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는 신라시대에 그 도도한 화엄종의 정신적인 기반을 확충하고 선양한다는 기치 아래, 이른 바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로 세워진 가람이다.
화엄종의 근본 경전인 화엄경은 4세기 무렵에 중앙아시아에서 성립된 대승 경전의 최고봉으로서, 그 본디 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이며 동양문화의 정수라고 일컬어진다.  이 경전에 해인삼매海印三昧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해인사 이름은 바로 이 '해인삼매'에서 비롯되었다.

 

 

해인삼매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한 없이 깊고 넓은 큰 바다에 비유하여, 거친 파도 곧 중생의 번뇌 망상이 비로소 멈출 때 우주의 갖가지 참된 모습이 그대로 물 속에(海)에 비치는(印) 경지를 말한다. 이렇게 여실如實한 세계가 바로 부처님의 깨달음의 모습이요 우리 중생의 본디 모습이니, 이것이 곧 해인삼매의 가르침이다.
이러한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해인사는 해동 화엄종의 초조初祖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의 법손인 순응順應화상과 그 제자인 이정理貞화상이 신라 제40대 임금 애장왕 3년에, 곧, 서기 802년 10월16일에 왕과 왕후의 도움으로 지금의 대적광전에 자리에 창건하였다.
이리하여 화엄종은 개화기를 맞던 신라시대를 거쳐, 해인사를 중심으로, 희랑希朗대사를 위시하여 균여均如, 의천義天과 같은 빼어난 학승들을 배출하기에 이르른다.
 해인사는 한국불교의 성지이며 또한 세계문화유산 및 국보 보물 등 70여 점의 유물이 산재해 있다. 국내 최대 사찰로서 명산인 가야산 자락에 위치하여, 가야산을 뒤로하고 매화산을 앞에 두고 있어 그 웅장한 모습과 주변 경관이 어우러져 경의로울 뿐 아니라  송림과 산사가 어울어져 연출하는 설경을 보는 이로 하여금 신비경에 젖게 한다.

 

가야산 해인사에 들다.

 

불교에 대해서는 아는 게  없어...

그저 사진만 올립니다. 오늘이 석가탄신일 경하드리는 마음으로 이 장을 꾸밉니다. _()_

 

 

 

 

 

 

 

 

 

 

대장경은 고려시대에 두 차례에 걸쳐 국가사업으로 간행되었다.
먼저 간행된 구판대장경은, 1011년에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거란의 침공을 물리치려는 발원에서 시작하여 1087년까지 무려 77년에 걸쳐 이루어진 것으로, 그 무렵으로서는 중국의 장경에 견주어 내용이 완벽한 것이었다.
그러나 팔공산 부인사에 봉안된 이 구판 대장경은 고종 19년인 1232년에 몽고군의 방화로 그만 불타 버리고 말았다. 그로부터 5년뒤인 1236년에 다시 본격적으로 대장경 간행 불사를 추진하여 1251년에 그 완성을 보게 되니, 16년에 걸친 이 큰 불사의 결실이 바로 지금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는 고려대장경이다.

대장경의 경판에 쓴인 나무는 산벚나무 등으로 , 그것을 통째로 바닷물에 삼 년 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대패로 곱게 다듬은 다음에야 경문을 새겼는데, 먼저 붓으로 경문을 쓰고 나서 그 글자들을 다시 하나하나 판각하는 순서를 거쳤다.
대장경을 만드는 데에 들인 정성과, 한치의 어긋남과 틀림도 허용하지 않은 그 엄정한 자세는 요즈음 사람들로서는 도저히 따라갈 수 도 없거니와 상상하기조차 힘든 것이었다. 곧, 글자를 한자씩 쓸 때마다 절을 한번 하였다고 하니, 그렇듯이 끝간 데 없는 정성을 들임으로써, 서른 명 남짓한 사람들의 솜씨로 쓴 무려 52,382,960개에 이르는 구양순체의 그 글자들이 한결같이 꼴이 아름답기도 하거니와 마치 한 사람이 쓴 듯이 일정하며, 한 글자도 잘못 쓰거나 빠뜨린 자가 없이 완벽한 장경을 이루고 있다.

