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전 그린 그림


(그림은 어디로 갔는지 사라졌지만 블로그엔 남아 있었다,

그림 하단부는 캡쳐시 잘렸지만)


8년 전 문인화를 좀 하다가 마치 연인을 둘 둔

문어발 같아서 하나의 연인만 갖기로 마음먹고 그림은 접었다.

남은 그 게 바로 블로그~~

블로그는 담담한 내게 여행이란 매혹적인 이름으로 콧바람을 넣어주었고 나름 늘 걸어야 하므로 건강 유지도 지켜준 셈이다.


그 동안 어머니 보내드리고

아이들 셋 다 짝 지워 결혼시키고

나름 내 인생의 마무리를 했던 중요한 기간이었다.


요즘, 퇴행성관절이 와서 좀 힌들지만,

선견지명이 있었는지

3 년차 문인화 공부에 대학 입학을 하게 되었고

동네 주민센터에서 붓글씨를 일주일에 두 번 나가게 되었다.


8 년 만에 잡아보는 붓인데...나이가 나인지라

예전처럼의 느낌을 회복하는 데 더뎠다.


사군자를 소홀히 한 터라

사군자를 열심히 하고...詩를 함께 쓰는 진정한

사군자 문인화에 주력했다.

결과는 미진하지만 삼채상을 받긴했지만,

http://blog.daum.net/yojo-lady/13747243



***


좀 있음 또 방학이다.

더 빨리 더 많은 걸 배우고 싶은데

내 발걸음은 늘 제 자리 걸음이다.

마침 블로그에 남겨둔 내가 그림 그림이 있기에(한국화)

똑 같은 그림을 한 번 그려 보았다. 우째 예전 같지가 않다.


집에서 거대한 이젤을 펼쳐놓긴 실로 8년 만이다.

이제 다시 시작이다.

아!

앞서 파도를 그린 게 시발점이네!!



그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차츰 그려나가는 중이지만....그저 그렇다.



지붕과 담장과 볏단더미 위에 쌓인 눈 말고

눈이 지금 내리고 있는 풍경을 넣기로 했다.


 

아예 설경으로 꾸며보기로 했다.

어차피 하늘이 시커멓게 칠해졌으니~~



학교 다닌지 8~9 개월

이제야 마음이 열린 시작점이다.

 



 



'이요조의 그림입문 > 걸음마 수묵담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춘대길 건양다경  (0) 2017.02.07
잘그렸든 못그렸든~  (0) 2017.01.12
파도를 그리다.  (0) 2016.10.18
문인화(매,난,국)  (0) 2016.10.06
닮고싶은 그림자료(성수역)  (0) 2016.05.05

 

 

 

 

 

 

 

 

 

ㅡ난은 글이 아래 왼쪽 공간에 왔으면 좋겠고

국은 글씨가 왼쪽으로 조금 더 물러나서 써졌으면 하는 생각이다.다음엔 더 잘해야지 ㅡ

언제쯤 글씨를 잘 쓰게 될까?

얼른 내 고유의 글씨를 찾아내어 멋지게 사용하고 싶다.

.

.

