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심을 먹으려다 말고 계란부치고, 햄굽고...김넣고 멸치넣고 김치넣어서 소풍을 나갔습니다.
연천군까지 갔지요. 핑계는 깨끗한 쑥을 얻기위해서입니다. 강둑에는 여름이면 물이 불어나므로 아무도 농사를 짓지 않습니다.
쑥을 캐오기엔 정말 최적의 청정지역이지요.

마리를 앞세우고 한참을 걸어서 (한탄강) 강둑으로 향했습니다.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아주 은밀한 곳입니다.

강변에 있는 쑥입니다.
자동차 매연도 없고, 농약이란 이름도 모릅니다.

오랑캐꽃이라고도 불리우던 제비꽃

차암 예쁘죠?

뱀밥
(쇠뜨기)
양치식물들로 이루어진 속새과(―科 Equiset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20~40cm 정도 자란다.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 흑갈색의 땅속줄기에서 모가 진 땅위줄기가 나온다.
땅위줄기의 두 종류 중 하나는 포자를 만드는 생식줄기이며, 다른 하나는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영양줄기이다.

소가 잘 뜯어먹어 쇠뜨기로도 불리우며,
포자낭이 달리기 전의 어린 생식줄기를 뱀밥이라 하며, 날것으로 먹거나 삶아먹는다.

완전 모래밭이라 유채꽃씨가 날아왔지만
베리베리한, 가녀린 모습이지만....나름 꽃을 피워올렸네요.

스마일~~ 하는 뱀머리 같아보입니다.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관통석입니다. (거의....거의 95%)
穴 이 비스듬하게 한참을 들어갔습니다.
시멘트못으로 한 번만 빵하면 연방 뚫어질 것처럼 아주 얇게 남았습니다.
원시인 아낙처럼 돌을(巳頭) 목에 걸고 다녀야겠습니다.

노란꽃, 이름을 모르겠습니다.
애기똥풀인가 싶어 다가갔더니 꽃은 더 크고 잎과줄기가 가시투성이입니다.
여태보아온 애기똥풀은 잎은 부드럽고 여렸던 것으로 기억되어집니다.
어쩌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란 애기똥풀이 맞는지도 모를 일입니다.

엉겅퀴처럼 무서운 가시가 참 많지요?
애기똥풀 아닌줄 알았는데...잘 아시는 분이 맞댑니다. 글쎄~
애기똥풀
- 안도현
나 서른다섯 될 때까지
애기똥풀 모르고 살았지요
해마다 어김없이 봄날 돌아올 때마다
그들은 내 얼굴 쳐다보았을 텐데요
코딱지 같은 어여쁜 꽃
다닥다닥 달고 있는 애기똥풀
얼마나 서운했을까요
애기똥풀도 모르는 것이 저기 걸어간다고
저런 것들이 인간의 마을에서 시를 쓴다고

정말...강둑에는 산철쭉이 꽃봉오리인채로 다닥다닥 달렸는데...
ㅎ`ㅎ` 사진 찍는 걸 깜빡했습니다.

쇠별꽃인가요?

냉이가 물 속에 잠겼습니다.
가믐에 강가에 자리잡았다가 그만 비가 왔지뭡니까....금세 물은 불어나고
수생식물이 되었습니다.

그래도 사는날까지
견뎌보겠다는 안까님으로
강물 속에 뿌리로 강바람을 온 몸에 맞으며 이겨내보려 합니다.

씨앗이 날아와 척박한 모래땅에도 생명을 피웁니다.

생명은 실로 존귀하고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역경을 잘 견디는 것이 곧 생명입니다.

비록 고난속에 빠질지라도...

세상은 엄격합니다.
흐르는 강물도 그러합니다.
쉼없이 흐르고, 여지없는 와류도 있고
그저 강물은 드쎄게 흐를 뿐입니다.

냉이는 이제 제 소임을 다했습니다.
꽃을 피웠으니 씨앗만 (더 좋은 곳으로)날려보내면 됩니다.

늘, 갇혀지내기만하는
마리는 세상이 온통 신기한 것 뿐입니다.

어디서 새끼를 키우는 까투리가 마리, 요것도 짐승이라고
자꾸 울면서 다른 곳으로 유인하려합니다.
어디쯤 까투리가 새끼를 키우고 있나봅니다.
완연한 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