경판의 마무리까지 세심하게 손을 본 이 대장경은 그 체제와 교정이 정확하고 조각이 섬세하고 정교하여서도 그렇지만, 이미 없어진 거란장경의 일부를 비롯하여 중국 대장경에는 없는 경전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도, 중국 최고의 대장경이라고 일컬어지는 만력판이나 또 후세에 만들어진 어떤 대장경도 따라올 수 없는 독보적인 빼어남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하여 고려대장경은 특히 근대에 만들어진 일본의 신수대장경을 비롯한 현대의 불교 대장경들의 으뜸가는 보기가 되기에 이르렀다.

 

대장경을 만들 무렵에 고려 왕조는 여러 차례에 걸친 오랑캐의 침입으로 말미암아 혼란에 빠져 있었다. 그런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임금과 귀족과 백성이 나라를 구하겠다는 한결 같은 마음으로 다시 이루어 놓은 것이 팔만 대장경이다. 오늘날 몇몇 경솔한 사학자들이, 칼과 창을 들고 오랑캐와 맞서 싸우는 대신에 대장경을 만들기에 힘을 쏟은 그때의 염원을 무기력한 시대사조로 그릇 되이 평가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대장경 간경 사업은 역사의 맥을 바로잡아 이어 가려는 민족의 염원이 그토록 간절하고 컸다는 것을 드러내는 민족 의식의 총화라는 데에서 그 의미가 빛나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세계 정신사의 산맥에 우뚝 솟아난 한 봉우리이기도 하며, 아울러 세계의 인쇄술과 출판물에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한 것이다.


해인사의 승려들이 머무는 요사채인가보다.

좌측 사진에는 우산도 나란히 나란히....우측 댓돌에는 신발들이 가지런히....

 

 

 

 

 

 

 

 

논산을 대표하는 사찰!

어제 들린 공주의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불교에서, 일정한 교구의 본사(本寺)에 딸린 작은 절을 이르는 말)


충남논산시 은진면 관촉리 반야산(般若山)에 있는 절, 관촉사
초행길이다. 은진미륵불이야 가 보지 않아도 그 크기(18M)를 잘 알지만
크기가 대단하다는 은진미륵을 직접 보러간다니 그 궁금증에 대한 기대감에
부푼 날은 비가 추적추적내리고 있었다.
보물 제218호로 지정된 은진미륵불의 본래 이름은 석조미륵보살상이라 한다.
은지미륵외에도 보물 제232호로 지정된 석등이 있다는데...해탈문 석문의 묘한 매력에 빠져 올라갔다 내려갔다.

반복해가며 나는 해탈이 아니라....해찰을 하고 있었다.

문화재자료 제79호  다른사찰에서는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로 사찰중문역활을 한다고 한다.

해탈문(석문)사이로 비치는 이쪽과 저 쪽의 경계가 뚜렷하다.

내 보기엔 이쪽도 저쪽도 ,,,다 아름답다.  이 석문을 드나드는 해찰을 지기느라.....해설사의 중요한 이야기는 다 놓쳐버렸다.

그치만 나는 아이들마냥 신났다.

은진미륵불 만나러 왔다가 작은 해탈문에서 벗어나지를 못했다.

지금의 미련한 나처럼..... 

 

 

관촉사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반야산( )에 있는 . 고려 광종 19년(968)에 혜명()이 창건한 것으로, 동양 최대의 석조 미륵보살 입상인 은진 미륵으로 유명하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968년(광종 19) 혜명(慧明)에 의해 창건될 때 조성된 석조미륵상이 발산하는 빛을 좇아 중국에서 명승(名僧) 지안(智眼)이 와 예배했다고 하여 관촉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법당은 1386년(우왕 12) 건립해 1581년(선조 14)과 1674년(현종 15)에 중수했으며 1735년(영조 11) 다시 중수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경내에는 관음전·삼성각(三聖閣)·사명각(四溟閣)·해탈문·현충각 등의 당우가 남아 있으며, 석조보살입상(보물 제218호)과 석등(보물 제232호)을 비롯해 사리탑·연화배례석·사적비 등이 있다.