.그래도 공모대전에 심체상을 주시니 감사합니다.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국화와 군자·은자
의견없음담기보내기폰트설정 메뉴
남부지방에서 불리는 〈각설이 타령〉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굿자(九字)나 한 장 들고 봐
구월이라 국화꽃
화중군자(花中君子) 일러있고
이와 같이 국화는 매화·난초·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일컬어 왔다. 또 국화·연·매화·대나무를 사일(四逸)이라고 한다. 국화는 또 가우(佳友)라고도 하는데 모란 작약과 함께 삼가품(三佳品)이라고 한다.
군자는 뜻이 맞는 친구를 선택한다. 삼익우(三益友)가 있는데 솔·대나무·매화가 여기에 들어간다. 매화와 대나무는 군자이기도 하고 익우(益友)이기도 하지만 국화는 여기에 제외되어 있다. 그 이유를 주돈이(周敦頤)의 〈애련설(愛蓮說)〉에서 볼 수 있다.
국화의 고귀함을 인정하면서도 '국화는 은일자(隱逸者)'라는 성격을 부여한 것이다. 이 영향으로 국화는 은군자(隱君子) 또는 은사(隱士)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고 대중(大衆)은 하나의 선을 획책해 놓은 꽃으로 위치를 굳혀 버린 것이다.
국화는 뭇 꽃들이 다투어 피는 봄이나 여름을 피하여 황량한 늦가을에 고고하게 피어난다. 자연의 현상에서 인생의 진실을 배웠던 우리 선조들은 늦가을 찬바람이 몰아치는 벌판에서 외롭게 피어난 그 모습을 보고 이 세상의 모든 영화를 버리고 자연 속에 숨어사는 은사의 풍모를 느꼈던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꽃의 외화(外華)보다는 꽃에 담긴 덕(德)과 지(志)와 기(氣)를 취했는데 국화는 일찍 심어 늦게 피니 군자의 '덕'이요, 서리를 이겨 피니 선비의 '지'며, 물 없어도 피니 한사(寒士)의 '기'라 하여 이를 국화의 삼륜(三倫)이라 하였다.
이미지 갤러리 가기
청자상감국화절지문호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박물관 소장
이미지 갤러리 가기
시전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또 위(魏)나라 종회(鍾會)는 〈국화부(菊花賦)〉에서, 국화에는 다섯 가지 아름다움이 있다고 하였다.
첫째, 동그란 꽃송이가 높다랗게 달려 있음은 천극(天極)을 본 뜬 것이요
둘째, 잡색이 섞임이 없이 순수한 황색은 땅의 빛깔이고
셋째, 일찍 심어 늦게 피는 것은 군자의 덕이며
넷째, 서리를 뚫고 꽃이 피는 것은 굳세고 곧은 기상이요
다섯째, 술잔에 꽃잎이 떠 있음은 신선의 음식이다.
중국 역사상 가장 전형적인 은사로는 도잠(陶潛, 365~427년)을 꼽는다. 그는 육조(六朝)시대의 전원(田園)시인으로 〈귀거래사(歸去來辭)〉와 더불어 지조와 은일의 상징으로 그 이름이 높았다. 가난한 선비였던 도연명은 호구지책으로 천성에 맞지 않는 관직에 몸 담았다가 80여일만에 사직하고 〈귀거래사〉를 썼는데 그 속에 있는 다음과 같은 시구로 은사 도연명과 국화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게 되었다.
삼경(三逕)은 이미 황폐했으나 三逕就荒
소나무와 국화는 여전하구나 松菊猶存
또 송나라의 범석호(范石湖)는 〈국보(菊譜)〉의 서(序)에서 국화의 은사적인 풍모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가을이 되면 모든 초목들이 시들고 죽는데 국화만은 홀로 싱싱하게 꽃을 피워 풍상 앞에 오만하게 버티고 서 있는 품이 마치 유인(幽人)과 일사(逸士)가 고결한 지조를 품고 비록 적막하고 황량한 처지에 있더라도 오직 도(道)를 즐기어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연관목차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1. 국화 - 들어가는 말
2. 국화의 상징
(1) 국화와 군자·은자
(2) 인고(忍苦)와 절개의 국화
(3) 불로장수의 상징, 국화
출처

제공처 정보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이미지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2004. 3. 10.
책 보러가기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시리즈의 제3권. 꽃의 상징, 한국인의 꽃에 대한 미의식, 꽃과 민속, 꽃과 문학, 꽃과 예술, 꽃에 얽힌 전설 등 한국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꽃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책이다. 3권에서는 매화, 살구꽃, 진달래, 모란, 국화, 대나무, 버드나무 등 우리 조상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아온 꽃과 식물 14가지에 대해 상징, 민속, 문학, 설화로 분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보기
저자
이상희

.

 맛있는 글씨

 

  

지난번 여행길에서 우연히 만난  나의 감동이자,

기억 저편에 싸늘히 잊혀져가는 애인이었다.

애인!

몇 년이 될지...아니면 평생을 같이 갈지 모르겠지만

나의 새로운 동반자를 기억해 냈다.

여행은 그래서 좋은 것이다.

무언가를 마음이란 그릇에 담아 올 수 있어서....

 

 

낯 선 여행지의 생경한 풍경

그런 것 보다 그들의 작은 친절이, 말없는 배려등 등이

더 기억에 오래 오래 남을 수 있는 여행!

나는 호텔 베드위에서 만난

종이학도 반가웠고

길가에 서있는 간판 글씨에도 매료되었다.

 

 

호텔룸에서

눈쌓인 하얀 경치를 무심코 보다가

멋진 글씨를 보았다.

먹음직 스럽다.

魚活鮮

글자 그대로 물고기가 살아서

아름다운 글씨를 만들고 있었다.

스시(초밥) 그림까지...

 

 

 어쩜!!

회초밥이 그대로 연상되는 그림이...

먹물 묻힌 붓자국~

한 획으로 입맛을 돋구다니!!

 

 

뜨겁지않은 애인은 이미 애인이 아닌 것을...

내, 다시 사랑을 하리라~~

화풍병이 톡톡히 들긴 들었나 봅니다.

아침에 눈을 떠도 먼저 생각이 나고 자나깨나 ...확실히 열병에 빠졌습니다. 

요즘 곰팡이 핀 붓을 다시 재정비

사군자부터 기초를 다지느라 열심을 냅니다.

 

퇴근무렵에 식탁에 밥을 차려두고 사라진

마눌을 이해하는 남편이 고맙습니다.

 

맛있는 요리가 전부가 아닌

맛있는 인생을 살고시퍼

맛있는 그림과 글씨를 요리할 요량입니다.

 

이 글은

새로운 애인과 함께

여러분 앞에 서약하는....언약식입니다.

 

이요조

 

'이요조의 詩畵集 > 이요조 photo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은 내 아들인 아들아!  (0) 2008.03.29
시사in  (0) 2008.03.14
크리스마스트리  (0) 2007.12.21
낙엽을 태우며~  (0) 2007.11.16
가을속에서,  (0) 2007.10.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