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에 가서는 찾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중복된 상호다.

나폴리란 말과 충무할매김밥이다.

그 외에도 더 있겠지만

 통영의 아름다움을 진즉에 알아채린 세간(世間)에서는 한국의 나포리라고 불렀고 

통영사람들은 어깨가 으쓱함을 느껴 너도 나도 나포리란

이름을 가게 상호로 앞다퉈 내 걸었다.

 

 

병선마당

 

 나포리모텔, 나포리다방, 나포리제과, 나포리 양장점....등 등~

아직도 그런 이름이 많이 남아있다한다.

충무깁밥은 김밥이야기 ① 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너도 나도 원조라고들 내세우고 있다한다.

 

충무김밥의 내력을 다시 간단히 요약하자면

 

충무깁밥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는 오래되었다고 한다. 통영이 충무라 불리우던 옛날...

(김밥의 역사는 좋이 70년 넘었다지?)

내가 젊은 날 들었던 이야기는 남편이 고기를 잡으러 나갈 때 끼니를 거르고 술만 먹는 게 안쓰러워 아내가 그렇게 싸주었다는 일설이었고,  또 하나는 옛날에 통영이 해상 뱃길의  중요한 요지로써.....주로 부산~ 여수간 중간 기항지로 늘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하다보니....뱃머리에는 자연 먹거리가 형성되고  기존의 김밥은 더운 여름날 곧장 쉬기 쉬웠을테고....

누가 생각해 내기를 그냥 흔한 김에다가 (통영은 주로 어업)밥을 둘둘말아  갑오징어나 호래기(꼴뚜기)를 무김치와 함께 버무려 대꼬챙이에 꿰어 김밥 따로 반찬 따로  종이에 담아내서 팔았다 한다.

여수나 부산에서 출발한 오전 배가 통영에 닿을때는 딱 점심나절, 오후에 출발한 배는 저녁무렵이었다니... 승선한 사람들은 배가 잠시 머무는 10분 안에 먹거리를 찾아야 한단다. 젊은 청년들이 배 안에까지 갖고들어가 팔았는데 불티나게 잘 팔렸다고 전한다.

어찌나 반찬이 맛나든지..일부러 안주삼아 멀리서 반찬만 사가는 사람들도 생겼다고 했다.

그 당시에는 꼬치에 홍합이나 꼬막도 꼬챙이에 꿰어졌다는데....지금과는 재료가 많이 다르다고 한다.

 

 

▲ 위에 사진에 감히 표시를 하였지만

강구안 주변에는 충무 김밥집이 무수히 많다.

 

강구안, 중앙이 원조격인 어두이 할머니 김밥집이라면

오른쪽 잘록한 부분은 비스듬한 언덕길로 기억하는

 대략 25여년 전,

그 골목에도 김밥집이 많았었다.

어림잡아 우리도 원조라고 생각하고 들어간 집은 할머니가 크단 밥통을 열고는 손으로 돌돌 말아내 주시던

그때 그, 김밥 맛을 아직 못 잊고 있다.

그래선지...충무김밥 이야기를 이렇게 장황하게 ①,② 부로 나눠 쓰는 걸 보면.....

  

강구안에 놓여진

거북선

뒤로도 나포리가?

 

 

지금은

장마전선중

운무에 쌓인 강구안 

 

 

▼ 강구안에 위치한 중앙시장 (마주 바라 보이는 곳) 

한강에 있던 거북선 모형(실제보다 크게 만들어졌다 한다) 

북한의 승낙하에 한강(북한강)으로 해서 서해로.......남해를 거쳐 강구안으로 안착했다네.

예전처럼 노도 없고 동력도 없고

어떻게 인양해 왔을까?

 

 

거북선얘기는 그만 접어두고,

바로 거북선 앞쪽 

건널목 맞은편에

바로 그 집이 그나마 원조격이라고 불러주는 어두이 할머니의 김밥집이다.

위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실제 원조는 없다.

예전엔 어디 변변한 가게나 있었으랴? 

김밥집인데...

 

번듯한 식당이 생기더라도 주방을 맡는이가 있었을테고

그 사람이 독립해서 가게를 내면

내가 실제 원조솜씨요! 하듯이...

 

 

통영에 가면 김밥집은 이렇게 지천에 널려있다.

바로 옆집에도

또 그 옆집에도...또...또....

맛에는 차이가 물론 없다.

옆집 할매 또한 삼대가 한 게 사실이므로 상호 아무런 부작용은 없다.

통영에서는 서로 원조라고 우길 필요가 없다.

그냥...

외지사람들이 <여기 원조집이 어디요?> 하도 물어싸서 그렇게 만든 것 뿐!!

 

충무김밥의 존재는 80년대 초에 비로소 전국에 알려졌다고 한다. 