 

 

 

윤장대안에는 경전들로 가득차서 윤장대를 한 번만 돌려도 그 경전을 다 읽은 것이다 여겼다.

그런데..윤장대를 배울 때 어디서 뭘 잘못 배웠는지 자꾸만 <윤판>이라고 한다. 이 글 쓴 다음부터는  절대 잘못 부르진 않겠지? (혼자만의 다짐)

은진미륵(보물 제218호)

상부와 하부로 나뉘는 조각, 어떻게 이 무거운 것을 올렸을까?

큰 고인돌 만드는 방식으로?  키는 18m에 귀만 3,3m 란다. 머리가 좀 커서 가분수같아 우수꽝스럽다지만...그 점으로 인해 자비가 더 돋보이는 것 아닐까?

하는 나만의 생각을 해본다.

 

 

 

 

석등 (보물 제232호)

 

 

 

석등 (보물 제232호)
은진미륵불 앞에 서있는 석등

미륵불의 크기나 규모에 맞추어 꽤나 큰 석등, 그 앞에 놓인 배례석충남 유형문화재로 지정 

아쉽게도 배례석을 미처 알아채지못하여 사진에는 없지만
예배, 즉 절을 하기 위한 곳에 둔 돌이라고 한다.
그 예배를 올리던 돌은 여러 가지 청정한 연꽃 무늬나 아름다운 구름송이와 같은 당초문을 새겨 넣었으며,

그것을 다른 말로는 배례석(拜禮石)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이 탑의 이름을 놓쳤다. 해탈문에서 해작노느라 막상 중요한 것을 놓쳤다.

이 탑이 사리탑인가?  석문처럼 마음을 쏙 끈다.

비스듬하게 서서 적당히 떨어져 나가기도 한 모습으로 서있는

벅수처럼  말도 없고 멋도 없이 무뚝뚝해 보이는 것이 더 좋은지 모르겠다.

속으로는 내밀한 이야기를 가득 품고 있을 것 같아보여~~

 

 

 

관촉사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반야산

041)735-4296

 

 

 

 

 

 

 

 

   유리창에 비친 인증샷

 

 

 

 

 

금 가고 버림 받은 것들 끌어안기
                                   

아침 햇살에 물든 은행잎!!
은행나무의 배경은

동쪽에서 해가 비껴 떠오른 오전 9시경이었다.

한 달만 더 기다리면, 내가 그렇게나 보고싶어 했던 부석사 황금빛 은행나무길을  걸을 수 있을텐데...


 

9월 하순이라지만 늦더위가 한여름 무더위 못지않다. 
그래선지 은행잎들은 아직도 여름처럼 싱그럽도록 푸르다.

아침 식사 후 바로 들린 부석사엔 지난 밤 많이 내린 비로 인해 아직 먼저 오른 사람은 거의 없어 보였다. 

천년 고찰의 신비를 안은 부석사를 답사하기에 더 없이 고즈넉한 시간이다.

 

 

은행나무길은 우거진 숲그늘로 어두운 듯.. 비쳐보이다가
들어오는 아침 햇살을 받은 곳은 연신 눈부신 연둣빛으로 환해보이다가...

혼자서 길을 오르노라면 ...제절로 깊은 생각에  마냥  잠겨서 걷고 또 걸어도 지루하지 않을 명상의 길이다.

신경숙의 소설이야기를 빌자면 상처받은 자들끼리 부석사를 찾아 떠났지만 끝내 도달하지 못했던 곳이다.

설마 소설탓이겠냐마는 영주부석사엔 상처받은 사람들이 오면 치유를 받는다는 잔잔한 설이 생겨났다.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상처 한 두 번 받지 않은 사람 어디 없을까마는

상처 받은 사람들이 부석사에 다다르면 치유가 되는 그런 절집이란다.

