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시죽

 엄마도 홍시 묵을 줄 안데이~~

 

옛날에 귀한 아들을 둔 홀어머니가 간식이 잘 없던때라 홍시를 만들어 겨우내내 아들을 먹였다.

그 아들 <엄마도 먹어><응, 엄만 홍시만 먹으면 배가 아퍼~>

...... 그 아들 장성한 후에 어머니는 치아가 다 빠지고 단 음식이 땡기시는데도 불효막심한 늠이 저 혼자 먹더란다.

그 어머니 속울음 울며 <아들아...이, 엄마도 홍시 묵을 줄 안데이...>

.

이런 일 당하기 전,  아이들 양육할 때 당당하게 부모 몫도 있다는 것을 알려줍시다.

 

감이 제사상에 꼭 오르는 이유?

감나무는 오래묵으면 속이 검게 된답니다.  이런 감나무를 부모님에다가 비유를 했답니다.

열매를(자식들) 많이 맺으려고 자신의 속은 시커멓게 되어가는 감나무, 바로 그런 의미에서 부모님의 그 음덕을 기립니다.

조상님의 은공을 기린다는 감은 孝를 가르칩니다.  

 

 

 

홍시죽을 끓였다.

이런 죽은 아마도 없지 싶으다.

호박죽도 있고....별별 죽이 다 있는 데 왜 없는거지??

 

 

귤보다도 비타민이 아주 많다는 감,

치아가 부실하지도 않은데 감을 좋아한다.

아마도 어렸을 적 여름방학 때 외갓집에 가면 외할머니가 삭혀주던

추억의 감맛을 못잊어서 그러는건지....가을이오면 난 감부터 산다.

 

 

나홀로 점심시간,

가족들이 먹다남은 식은 밥 한 그릇...

썰렁하게 밥을 먹긴 싫다,

아, 홍시감으로 죽을!!

적어도 3개는 넣어야 홍시죽이라고 하겠지??

4공기의 홍시죽/라면 끓일 때 물의 량(500cc) 밥 한공기, 홍시 3개, 소금이나 설탕 

 

밥을 끓이다가 나중에 홍시를 속만 긁어 넣었다.

(감을 넣을 때 중간 흰부분과 껍질은 넣지 마세요)

이대로는 먹기에 그렇고

핸드 블렌더로 살짝 돌려주었다. 소금간을 하고, (설탕도 좋고~)

 

어린이 간식으로 홍시는 좋은데 변비로 걱정하셨다고요.

죽으로 끓먹으니 그런 걱정 뚝이네요.

 

죽을 마주하고 앉았다.

밥 한공기와 홍시감 3개가 죽이 4공기 가량 나온다.

떠 먹어보니....뷔페에서 나오는 호박죽 맛이다. 거기다 홍시 향기까지,,,,

갑자기 돌아가신...엄니 생각에,

생전에 잘 해 드리지도 못한 며느리면서, 시엄니 생각에 목이 메인다.

 

왜 그 때는 홍시를 좋아하셔도 이런 홍시죽 하나 못 끓여 드렸을까?

호박죽도 좋아하시는데, 아마 이 홍죽도 아주 좋아라 하실 것 같은데...

죽에다가 설탕을 조금 타면 아기들도 노인분들도 아주 좋아할 것 같은 별미!!

 

모두가 만족해 할 것 같은 완소맛!

제 이름 석자 걸고

강추합니다.

 

 

생각이 난다 홍시가 열리면 울엄마가 생각이 난다
자장가대신 젖가슴을 내 주던 울엄마가 생각이 난다
눈이 오면 눈맞을세라 비가 오면 비젖을세라
험한 세상 넘어질세라 사랑땜에 울먹일세라
그리워진다. 홍시가 열리면 울엄마가 그리워진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도 않겠다던 울엄마가 그리워진다.

 

 

 

 

 

푸른 잎사귀에 가려 떫은 맛으로 숨어 지내다가

가을오면 꽃처럼 붉디붉은 낙엽마저 다 떨구고 나면

환한 등불을 촘촘히도 달고서서 산촌을 밝히는 가을!

감 속살은 부드럽고도 농염한 꿀 맛으로 익어가는...

.......이요조

 

가을이다!

감을 따는 사람들, 감을 꼭 먹으려고 따는 건 아니다.