전주에서 열리는  국풍에 까지 어두이(魚斗伊) 할머니가 판 김밥이 매스컴의 주목을 받으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랬던 충무김밥이

이젠 통영의 효자 상품이자, 트레이드마크가 되어버리고

관광객들이 뭍에서 자동차로 몰려와서는

통영은 엉뚱하게도 김밥 파시가 형성되었으니~~

 

 

알려진다는 것!

매스컴으로 전해진다는 그 힘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

어두이 할머니의 공은 있는 셈이다.

 

 

그냥

신선한 김에다가 맨밥을 만 것 뿐이다.

 

짧고도 통통한 김밥이 7개가

일인분인데...딱 밥 한 공기분량이란다.

가격은 3,500원 

 

 

이 무가 맛있어야 한다.

충무김밥은 반찬맛으로 먹는데

깍두기 무와 오징어 무침(예전에는 갑오징어)맛으로 먹는다.

 

 

지난 통영여행 때는

보지못한 맛을 이번에는 보게됐다.

3인분을 사왔다.

예전에는 종이에 담아 팔았다더니

포장지가 예쁘다.

  

 

솔직히 무김치는 너무 시었다.

 

우리는 도대체

어떻게 만든 것인지..먹으면서도 내내 궁금해 했다.

정말로 맛있었다.

어찌보면 다리가 짧고 몸피가 두꺼운걸 보니

요즘, 귀한 몸이 되신 갑오징어 같기도 하고 

데쳐낸 오징어를 어슷 썰어 낸 것도 같고....??

하여간에 맛났다.

 

 

통영 강구안에는

여전사 할매들이 건재하는 한,

 

 충무김밥을 메리트로 해양관광 휴양도시  통영!

그 이름 영구히 기억될 것이다.

 

 

글:사진/이요조 

 

충무김밥 이야기 ① 블로거 기자단 뉴스에 기사로 보낸 글  | 음식 이야기 2007.06.12 16:39

김밥! 김에다 말은 밥을 한국사람이면 대개가 좋아한다. 첫째 김밥에는 향수가 어려있기 때문이다. 어려서 소풍갈 때, 어머니나 누나의 손길이 고스란히 함께 말아진 맛있는 김밥에 아련한 향수가 없는 사람 누가 있을까? 할머니, 어머니, 누나, 김밥, 양철도시락, 삶은계란, 새신, 소풍, 보물찾기, 쫀득이,사이다, 기차여행, 새총, 딱지치기, 고무줄놀이, 공기...

 

 

 

 

해양관광휴양도시 경남 통영의 강구안 병선마당에 있는 거북선을 찾아가는 길입니다.

본시 한강에 설치되었던 거북선이 제 고향을 찾아 내려와 정박하고 있다는군요.

통영에는 가로수가 주로 동백입니다.

 

 

통녕어항 강구안의 시장길도 기웃거려 보다가....

 

강구안 풍경입니다.  파도도 피해갈 만큼  오목하게 생긴 아늑한 항입니다.

 

좌측이 시장길이고,,,,정면이 유명한 충무김밥집이 즐비한 골목이 있습니다.

상호엔 서로 원조라고 되어있지만....아무데나 들어 가셔도 다 맛있습니다.

넓적하게 썰은 무와 한치를 넣어 잘 식힌 깍두기가 충무김밥의 참 맛입니다.

통영인데 왜 충무김밥이냐고요?

옛날이름인 통녕에서 충무로.....다시 옛이름 되찾기로 통영시로 복원되었기 때문입니다.

 

 

 100년전 통영항의 모습(사진출처 : 통영민박넷 tyminbak.net)

400년 전 이 일대는 “병선마당”이라 불렸다.
조선 수군의 본영인 삼도수군통제영이 이 고장 두룡포(현재의 통영시)에 있었고 통구선(통영 거북선)을 포함한 그 예하 함대가 위풍당당하게 정박하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우리 수군의 정기가 어린 이곳에 일제는 개간사업이란 명목으로 많은 부분을 매립하였다.
해방후, 그 매립된 터에 부산~통영~여수를 오가는 연락선 선착장(구 여객선터미널)이 있어, 수많은 배들이 오가며 수많은 사람들을 실어 날랐다. 80년대 “엔젤호”(현재 사량도에 그 때 그 배가 전시되어 있다.)는 선수가 물위로 부상하여 달리는 쾌속선으로‘날으는 여객선’이라 하여 선풍적 인기를 모았다.
그리고, 뱃사람들과 부산~여수를 오가는 여객들의 허기진 배를 채워주던 ‘충무김밥’은 ‘국풍 81’에서 전국방송을 타며 일약 충무(현재의 통영)의 명물이 되었다./검색



강구안 병선마당

 

예전 여객선터미널이 있던 자리엔 ‘문화마당’이라는 조그만 광장이 생겨 시민들과 여행객들의 쉼터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도시 한 가운데에서 바람에 실린 갯내음을 맡으며, ‘물가’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 그리 흔하진 않을 것입니다. 