상처받아 딱지가 채 굳지 않아 가끔씩 딱지 아래서 선혈이 흘러 내리는 아픈 사람들에게 영주 부석사는

세상에서 지치고 다친 사람들의 꿈의 이상향이 되어버렸다.

 

 

삿갓 김병연이 부석사를 찾아들어 세상 사느라 백발이 희끗해진 년후, 늦게사 부석사를
찾아들었다는  싯귀처럼 나 역시나 백발이 희끗해서야 부석사에 첫 발을 내 딛었다.

이 나이에  아직까지 무슨 아픈 상처가 짜다라 남아있겠냐마는...
나도 남에게서 받은 흉터 한 두개 쯤은 지지않을 흔적으로 남아있어
살아오면서 내가 누구에게 몹쓸 상처를 주며 살지 않았는지, 뒤집어 생각해 볼 일이다.

 

 

 

안양루를 오르는 길은 좁은데다가 올라가면서 점차 좁혀지는 느낌이다.
무지한인 내 소견에도 짐작컨데  좁은 문은 생명을 뜻하지 않나 싶다.
좁은 문이란 힘든 길,  기피하는 길, 하지만 생명으로 향한 길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닐까?
형태적으로 본다면 혼자 들어가야 하는 길이고  많은 것을 가지고 가지 못하는 길이기도 하다.

 

 

 

어머니의 탯속에서 어둡고 좁은 길을 통과해서 중심에서 약간 좌측으로 비껴선 듯한 석등을 피해

오른쪽으로 오르면 고고성을 내며 태어나는 신생아처럼 부지불식간에 무량수전 불당위에 솟아 오르게 된다.

이 어찌 새로 태어나듯 하는 생명길이 아니고 무엇일까?
우리나라의 목조건물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다운 건물이라는 무량수전의 날아갈듯한  팔작지붕의 선과 

무뚝뚝한 듯 무량수전을 말없이 떠받치고 있는 배흘림기둥과 하이얀 창호의 문틀과 문살의 아름다운 모습이 그 곳에  있다.
눈에 가슴에 늘 익혀져 온 것 같은 천년의 세월이 살아 숨쉬는 배흘림기둥의 불룩한 나무결을 쓰다듬노라니 아!
손바닥으로 해서 온 몸에 전달되는 촉감은 세밀하면서도 따뜻하다.

 


  
세상의 물결에 이리저리 부대낀 상한 마음을 위로하고 다스리려 한다면  명상로를 시작으로 천천히 걸어 올라보라!
주말이라면 사람들이 한창 붐비는 한 낮을 피하고...
아침 일찌감치 올라 태백 산봉오리를 부드럽게 감싸 안은 운해를 바라보거나
관광객들이 내려오는 오후 느즈막히 올라 부석사의 석양을 바라만봐도 좋으리라~


 

소백산 자락을 딛고서서 태백산맥의 등허리가 물결로 출렁이듯 바라보이는 곳에 허리를 쭉 피고 바로서서
침묵으로 구순하게 엎딘 태백을 보노라면  .... 세상사 아무것도 아닌 듯,  별일 아닌 듯,
저 아래 세상일이 하찮은 것인 양  갑자기 큰 해탈의 도량이 밀려들 것이다.


눈물이 나면 와락 쏟아내도 좋을터,  이내 서럽던 마음이 차분하게 씻겨나가리라~~

 

 

비바람 치는 날에나,
은행나무 앙상한 겨울,
발이 푹푹 빠지는 눈내리는 날에도...


 

영주부석사를 찾은 느낌을 옮기다.  사진:글/이요조 2008,9,21

 

 

 

은행나무 명상길

 

 

 

 

 

 postscript

거의 인적이 안 보이는

은행나무길을 찍은 것은

함께 간 팀원들이

포토라인의 규율을 지켰기 때문이다.

 

은행열매가 떨어진 길바닥

우리는 정지선을 정하고 일제히 샷!!!

또 걷다가...정지하고,

 

 

제일 어눌한 줌마 포즈 의 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