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겨울 일찌감치 동치미 조금 담아둔 게 ...

주부가 집을 비운 사이 그대로 ....그대로 있다.

위에 골막지 핀 것만 덜어냈지만...웬지 국물맛은 군등내가 난다.

입동전에 담은 동치미는 양력 1월 지나면 ...

땅에 묻지 않은 이상 꽃가지가 슬슬 피어오르다가 그만 군등내가 나버린다.

지난겨울 하 추우니 그런대로 먹을만하다.

그러나 

그냥 이 동치미를 줄창 꺼내 먹었으면 몰라도

새로운 나박김치 맛을 본 뒤라 입맛은 간사하기 그지없다.

무를 채썰어 볶았다. 해마다 봄되면 이 맛에 동치미를 꼬옥 담그지~

동치미를 동치미로 즐기고 봄되면 남은 무를 이렇게 해먹는 재미에 맛들렸다.

동치미무를 볶아놓으면 고소하다!!

 

 

 

동치미무를 꺼내어 무른 무는 과감히 버리고

단단한 무를 채썰어 찬물에 담궈서 짠기를 빼낸다.

 

 

무를 기름 조금 넣고 볶다가 소량의 진간장으로 빛깔을 내고

 

볶아진 바닷말과/생략해도 됨) 마늘,파 깨, 들기름이나 참기름으로 마무리.....완성!

고소한 묵은 나물이 된다.

 

시래기나물과 함께 놓으면 동치미 무도 엄연한 묵(은)나물!! 

 

동치미는 이렇게도 저렇게도 썰어 담아내면 색다른 맛이 나는 것 같다.

동치미무볶음 국수

약간 덜 삶아낸 국수(90%)

올리브 기름을 두르고 볶다가 무볶음을 넣고 더 볶아준다.(간은 일절 하지 않는다)

국수를 담고...미나리, 배....고추장등을 얹어낸다. 볶을 때 동치미 국물을 좀 넣어주며 볶는다.

 

비빌때 조금 뻑뻑할 때는 김칫국물(배추김치)을 좀 넣어주면 좋다.

시원한 동치미 국수가 별미라면 동치미 무볶음도 별미랄 수가 있겠다.

 

 

아무래도 군등내가 나는 것 같아,

한라봉껍질이 든 나박김치 http://blog.daum.net/yojo-lady/13745903

남은 국물을 부었더니 거 또한 참 절묘한 맛이로세~~

국물은 마지막이라 좀 뿌옇지만....ㅎㅎㅎ^^;;

긍게....올 겨울 동치미엔 내 필히 배는 빼더라도 한라봉은 통채로 한 두어 개는 필히 넣어야 쓰것다.

 

 

 

 

 

 

 우연찮게 10년 전 한 번 말렸다가 나물을 하니 먹어본 사람들이 무슨 나물이냐고 묻더라구요. 그 이후로 머윗대만 보면 소량이더라도 말리게 되었지요.

먹거리 카페에서 잘 아는 지인이 머위가 무성하다는 말을 듣고 좀 말려보시라고 했어요.

그랬더니 그 걸 좀 보내주시더군요. 감동했지요. 글로는 좀이라고 표현했지만 ....말리기 전에는 <조금>이 아니었음을 압니다.

 

마침 전 작은 단으로 한 단을 구입 잘게 찢어가며 말리는 중이었거든요. 마르는 건 초여름이라 아주 쉬워요.

소량은 볕 따가운 날이면 한나절이면 꾸득꾸득 해지니까 그리 두려워 하진 마세요!!

내년에는 말려 저장해 보시라구요. 육개장에도 토란대 넣지 마시구요. 머윗대 말린 걸로 대체해 보세요!!

 

 

 A  머위를 말려요?

 A    예, 머윗대를 잘 깐 후, 데쳐내어 말리면 두고 두고 먹을 수 있는 아주 좋은 나물이 되어요!!

 

Q  머위 말린 나물이 그렇게 맛있나요?

 A  맛이 탄력있으면서 쫄깃거려요!!(절대 질기진 않구요)

 

 Q   머윗대 말린 걸  육개장에도 넣는다구요?

 A   예, 토란대 대신에요. 토란대 말린 건 여차하면 아린맛이 있어요. 그리고 요즘엔 수입산이 너무 많이 들어오기도 하구요.  중국산은 오히려 깨끗한 편이구요.

캄보디안가 어디서 들어오는 것을 방영한 적이 있는데 완전 쓰레기 그 자체더라구요! 토란대 대신 고기요리와도 아주 잘 어울려요.  제 자체맛이 순한 고기맛 같기도 해요!!

 

 Q   머윗대 말린 걸  잡채로 만든다구요?

 A  예, 푹 삶아서 울궈서 잡채로 쓴다면 맛이 당면 잡채랑 아주 잘 어울려요

 

 

 

묵나물 볶는 방법

한여름 장마통에 채소도 귀하고....나물도 그리울 때 묵나물<말린<묵은>나물>을 만들 준비를 합니다.

먼저 물에 한나절을 불렸다가 (그래야 괜한 까스불 시간을 줄이지요) 뭉근히(3~40분 정도) 삶아내고는 그 물은 따뤄내고

새물을 받아 밍근한 물에 한참을(3~4시간) 또 울궈냅니다.

