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카시아 꽃!
어미에게서 새끼쳐서 태어난, 겨우 만 2살짜리가 애기가 지금 세 송이 째 꽃을 피우고 있다.
사람이나 식물이나...임신을 하거나 꽃을 피우면 무척 힘드는 일인데...
지난해 한 해 무척 자라서 제 어미덩치를 앞지르더나니겨우내 그 큰잎 다 죽고

새 잎 몇 개 달고 겨우 기력을 차리나 싶었는데....

꽃대 올리느라....막상 저는 잘 크지를 못한다.
얘는 왜 자꾸만 꽃대를 만들어 올리는지...?
첫 꽃대는 엄청 반갑다가
두 번 째 꽃대는 또? 하며 무심해지다가
세 번 째 꽃대는 슬몃 걱정이 더 해진다.
<걍, 네 대궁이나 튼실하게 만들지... 뭘라꼬...>

 

2011년 6월 30일 오후 01:21

▲ 꽃봉오리와 씨방 ▼

2011년 6월 30일 오후 01:21

 

 

 

②알로카시아모정(분갈이)
식물에게서 어버이 마음을 배운다.
http://blog.daum.net/yojo-lady/13745973

 

①기다림 10만원 어치 (알로카시아 키우기)
http://blog.daum.net/yojo-lady/13424044

 

 

마치 비단뱀 한 마리 들어 앉은 것처럼....

아래사진은 7월 5일 아침에

꽃가루가 떨어져 내린다.

알로카시아 꽃향내가 번진다. 무슨 냄새지?

아.....태국서 먹어 본 두리안 냄새다. 양파 썩는 것 같으면서 달콤한...이 달착지근하게....뭔 가를 불러들이는

향내와 악취의 조화!!

 

 증산작용/잎끝에 늘 물을 달고 있으면 수분이 충분하고 건강하다는 증거다.

 

 

이와 비슷한 꽃을 무슨  형태의 꽃이라 부르는지?

:+:+:+:+:+:+:+:+:+:+:+:+

 

▲ 나물? 우산나물이던가?

▼천남성꽃도 이런 종류이고...

 

 

▲알로카시아는 환경에 적응한다. 여름에는 장마통에도 잘 견디고 처음부터 마사토에 수경재배로 해도 잘 클 수가 있다. (증산작용)

잎 끝에 멪히는 물방울(뚝뚝 떨어져 내리기도 한다) 그만큼 여름날 기온과 습도가 맞아 왕성하게 잘 크고 있다는 증거다.

 

 

 

 

저희집에 자라고 있는 천남성입니다.

벌써 꽃은 댓번도 더 올라왔다가 시들었습니다.

차례대로 올라오는군요. 

제가 천남성을 처음 만날 때는 놀라움이었습니다.

처음보는 식물이었기 때문입니다.

뿌리는 마치 토란과 양파의 중간 형태 같이 생겼으며 신경통 관절염에 좋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 후로 또 한 번 놀란 것은 독초라는 것입니다.

궁에서 사약을 내릴 때에도 이 천남성에서 추출한 즙도 꼭 들어간다더군요.

그럼 장희빈이 마시지 않겠다고 도리질 치던

그 사약에도?

 

입에 대면 감각이 술에 취한 것과 같이 되고 졸림, 구토, 혈압저하 등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뒤이어 호흡과 심장의 마비가 발생한다.

 

 

꽃이 이상하게 생겻어요.

초록빛깔이어요.

벌써 너댓번도 더 올라왔다가 사라지곤 하는군요.

열매는 나중에 구술처럼 빨갛게 맺히고요.

 

 천남성 꽃이 든 포와 잎

 2006년 6월 울릉도에서 나리분지에서 찍어 온 사진입니다.

두루미천남성이라고 하네요. 천남성도 종류가 많군요.

 

 

열매

 

 

우리나라 각처 산지의 나무 밑이나 음습한 곳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줄기는 편평한 공 모양이다.
주위에 작은 덩이줄기가 2∼3개 달리고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겉은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 반점이 있다.
잎은 5~11개의 작은 잎으로 갈라진다. 높이 15~50cm까지 자란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대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단성화로 암수딴그루이다. 깔때기 모양의 포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활처럼 앞으로 구부러진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옥수수처럼 달리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에는 천남성 외에도 점박이천남성, 두루미천남성, 큰천남성, 무늬천남성 등의 유사종이 여럿 있다.

 

약리작용
가을에 덩이줄기를 캐서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씻어 껍질을 벗긴 다음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폐경, 비경, 간경에 작용한다. 습을 없애고 담을 삭이며 경련을 멈추고 어혈을 없앤다.
약리실험에서 탕약이 거담작용, 진정, 진경작용, 진통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풍으로 말을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반신불수, 전간, 소아경풍, 파상풍, 풍담으로 어지러운 데, 관절통,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하는 데, 부스럼, 연주창, 타박상으로 어혈진 데 등에 쓴다.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에도 쓴다. 천남성은 독성이 강하므로 내복약으로 쓸 때에는 반드시 법제하여 쓴다.
즉 생강즙이나 백반물과 함께 삶아 속까지 익혀서 말린다.
하루 3~6그램(법제한 것)을 탕약, 산제, 환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생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붙인다(동의학사전).

맹독성의 독이 있어 함부로 사용하면 위험하다.
반드시 약초전문가에게 조언을 듣고 사용해야 한다. 당연히 식용으로는 절대로 불가하며 삶거나 구워도 먹을 수가 없다.
보유독성분은 비크크린, 프로토핀 등이다. 풀 전체에 포함되어 있으나 그중에서 뿌리에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
입에 대면 감각이 술에 취한 것과 같이 되고 졸림, 구토, 혈압저하 등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뒤이어 호흡과 심장의 마비가 발생한다. 치사량은 불분명하지만 비크크린은 강력한 경련을 일으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검색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