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대리  황태덕장에서

 햇살은 쨍쨍 바람은 싸늘~~

 눈 속에 묻힌 덕장

 

하늘황태덕장 

 

 

황태가 담장이 되고..
 

 

 

 

황태 건조가 마무리되는 2월말경 강원도 인제군 용대리(백담마을)에 다녀왔습니다.

 

아직도 눈에 쌓여있는 덕장을 보면서 모두는 신기해했습니다.

덕장에 쌓인 담장 인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황태무더기라 또 한 번 놀랐지요!  햇살은 쨍하고 ~ 눈바람은 싸늘하고~

 

황태매장에 들어섰을 때 훅~ 끼치는 냄새!!

제가 없어서 못 먹는 삭힌 홍어냄새도 좀 납니다.

추운겨울 눈 속에서 찬바람과 햇볕 속에 밤낮의 극심한 일교차 덕분에 북어 살이 부풀어졌다가 가라앉았다가

그렇게 4달을 견뎌내며 제 몸 스스로를 삭힌 그 냄새입니다.

황태가 얼핏 냄새는 나지만 음식으로 조리해보세요. 환상의 꿀맛이지요!

요즘 황태는 덕장에서만 생산되는 게 아니라 건조기에서도 만들어낸다는군요.

용대리는 그런 면에서 참 구경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얼마전 뉴스에서는 황태덕장이 경북 산간지방으로 많이 옮겨간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경북산간지방도 일교차가 커서 환경이 아주 적절하고 주로 러시아산이 많이 유통되는데 부산항만에서

오르내리는 교통비도 절감된다는군요!!​

​우리나라 근해에서 왜 명태가 사라졌을까요?

명태는 바다생선이지만 황태가 되면 동의보감에도 ​약선으로 사용될 만큼 아주 좋은 식품인데 말입니다.

<명태야~~ 돌아오렴!!>

동해에서도 명태 풍어를 알리는 소리를 들었으면 합니다.​

 

 

용대리는 강원도 인제군 북면에 위치한 작은 마을입니다.

추운 겨울눈과 바람을 맞으며 건조한 명태를 황태라고 합니다.

황태덕장이 있는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내설악 계곡의 용대리마을은 황태건조에 좋은 기후조건

(춥고 바람이 많으며 눈이 많이 옴)을 갖추고 있어 이 곳 용대리 황태는 황태 중에서도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3개월 이상 얼었다 녹았다 수축작용을 반복하여 맑은 설악의 겨울바람을 쏘이며 건조되어,

맛 좋고 영양 많고 속살이 포슬포슬하면서 노르스름한 빛깔이 나는 황태가 좋은 황태입니다.

 

 

동해에서 넘어오는 바람과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만나서 지나가는 바람의 통로라 불릴 정도로

세찬바람이 불어서 옛날에는 이곳의 지명을 풍대리라고도 불렀다 합니다.

설악산 중에서도 내설악 계곡에 위치하여 겨울이면 많은 눈과 차가운 바람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이러한 자연 조건으로 용대리는 국내 최대 황태생산지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매년 겨울 용대리에서는 황태 건조를 위한 덕장이 용대리만의 멋진 겨울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만해마을에 들러 1박을 하고 황태덕장을 둘러보고 황태반찬으로 입맛을 돋웠지요!

여러군데의 식당 중에 어느 집인가 정확한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

이 반찬 저 반찬을 집어 먹다가! <아! 이 맛은?> 하고 처음 맛보는 반찬에 꼼꼼히 살펴보았지요?

 

시중에서 늘 있는 오징어 젓갈과 명태포의 무침 그 두 가지를 합친 것인데 조금은 새로운 맛입니다.

지난 봄 강릉시장에서 황태포를 달고 시고 빨갛게 무쳐 논 것을 사 온 적은 있습니다.

 그 두 가지를 합치면 이런 맛이 나오겠다싶어 곰삭은 오징어 젓갈은 이내 만들 수 없으므로 2kg짜리 한 통을 구입했습니다.

집에 와서 황태포와 매운 청량고추를 넣고 무쳐보았지요.

 

너무 신선한 맛입니다.

식당에서 먹어봤던 맛보다 비교가 안될 만큼 훨씬 낫습니다.

지금 그 때 찍어 온 사진을 보니 어찌 빛깔이 어째 완전 제조되어 파는 반찬빛깔입니다.

그러든 말든 저야 그나마 오징어 젓갈은 사왔다 치더라도 제 손으로 손수 만든 것이니 미국 딸아이에게도 좀 부치고 두 아들네에도 나눕니다.

 

겨우내 일찍 부화한 봄병아리 졸듯 시들머들하던 입맛이 반짝 깨어났습니다.

눈동자가 새카매지고 반짝거릴 정도로 입맛이 되살아나더니...지금은 글쎄 브레이크 고장인가 봅니다.

(ㅠ.ㅠ)

 

 

황태 손질법 체험

내가 손질해왔던 황태는 잔가시와 꺼먼 게 묻어있었는데 어떻게 손질하는지

잘 배우게 되었다.

 


백담사 만해마을에서 하룻밤 여장을 풀고~~

 아침에 동네 부근에 당도한 고드름이 주렁 주렁 매달린 아침 해장국식당~~

 황태구이는 기본이고  강원도 답게 산나물이 조조를 이룬다.