가을날에 붉게 주렁주렁 열린 감을 보고 어찌 장대를 한번 허공으로 내지르고 싶지 않을까?

감을 따는 게 아니라.....계절을 따고 추억을 따는 사람들,

 

봉화 계서당에 갔을 때 일이다.

한달전에도 들렀건만 감나무는 미처 눈에도 들어오지 않았는데,

딱 한달 하고도 3일 후엔 계서당이 주인이아니라....웬일로 감나무가 돋보이는 게 아닌가?

종손의 허락으로 갑자기 고택답사가 아니라...감따기 체험장으로 바뀌었으니,

잠시 모두는 도시에서는 꿈꾸지도 못할 장대로 감따기를 시도했다.

 

여기야 여기....여기에 홍시가 달렸어!!

보기보다 감장대는 겨냥도 어려울 뿐 더러 몇번 허공에서 헛손질 하고나면

팔힘이 무척 쓰인다는 걸 할게 되고....알게되면 바로 팔힘은 다 빠져 나간 후다.

후둘거리는 팔로 허공에 헛장대를 휘두르게 된다.

 

 

계서당 사당모습이다. 사당입구에 선 감나무다.

 

 

내년 종자로 쓸 모양이다.

 

 

얼마든지 따서 드시라는

창녕 성씨문중 12대 종손님의 허락에

 

 

모두는 여기저기서 감을 따기 시작했다.

 

 

아세요?

감을 따는 사람은 입이 헤~ 벌어진다는 것!!

물론 구경꾼들도 입이 벌어지는 건 당연지사...

그래야 홍시가 떨어지면 입으로 쏘옥?

ㅎ`ㅎ`ㅎ`

 

 

사진으로 구경하는 나도 헤~ 벌어지는 입!

 

요기요기..조오기~~

이렇게 모두 어울린 신나는 놀이가?

 

감나무는 쉽게 올라가서 딸 수가 없다.

그래서 요즘은 모든 과실수들을 키를 작게 하지만...

감나무는 올라서면 부러지기 쉽상이다. 위험천만이다.

언제나 장대로 따는 게 정석인 셈!!

 

 

 따 내린 연시는 꿀맛이다.

이런 감나무는 농약도 전혀 치지 않았으니.....그냥 먹어도 좋고,

 

 

오올치..옳치!!

 

 

이사람 저사람.... 감따기체험을....

팔이 후들거리고....보기완 달리 의외로  ...에렵다.

 

 

헤....역시나 입이 헤~~

감이 주머니로 쏘옥..

그래..그래 그렇게 비틀어야해~~

 

일단 손에 힘을 다시 주고 뱃심을 주곤,

 

 

요렇게 돌려서 뚝 잡아따면 되지~~

 

 

요기도 있네...아냐 여기가 더 많은데....

 

 

 올라가기도 전에....

아래에서 더 난리들이다.

 

 

모드는 잠시 감따기 놀이에 전력집중!!!

가을엔.....감따기 체험이 최고야요!!

 

 중요민속자료 제171호/봉화군 물야면 가평리
 
 

  물야면 가평리의 昌寧 成氏 마을은 몇백년째 내려오는 동족마을이다.
창녕 성씨 마을의 종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계서 성이성이 현종 1년(1631)에 지었다고 전해지는 계서당이다.
계서는 인조 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진주·강계 등 4개 고을 군수를 역임하였고 후에 부제학을 추서 받고
청백리에 뽑히기도 하였다.
 계서당은 안채와 사랑채, 사당채와 행랑채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영남반가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앞쪽의 대문채는 바로 앞에 논이 연이어 있지만, 낮은 경사를 이용해 집을 지었기 때문에 뒤쪽의 안채는 높직이
앉아 있다. 안채는 정면 5칸이고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명 3칸의 팔작지붕집이며, 사당채는 정면 7칸 측면 6칸의
□자집으로 종가치고 그리 규모가 큰 편은 아니나 매우 아담하고 짜임새가 있다.
후대에 증·개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계서당을 둘러본 이야기는 다음회에 계속하기로 하고 계서당 뒷산(용봉산)이 풍수지리학상으로 볼라치면 소가 누운 형상에서 어미 젖의 자리라고 한다.

 9월27일 감나무가 한 달 뒤 10월 30일은 익어서 아주 빨갛게 홍시로 매달려있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