물을 따뤄내고 또 새물을 부어 울궈주고....그리고는 미리 밑간을(청장, 마늘 들기름약간) 

아주 소량만하고는 (자칫 짜질까봐''') 팬에서 잘 볶아줍니다.

거의 볶아졌다 싶으면 물을 약간 둘리고 뚜껑을 덮고 또 뭉근하게 천천히

간이 배도록 익혀주는 게  묵나물 조리법입니다.

손으로 만져보아 적당히 물렀다 싶으면 불을 끄고 마지막에 들기름을 좀 더 두르고 깨를 뿌려 냅니다.

 

먼저 묵나물 잡채를 만드는 게 아니라...

넉넉하게 묵나물로 만들어 먼저 맛으로 즐긴 다음  냉장고에 있는 묵나물을 꺼내 잡채를 만드는 겁니다.

제가 잘게 찢어 말린 머위나물입니다.

마르는 뒤적이면서 그냥 재미로 잘게 찢어주는 것입니다. 오른쪽은 그 이전에(봄) 말린 (재배된)취나물!!

지인이 보내주신 나물입니다. 이 나물은 이름이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마른상태를 보니 잎이 아주 크고 길고 대도 길쭉합니다. 야생취나물이라고 하는군요!!

 

머윗댑니다. 모양그대로 말리셨어요, 그게 더 나을지도...

 

위에 주신 나물 두 가지로 우선 묵나물 반찬을 만들었지요! 

 제가 손이 커서 이렇게 많이 합니다. 먹다가 보니 모자라서 그랬는지...제 취나물도 또 볶아 보탰군요!! ↗

 

 

이 게 진정한 산채밥입니다. ㅎ~ 접시에 담아두고 나물만 먹는 맛!! 아 참....김에다가 싸서 먹으면 아주 맛나요!!

 

 묵나물잡채 

 

 

양파나 다른 것을 넣으니 조금 지저분해 보이더군요.

그저 묵나물 두 세가지가 가장 좋은 것 같아요, 물론 잡채의 나물 대표주자는 당연 머위줄기 맞습니다. 

 

당면잡채랑 빛깔이 같아져서 마치 숨은 그림찾기하듯 해야해요.

그런데 입에 들어가는 순간....혀가 잘 감별해요!! 

 

아주 멋지지 않나요? 이 요리는 이요조 고유의 요리 맞습니다.

 

 

이 나물잡채로 또 뭘 할 수 있을까? 제 창의성은 마구 꿈틀댑니다. 

 일전에는 만두를 만들어 보았거든요. 만두, 튀김만두...

이번에는 그다지 일손 번거롭지 않은 묵나물잡채전을 만들어 보려합니다. 

어때요? 손 쉽고도 간편해 보이시지요? 

 

 http://blog.daum.net/yojo-lady/13745622

 <묵나물 만두> 글 참조 ↑

 

 

 묵나물잡채를 잘게 썰어서 반죽에다가 합체!!

이렇게 부치시면 됩니다. 그 맛이요? 한 번 만들어 보세요.

아마도 어린이가 있는집에서는 아이들이 들락날락!! ..만두처럼 속이 흘러내리지 않아 너무 좋아할 거예요!!

어떤집을 방문하니 아이에게 비스킷을 주면서 자리를 깔고 그 자리를 절대로 벗어나면 안된다는 구역 계엄령을

내리더라구요. ㅎㅎ 이 잡채전은 애나 어른이나 구역 계엄령 안내리고 맛도 기막히게 좋으니

온가족 다 모이는 이번 추석에 어때요? 차례상에 못 오를 것도 없군요, 그쵸? 

 

글/이요조 

 

 

 

 

 

묵은 나물로 나물잡채를 만들었다가 나물만두를 재시도!!

 '묵은 나물잡채'http://blog.daum.net/yojo-lady/13745621 

 

잡채나물로 나물만두를 만들다.

만드는 방법은 그림으로도 충분하겠기에 생략!!

그냥 만두 보다는 손님상에 내기에도 별미같아서 아주 좋아하실 듯~~

수삼을 약간 구워서 함께 곁들이로... 

 

 

 

 

 

1/잡채나물을 잘게 썰어서 만두 소를 만든다.

2/사각반죽으로 긴 만두를 만들다.

3/튀겨서 반 잘라서 연한 소스간장과 함께낸다.

 

여느 만두와는 전혀 다른 맛이지요.

묵은 나물이라 속이 깔끔해요!! 정월대보름 남은 나물변신으로 아주 좋을 듯해요.

 

tip

속 나물잡채는 익었으므로 만두피만 익히려면 

전체 튀김을 하지않고 팬에 기름 조금 넉넉히 두른 후

겉만  익혀주었지요.

또 그래야만 느끼하지도 않고 담백한 나물만두 맛을

제대로 즐기실 수가...

 

 

'요리편지 > 나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나물 저장과 보관  (0) 2010.06.13
'취나물' 맛을 아시나요?  (0) 2010.04.22
묵은 '나물잡채'  (0) 2010.02.03
살짝 절였다가 볶는 무채나물  (0) 2009.11.19
8년생 가지나무 보셨어요?   (0) 2009.08.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