 

어느 식당을 가도 다 비슷한 반찬들~~ 황태포가 다 섞여서 나왔다.

 

​사진상으로 이 반찬인지...저 반찬인지? 어느 식당인지 조차도 모르겠다.

다들 반찬이 비슷하게 나오는 바람에  왼쪽것은 황태와 무 무침 같고 오른쪽 반찬이 오징어젓갈과 황태포무침 같으다. 지금 사진으로 보니 이 반찬 역시나 그냥 사 온 반찬이 아니었을까? 하는 색감이다.​




 

'여행 후 나의 요리'​

"오징어 젓갈과 황태채가 만나면~~"    

 

 

 

여행 후 만든 반찬 (오징어젓갈이 황태포를 만나면~) ▼

 

여태 만나보지 못한 <어? 이 맛은 뭐지?> 하는 맛을 만나게 된다.
오징어젓갈 2kg이 많은 것 같아 그 절반만 했더니 ....맛이 장난이 아니어서
사라지는 속도가 아쉬워 나머지를 다 만들어 버렸다.
그 레서피를 공개하자면​

 

그 맛은 짜지않고 새콤 달달하다.

마치 식해같은 중독성 짙은 맛이다.

 

 

 

 

재료는
오징어 젓갈 1kg 황태채 500g 북어채를 얀념할 재료만 있으면 된다.
오징어젓갈의 니글함을 잠 재워 줄 식초, 그리고 매운 맛등이 필요하다.

 

맛의 tip

새콤하고 달콤하고 얼큰하고...

겨울잠자는 입맛을 확 깨워준다.

 

 

 

 

재료
(오징어 젓갈 1kg 황태채 500g)
만드는 방법​
먼저 황태 500g을 달지 않는 매실효소(약간 신것은 무방) /2컵에 멸치육수 한컵, 2배 식초말고 일반식초 1/4컵을 넣어 불려준 다음 첨가할 양념 준비를 한다.
청량고추 40개 가량(이미지보다 나중에 더 넣었음/고추가  더 맛있길래) 깨 1/2컵 고춧가루 1/2컵, 마늘1/2컵 고추장 1컵 생강 1쪽을 잘 섞어주었다.
마지막 오징어 젓갈에 식초 1/4을 넣고 버무려 두었다가 양념된 황태채와 함께 골고루 버무려 저장한다.



​참고로 이미지의 오징어 젓갈은 2kg이며 황태채는 6~700g쯤되는 양이다.

황태채를 매실효소와 식초 물에 불렸다가 양념한다.

양념 후 오징어젓갈과 한데 버무린다.

오징어 젓갈 맛이 달달이 아니라 이 표현이 맞을라나 모르겠다.  니글거려 들들하다. 물엿 범벅이다.

들큰한 물엿맛나는 오징어젓갈에 식초를 넣으면 맛이 달라진다. 거기에 청양고추를 듬뿍 넣고 마늘도 넣어준다

 

 

 

남겨둔 1kg의 오징어 젓갈, 나머지 전체를 다 만든 모습!

.두고두고 먹을 밑반찬으로 짱인데...금세 다 먹고 없다.

환절기 입맛 살리는데 아주 좋은 밑반찬이다.

 이 요조


 

 

 

 

 무채나물 가을에만 맛있다는 관념을 버리시지요.

요즘 제주도 무가 많이 나옵니다.

예전에는 봄무 쓸데도 없다더니....봄에 저장무를 사면 바람이 든 게 십중팔구지요

농삿일이야 잘 모르지만 어떻게 농작을 했는지..? 아니면 보관을 잘 하는지

요즘엔  바람든 저장무를 찾아오라고 해도 없네요. 무슨 무가 물도 많고 싱싱한지...

가을무가 따로 없군요. 무도 크고 좋아요 가격도 착하고...(1,000원정도)

 

재료

무2/3개, 무 절일 천일염 한 줌, 소금물에 삭힌 마늘쫑 한 줌, 고춧가루  (알아서들...ㅎ~)

새우액젖 국물만 4큰술, 매실액 3큰술 깨,,,,다진 파마늘,

 

 벌써 2번 째 해먹네요.

상큼하고 새콤하고 매콤하고...

 

맛있어 보이는 게 아니라 맛있어요.

 

 마늘쫑 삭힌 건 있어도 되고 없어도 돼요.

하지만 삭혀두면 (조금 짭짭한 염도3~4% 물김치보다 짠)

요리할 때도 좋구요. 된장이나 고추장에 박아도 장아찌로 좋아요.

마늘쫑 없이 만든 거네요. 

무를 소금에 30분쯤 절였다가 소쿠리에 받혀 물만 조금 빼세요.

그런 다음 김치버무리 듯 무쳐내시면 돼요.

쉽죠?

 

밥 비벼 먹기에도 좋아요.

쓰으ㄱ쓱...비벼서 ...꿀꺽!

 봄 철!

이맘때가 제일 반찬 걱정이 많을 때랍니다.

괜히 반찬  걱정 마시고요.

요즘 무가 달라졌다니까요.

이렇게 만들어두면 밑반찬으로도 두고 먹기에도 따악 좋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