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요리편지 > 친환경농산물, 바른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구 따는날.. 새콤아작 오이지 국물에 살구 뛰우기 (0) | 2017.06.18 |
---|---|
집에서 기르는 콩나물 (0) | 2017.04.18 |
고구마 말리기 (쫀득이 & 빼때끼) (0) | 2016.10.26 |
일년 중 송이버섯 채취기 단 45일 (0) | 2016.10.17 |
평창 허브나라, 향긋한 허브식초 만들기 (0) | 2016.09.02 |
| |||
|
살구 따는날.. 새콤아작 오이지 국물에 살구 뛰우기 (0) | 2017.06.18 |
---|---|
집에서 기르는 콩나물 (0) | 2017.04.18 |
고구마 말리기 (쫀득이 & 빼때끼) (0) | 2016.10.26 |
일년 중 송이버섯 채취기 단 45일 (0) | 2016.10.17 |
평창 허브나라, 향긋한 허브식초 만들기 (0) | 2016.09.02 |
감 따기
올해는 감이 많이 열려주었다.
음식물쓰레기가 염분이 있어 그랬는지 어미나무가 한 해는 꽃도 피우지 않더니
가을쯤에 가지 하나를 혼신을 다해 올리고는 죽어버렸다.
그 아들 가지가 살아나 첫 열매를 맺은 것이다. 어미 감보다는 씨알도 좀 굵어졌다.
젊어서 그런지 너무 많이 맺혀 감이 많이 달린 가지를 잘라 벌서 두 아들들에게 나눠주었다.
감나무 단풍은 붉고 화려하다.
비록 종자는 잡감이지만 분위기만은 어느 감에 못잖다.
그 단풍이 다 떨어지고 나면 그제야 붉은 감이 자태를 보인다.
감나무 본연의 아름다움을 나는 그 때를 제일로 친다. 두 번째는 신초사이로 감꽃이 달릴 때가 아닌가싶다.
여행을 다녀보면 유명관광지나 사찰주변은 관광객들을 위해 감을 따지 않고
그대로 두어 풍성한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해준다.
나도 ...늦게까지 매달린 감을 꽃 보듯이...그러고 싶어 했는데,
그 걸 못 따 안달인 울 집 삼식씨, 어느 날 감 따는 주머니까지 오천을 주고 사들고 왔다.
대는 알미늄 막대를 끼워야 하나.....집에 있는 장대를 깎아 맞춰 보겠단다.
제일 많이 달린 가지를 그대로 집안에다 걸었다.
웬지 자손들이 넉넉하게 잘 될 것 같은 ....
그리고 보니 지역 그림에 입선한 그림도 감이 (너무 풍성한?) 달린 그림이었다.
전에는 곶감도 만들었고...하지만 이젠 힘들어 못하겠다.
곶감은 사 먹으면 될 테고....
항아리에 사과 서너 개랑 넣어 두었다. 가지를 두 개 더 끊어내어 이웃집에 하나 주고
하나는 걸어두고도 40개가 훨씬 넘는다. 아마도 60개는 좋이 달린 모양이다.
사과랑 함께 두면 에칠렌가스가 나와 빨리 숙성시킨다니...
오늘 큰 며늘아기가 다녀갔다.
임신하고 전에는 안 먹던 감이 많이 먹고 싶단다.
전에 준 감은 홍시가 되어 다 따먹었다고 하는 이야기까지는 들었는데...
점심을 차리다가 잊어버렸다.
조금 전에 아이들 배웅을 하고나니....아차!! 감을 못 챙겨주었다.
삼식씬....익으면 주면 되지~~ 하지만
나도 첫 딸 종인이를 가지고 얼마나 연시가 먹고 싶었던지~~
전활 해야겠다.
<감 익으면 아니 ,,담 번에 오면 우리 집 감 다 가져가렴~~ >
처음 만들어 본 딱딱한 곶감 실패 ㅎ~
어미감나무 감은 씨알이 좀 작다.
감잎 막 단풍들자 따서 그런지
아직은 그닥 붉진않다.
어미감나무의 감보다는 이 번 아들 감나무 씨알이 훨씬 굵다.
감나무 그림/이요조
땡 감
어머니는
간혹 떫디떫은 땡감을 즐겨 잡수셨다.
그 땐 차마 몰랐었다.
어머닌 왜 입 안 가득 떫음이 맺히게
못 먹을 것을 드시는지~
그 게 도시생활의 내 어머니에겐
목을 꺽꺽 막아오던 향수!
시골 친정 길로 내달아
아련한 유년, 추억의 통로였음을.....
어머니 살아생전
나이를 훨씬 넘겨버린
지금의 나는,
떫은 감만 보면
내, 어머니 만나본 듯
서슴없이 달려들어 깨물어 보는
아리도록 떫은 그 맛이
어머니께로 향하는 그리움일 줄이야~
목젖까지 무거운 떫움으로 차오르는 그 무엇임을....
