 씻어 저녁밥을 안치는데,

쌀을 바닷가 샘물 용천수에서 씻던 며느리는 부주의로 쌀알을 흘려버린다.

물질을 끝내고 돌아와 이 사실을 안 시어머니!! 이런 부주의가 한두 번이 아니라며 며느리를 구박, 끝내 내쫓아버린다.

제주, 성산포에서 시집 온  어린 며늘아기는 친정이 있는 성산포를 바라보며 울다가 울다가 종내는 밀물에 쓸려 죽고 말았다.

우도의 드쎈 바닷바람에 쏠려서 피다 시든 해국의 모습처럼....

.

.

그랬을 거 같다.

바위틈에 끼인 하얀 산호는 마치 쌀로 만든 한과, 유과 같다.

아직 어렸던 며느리는 유과도 무척이나 먹고 싶었고,,,친정집에도 몹시 가고 싶었을 텐데....

.

.

.

나는 마치 거북처럼 생긴 검은 바위 하나를 발견하고는 가고 싶어도 못 갔던 어리디 어린 며느리의 혼인 것 같아,

성산포를 향하게끔 미역발을 달아주었다.

<잘 가거라~~~>

이로써 내 상상속의 진혼제는 끝이 났다.

 

 

하늘도 물빛도 아콰마린빛깔인, 서빈백사장 그 위에 벌렁 드러누웠다.

파도소리...우도의 바람소리를 듣다가 카메라를 거꾸로 쥔 채로도 찍어 보았다.

보이는 세상은 온통 푸르거나 희다.

내 몸도 모세관현상으로 죽-죽 푸른빛을 빨아들이는 소리가 들린다.

우도, 서빈백사에서 시방 내가.....내가....청백색으로 물들고 있음이야~~

 

 

 

                                                                                                                   2012년 1월14일 우도에서 이 요조

                                                                                                                   

 

 

 

 

흡사 유과처럼 보이는 산호!

▲거꾸로 보는 세상▼

 

서빈백사 산호를 들고있는 내손, 8년전과 비교....참 많이도 늙었다.

 

 거꾸로 찍은 사진(위)을 바로 돌려놓고 본 <서빈백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