 

바로 그 곳 병선마당에 정박해 있는 거북선입니다.

 

- 임진왜란시기 거북선 유형

1. 통제영 거북선

☞ 한편에 노가 10개씩 20개. 좌수영 거북선보다 크며 화력이 강함. 좌우에 각각 12개의 포혈.

2. (전라)좌수영 거북선

☞ 한편에 노가 8개씩 16개. 통제영 거북선보다 소형으로 좌우에 각각 6개의 포혈을 갖춤.

 

- 임진왜란 후 거북선

장대가 있는 거북선으로 19세기까지 건조 및 수군에서 운용.

 

 

거북선이 좀체 길어서 한 샷에 들어오질 않습니다.

 

나눠서 앞부분 뒷모습으로....

 

자, 이젠 안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임진왜란때 전과를 거둔 조선 수군의 돌격용 전선으로 거북 모양의 등 위에는 창칼을 꽂고 배의 앞에는 용머리를 달았으며,  배의 좌우에는 각 6개의 대포구멍을 내었습니다.

승선 인원은 130여명이었으며,  사천포 해전때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습니다.

거북선은 한산대첩 학익진의 중심에서 출충한 활약으로 승전의 깃발을 더 높이 올리게 했으리라 봅니다.
 

 

거북선내부에 설치된 화포

 

 

들어가자 마자 장군님이....얼떨결에 목례를.....(...당연 해야지요. ㅎ^ㅎ^ㅎ^)

 

 

거북선의 선장방

 

거북선 수기

 

 장령방(officer room) 좌측

 

 

 장령방(officer room) 우측

 

거북선을 정박시킬때 쓰던 닻 -

 

나무로 만들어졌고 묶는 부위만 쇠붙이였음
 

 

그저 멋지기만 합니다. 전쟁에 쓰인  철갑선이 아니라....무슨 예술품을 만난 듯 하더군요.

 

 

임진왜란 이후 해전이 없자 수군에서 거북선을 건조하였으나(19세기)그 이후 거북선은 사라지고

현재는 고증에 의하여 다시 복원, 그러나 그 내부가 3층이었다, 아니다 이층이다. 복층이다는라는 말이 많다고 한다.

 

 

상상외로 내부가 꽤나 넓직합니다.

 

 

내부가  무척 깨끗하기도 합니다. 아직도 해군은 청결을 중시한다는 말 들었습니다.

 

 

아름다운 통영 강구안

 

  거북선 내부의 천자총통

 

임금님께 받았던 교지(임명장)

 

이순신 장군이 받으셨던 교지등이 전시되어 있었고, 전자총통 시연 사진등이 있는데..아마도  조선시대 말에 찍은 듯,

 

사진에 교지처럼 참으로 얼룩진 세월이었고 이순신장군님의 삶도 눈물이었고 시름이었겠지요.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한산섬 달 밝은 밤

                                                          이순신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적에

어디서 일성호가(一聲胡歌)는 나의 애를 긋나니

 

 

閑山島月明夜  上戍樓

한산도월명야  상수루

撫大刀深愁時

무대도심수시

何處一聲羌笛更添愁

하처일성호가갱첨수

 

             「閑山島歌」

              한산도가

 

-일성호가(一聲胡?): 한 가닥의 날라리(태평소) 소리

 애를 긋나니 에서 현대어로는 끊나니

 

 복층(다락?)으로 된 거북선의 수병 휴게소

 

이 사진은 가져왔습니다. 제가 미처 못찍었나봅니다. 바닷물이 넘실거리는 화장실이랍니다.

 

 

항구가 아늑하게 생겼지요?  美港인 이 곳이 일제강점기, 우리 수군의 정기가 어렸다니 좀 믿어지지 않지만 이곳에 일제는 개간사업이란 명목으로 많은 부분을 매립하였다니~ 안타깝고 어이없습니다. 

 

 

우리 수군의 정기가 어린 바다라니...보고 또 바라보며 갑니다.

지금도 대통영고속도로를 통하여 많은 분들이 통영을 방문하여 병선 마당의 거북선과 동양의 나폴리라 불리는 통영의 비경과 여러 먹거리를 탐미하러 관광객들은 연일 발길이 멈추질 않습니다.

 

 

 

좋은 정보로는 2007년 4월 20일부터 통영시티투어가 개설되어.....친절한 가이드가 하루 종일을 자세한 설명과 함께 즐거운 통영 여행의 안내를 책임진다고 합니다. ........................글:사진/이요조

 

 

 

 

 

천혜의 절경과 문화가 함께하는 해양관광휴양도시 


여행경비 계산하기
http://tour.gnty.net/sub7/index7.html
시티투어 http://tytourday.com/tytour_ctour_intro.php

통영찾아가기 교통편 http://tour.gnty.net/sub7/index2-2.html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