글/이요조
서울성곽길 걷기(낙산공원) (0) | 2013.11.08 |
---|---|
마로니에 공원 맞은편 플라타나스 가로수 (0) | 2013.11.07 |
죽기전에 해보고 싶은 것, 고사리꺾기 (0) | 2013.07.03 |
내가 딴? 두릅을 들고 동생집으로~~ (산나물 이야기) (0) | 2013.05.24 |
5월 21일 부부의 날이라는데...우리 부부는? (0) | 2013.05.23 |
감
푸른 잎사귀에 가려 떫은 맛으로 숨어 지내다가
가을오면 꽃처럼 붉디붉은 낙엽마저 다 떨구고 나면
환한 등불을 촘촘히도 달고서서 산촌을 밝히는 가을!
감 속살은 부드럽고도 농염한 꿀 맛으로 익어가는...
.......이요조
가을이다!
감을 따는 사람들, 감을 꼭 먹으려고 따는 건 아니다.
가을날에 붉게 주렁주렁 열린 감을 보고 어찌 장대를 한번 허공으로 내지르고 싶지 않을까?
감을 따는 게 아니라.....계절을 따고 추억을 따는 사람들,
봉화 계서당에 갔을 때 일이다.
한달전에도 들렀건만 감나무는 미처 눈에도 들어오지 않았는데,
딱 한달 하고도 3일 후엔 계서당이 주인이아니라....웬일로 감나무가 돋보이는 게 아닌가?
종손의 허락으로 갑자기 고택답사가 아니라...감따기 체험장으로 바뀌었으니,
잠시 모두는 도시에서는 꿈꾸지도 못할 장대로 감따기를 시도했다.
여기야 여기....여기에 홍시가 달렸어!!
보기보다 감장대는 겨냥도 어려울 뿐 더러 몇번 허공에서 헛손질 하고나면
팔힘이 무척 쓰인다는 걸 할게 되고....알게되면 바로 팔힘은 다 빠져 나간 후다.
후둘거리는 팔로 허공에 헛장대를 휘두르게 된다.
계서당 사당모습이다. 사당입구에 선 감나무다.
내년 종자로 쓸 모양이다.
얼마든지 따서 드시라는
창녕 성씨문중 12대 종손님의 허락에
모두는 여기저기서 감을 따기 시작했다.
아세요?
감을 따는 사람은 입이 헤~ 벌어진다는 것!!
물론 구경꾼들도 입이 벌어지는 건 당연지사...
그래야 홍시가 떨어지면 입으로 쏘옥?
ㅎ`ㅎ`ㅎ`
사진으로 구경하는 나도 헤~ 벌어지는 입!
요기요기..조오기~~
이렇게 모두 어울린 신나는 놀이가?
감나무는 쉽게 올라가서 딸 수가 없다.
그래서 요즘은 모든 과실수들을 키를 작게 하지만...
감나무는 올라서면 부러지기 쉽상이다. 위험천만이다.
언제나 장대로 따는 게 정석인 셈!!
따 내린 연시는 꿀맛이다.
이런 감나무는 농약도 전혀 치지 않았으니.....그냥 먹어도 좋고,
오올치..옳치!!
이사람 저사람.... 감따기체험을....
팔이 후들거리고....보기완 달리 의외로 ...에렵다.
헤....역시나 입이 헤~~
감이 주머니로 쏘옥..
그래..그래 그렇게 비틀어야해~~
일단 손에 힘을 다시 주고 뱃심을 주곤,
요렇게 돌려서 뚝 잡아따면 되지~~
요기도 있네...아냐 여기가 더 많은데....
올라가기도 전에....
아래에서 더 난리들이다.
모드는 잠시 감따기 놀이에 전력집중!!!
가을엔.....감따기 체험이 최고야요!!
중요민속자료 제171호/봉화군 물야면 가평리
물야면 가평리의 昌寧 成氏 마을은 몇백년째 내려오는 동족마을이다.
창녕 성씨 마을의 종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계서 성이성이 현종 1년(1631)에 지었다고 전해지는 계서당이다.
계서는 인조 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진주·강계 등 4개 고을 군수를 역임하였고 후에 부제학을 추서 받고
청백리에 뽑히기도 하였다.
계서당은 안채와 사랑채, 사당채와 행랑채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영남반가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앞쪽의 대문채는 바로 앞에 논이 연이어 있지만, 낮은 경사를 이용해 집을 지었기 때문에 뒤쪽의 안채는 높직이
앉아 있다. 안채는 정면 5칸이고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명 3칸의 팔작지붕집이며, 사당채는 정면 7칸 측면 6칸의
□자집으로 종가치고 그리 규모가 큰 편은 아니나 매우 아담하고 짜임새가 있다.
후대에 증·개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계서당을 둘러본 이야기는 다음회에 계속하기로 하고 계서당 뒷산(용봉산)이 풍수지리학상으로 볼라치면 소가 누운 형상에서 어미 젖의 자리라고 한다.
9월27일 감나무가 한 달 뒤 10월 30일은 익어서 아주 빨갛게 홍시로 매달려있었다.
간이역의 아름다움(화본역 급수대와 페치카) (0) | 2008.11.13 |
---|---|
경북 군위군 위천의 매력 (0) | 2008.11.11 |
운무에 쌓인 만산홍엽(청량산) (0) | 2008.11.03 |
풍기온천의 해프닝 (0) | 2008.10.07 |
이름대로 청량산 청량사러라~ (0) | 200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