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관이 없어 선물을 못한 단오선
나는 완두콩죽을~ 딸아! 넌 완두콩스프를 끓여라. http://blog.daum.net/yojo-lady/13128232 앞 글에서 마지막 부분
딸아!! 언능 시집가서 얼라만 낳아다오!! 내가 잘 먹여서 밤벌레처럼 오동통 키워줄테니까~
댓글/청랑님 (*밤벌레 아니고 밥벌레가 맞지유~~~?)하고 물어 오셨다.
목사님! 밤벌레 맞습니다. 중년에 드신 목사님도 이런 말씀을 모르시니 쌍둥이에게도 있다는 세대차이 내지는 격세지감맞습니다
맞고요.
옛날엔 귀한 아들을 낳으면 혹여 잘못될세라 예전에는 홍역, 전염병등으로 어린아이들이 잘 죽었다.
그래서 아명을 따로 하나 지어서 아주 천것인양 불렀다. 개똥이, 쇠똥이, 쇠돌이, 차돌이, 바우, 심지어는 똥개라 불렀을까?
그래야만 개똥밭에 뒹굴어도 건강하게 무탈하게 장수한다고 믿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런 연유로 젖먹이 어린아이를 업거나 안고 나가면 아기에게 주는 덕담은 가능한 직접적인 서술은 삼가하였다.
옛날에는 귀한 집 아들에게 직접적인 칭찬을 하면 마치 아이에게 해꼬지할 유괴범 보듯이 흘겨보며 그 자리를 황망히 피해갔다한다.
외국인들은 알지못할 우리네의 정서다.
아기가 참 예쁘네요. 귀엽다. 튼튼하다라는 말을 하면 역신들이 질투를 내어 아이를 해꼬지한다 믿었다.
그래서 아이를 예쁘다고 칭찬하는 최상의 말들은 우회하여 표현하게 되었다.
그 몇 가지 예로, 아기의 얼굴이 뽀얗고 예쁘고 깨끗하게 생겼으면 <허~ 그늠 차암! 개가 �아논 죽사발 같이 생겼네~>
<그늠 참말로 금세 까논 밤같이 생겼네~> 하며 그 허여멀금함을 칭찬하였고,
아이가 오동통 건강하게 생겼으면 <밤벌레같이 생겼네~>그랬다.
밤벌레는 좀 징그럽긴 하지만 오동통하고 굼실거리는 하얀 유충이다.
아이가 볼살이 오동통하고 얼굴이 하야면 그렇게 불렀을까? 그런 말은 아마도 머리가 단순한 역신이 헤아려 듣지 못한다고 믿었기 때문 아닐까?
그래서 예전사람들은 아명이 있고, 본명이 있고 어른이 되면 택호가 있고, 본 이름이나 자(字) 외에 편하게 부를 수 있도록 지은 호가 따로 있었다.
이왕지사 호(號)이야기가 나왔으니 추사김정희 선생님의 호는 알려진 것만해도 500여개가 된다한다.
詩`書`畵에 두루 능하였던 예술인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당(堂) ·암(巖) ·실(室) 등으로 끝나는 호가 많았다.
내용별로는 자신이 거주했던 곳이나 인연이 있었던 곳을 따서 지은 경우와, 인생관이나 수양목표를 한 경우, 완호물(玩好物)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ㅎ` 주역에 의하지 않는다면 나는 늘푸르고 꿋꿋한 소나무가 좋으니 松山이라 짓고 싶었다. 한글로는 솔뫼)
호를 통하여 당시 인물들의 세계관과 인생관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언젠가 호에도 유행어가 있다는 이야기를 신문 기사에서 보았다.
고려말 식자들 사이에 은(隱/숨을 은)자를 붙이는 게 유행이었다 한다. 이색의 호는 목은(牧隱)이었으며(목동을 꿈꾸었는지)
정몽주의 호는 포은(圃隱)이었다(채소밭이나 가꾸며 살자는) 연산군시절에는 사화가 이어지면서 조선에도 은둔 바람이 불기 시작했는데 사림들 사이에 은둔의식이 퍼지면서 집재(齋)로 끝나는 호가 유행을 하게 되었다 한다.
은이나 재로 끝나는 호들은 대부분 신중하고 조심하며 살자는 뜻이었을 게다.
얼마나 실상과 부합했는지는 세세히 알 길이 없지만 호로써 다짐해두자는 뜻일게다.
내게도 예비새댁 때 약혼자의 절대적인 후원으로 문인화를 그리러 다니면서 호를 받았는데 얼마나 주역에 맞춰 세세히 쓰셨는지 무슨 서간문 마냥 세필로 쓴 한문으로 빼곡했다. 결혼 후에도 보관했었는데...이사를 여러번 다니느라 분실 했나보다. 두 개를 지어주셨는데 하나는 <사경> 뜻글도 잊었다.
그냥 死境을 헤멘다는 말이 떠올라 고사하고 불교적인 냄새가 나지만 蓮宇를 택했었다.
그리고는 기독교집안으로 시집와서 아이 셋을 키우느라 사용할 겨를도 없었다.
요즘들어 망중한삼아 그림공부를 다시 시작하면서 선생님께(女) 호를 받았는데 예전에 받아 둔 내 호는 유행이 지난 號란다. (ㅠ,.ㅜ);;
한 밤중에 전화로 지으신 이름을 말씀하시는데, 지담이 어떠냐시는데 친정조카 이름과 맞물려서 좀 꺼려지고....
한 참 뒤에 의진과 여진이 어떠냐신다.
여진은 얼핏 여진족, ㅎ`ㅎ` 누루하치라면 또 몰러~
막무가내로 달달 외던건 요것뿐이지만 말갈족 나아가서는 만주족의 조상같아서 단연코 실코
우리말로 부를 때도 의진이 더 의젓하고 의로운 것 같아 의진으로 받았다. 그런데 의가 나와는 거리가 먼 아름다울 의(懿)란다.
진은 참眞이니...참으로 아름다운 진리이고저~~ (아흐 다롱디리~)
어제 낙관을 주시면서 선생님은 호를 받으면 떡을 해와야 한다시며 나의 사주 주역을 빼보니 오천복이 들었단다.
<에이..선생님두 참..오천복이 들었으면 이러고 있어유?>
<아냐 맞어~ 늙어서 孤 가 좀 있어서 그렇지!!>
<아~ 고거이 고럼 우리집 영감님을 먼저 보내능거이.....햐! 오천복 맞네여~ 맞어>
<에헤라디야~~~ 앗싸!!!>
어제 저녁부로 화실 한 모퉁이는 꺼져버렸다.
이야기는 구르고 굴러서 콩고물이 점점 묻어설라무네~
퇴직금까지 다 갖다주고 남편이 죽으면 엎드려 곡하면서 웃는다나 뭐래나!
돈 벌어다 줄 때는 더러버도 꾹 참고 살았지만..퇴직하고 별 볼일 없는 잔소리쟁이, 좁쌀영감으로 남으면 '누레오찌바(ぬれ落ち葉ㆍ젖은낙엽)'란다.
.
.
.
<녕감...내 진짜맴은 알고 있쪄?>
<아릿따운 내 진심을....>
.
.
.
.
가납사니 懿眞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