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ncent..

휴가중 못난 사진을 한 장 찍어 놓고는 고흐의 starry night을 떠 올렸다.

해운대, 바다축제 전야제였다.

불꽃놀이를 찍었는데...

언제나 밤바다를 찍으면 해무의 포말인지? 사진에 자주 물방울의 흔적이 묻어났다.

달리 아는 지식이 없으니, 혼자 끙끙 앓을 수 밖에,

다른 이미지를 겨냥했으면 못 쓸판인데...

내 보기에는 불꽃과 어우러진 푸른 밤이 마치 고흐의 그림을 연상시켰다.

해운대의 송림이 불꽃놀이에 놀랐는지 고흐의 삼나무처럼 머리끝을 쭈빗쭈빗 들고 있고......

어쨌거나 엎어진김에 쉬어가듯, 고흐를 되새겨보는 탐구의 시간으로 돌아갔다.


 

나는 반고흐의 그림이 좋다.
그는 인생의 절반이상이 우울증과 괴로움에 시달렸지민 하지만 그림의 대한 열정하나 만큼은.... 그래서 이렇게 아름다움을 만들어낼 수 있었나보다.

고흐는 어쩌면 우울한 사람이 아니라, 너무 행복한 사람이었는지도 모른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의 열정을 어디에 쏟아야 하는지를 아는사람이었으니까

고흐의 작품중에 starry night라는 작품이 있다.

이 작품을 보면 꿈틀거리듯한 별들이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를 보는 듯 한데,

 

얼마전 티뷔에서 한 정신과 의사가(심리학자?) 병든 사람의 눈에는 심리적으로(들은대로 쓸 수가 없네요 기억에 남은 ...대충)

그렇게 보인다는 그 실예를 들어 이 그림을 대표로 거론했던 적이 있었다.

 

나는 단 한 번의 해외여행에 별 볼일 없는 여행을했지만

오래전에 여자들만 갔더니 가이드가 막중한 책임의식을 느꼈는지 도통 밤에는 나가지도 못하게 위협적인 말로 감금?을 했고 우린 착하게 그의 말을 들어주었다.

공기가 맑은 나라에선 달이 놀랍도록 크고 별도 크고 밝다고 했다.

만약에 내가 밤에 나가 별을 봤더라면 고흐의 별과 같지 않았을가 한다.

난시가 있어서 빛번짐이 매우 심하니 아마도 고흐처럼 별이 꼭 저렇게 보였을 것!

눈을 혹사한 날은 냉장고에 든 그릇이 두개로 포개져서도 보이니,

각설하고..

 

왜 아닐까마는 이 그림은 정신병원에 있을 때 그린 그림이지만

춤추는 듯한 삼나무와 살아서 발광체가 된듯한 별과...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 보는 이들에게 묘한 마력을 주는 것 같다.

 

 

'마르뜨 로베르'란 미술평론가가 이 그림을 보면서

"이 환각을 일으키는 작품속에는 그러나 어떤 무질서도 없다.

반 고호는 아주 확실하게 구성의 균형을 잡으면서 그의 세계관의 주인이 되어 있다" 라고 한 말이 너무도 실감나게 느껴졌다.

 

이 그림을 보면서 느낀 것은 고호는 그의 그림을 통해서 영혼의 안식과 평안을

얻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의 그림은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움직이고 그러면서도 또 우리에게 삶의 따뜻함을 준다.

 

 

Dana Winner 가 부른 이 감미로운 선율은

♪Starry, starry night
Paint your palette blue and gray.
Look out on a summer"s day~~♩
 
바로 고흐의 starry night를 보고 영감을 얻어 부른 노래라 한다.
 
 
이상 윗글은 아는 데 까지만 보이는 그대로 쓴...글:사진/이요조 
 


고흐가 그 삶의 마지막 1년, 정신병과 싸우며 그린 작품이다.

공동생활을 하고 있던 고갱과 다투다가 자기 귀를 자른 고흐는 아를의 병원에서 퇴원한 후에도 간혹 발작을 일으켜 "나는 자신에게 과(課)해진 미치광이 역할을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생각한다"며 1889년 5월 아를에서 가까운 상 레미의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고흐는 그해의 7월과 12월에도 발작을 되풀이하였으며, 이 그림은 그 발작 사이에 그린 상 레미 시대의 작품이다.

고흐가 비저널이었다는 사실은 아를 시대까지의 작품에는 거의 표면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는 항상 현실의 사물에 밀착하는 화가였던 것이다.

그러나 "자연은 어떠한 이유에서도 변화시키지 않겠다"고 한 고흐도 본질적으로는 서정가(抒情家)이고, 뛰어난 비저널로서의 일면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아를 시대까지의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자연이나 물체와 마음을 상통하는 일종의 주술사였으며, 그의 기술적인 제어력의 완성과 마음의 성숙함이 이윽고 상 레미 시대에 있어 비저널로서의 고흐를 탄생하게 하는 것이다.

철창이 쳐진 정신병원의 창 너머로는 상 레미의 시가와 별이 깔린 하늘이 보인다. 별 하나하나는 심장의 동계(動悸)처럼 빛을 변화시키고 끝 모를 창궁(蒼穹)의 푸름은 그 중핵(中核)을 탐구하는 것처럼 소용돌이치고 있다.

별들도 소용돌이치고 모두가 구심적인 운동과 통일적인 움직임을 보여 주는 이 장대(壯大)한 밤의 시(詩)는 자연과 사물의 내면에 접촉한 자만이 가질 수 있는 서정성·신비성을 보여 주고 있다.

조용하면서도 생동감이 있는 신비한 밤이다.

37년의 짧은 삶을 산 빈센트 반 고흐(1853~1890)는 오랜 우회(迂廻)의 길을 걷다가 27세가 되던 1880년에야 화가의 길에 들어, 불과 10년의 작품생활 끝에 회화사(繪畵史)를 빛내는 숱한 명작을 남겼다.

그것도 발작과 퇴원이 되풀이된 그의 마지막 삶의 2년 반을 보낸 아를 시대에 약 200점, 상 레미 시대에 약 100점의 그림을 남겨, 이 기간이야말로 고흐 예술의 참다운 개화기(開花期)였다.

그의 예술적 정신은 20세기 초에 일어난 '포비즘'  화가들의 지표가 되었다./검색글

 


 

 반 고흐의 또 하나의 그림(上) " 별이 빛나는 밤 "을 보면 북두칠성이 수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원 대신 바닷가를 택함으로써

 반 고흐는 온 세상을 밝히고 있는 별빛의 황홀한 광휘를 보다 잘 표현할 수 있었다.

 

 이 모든 영롱하고 그윽한 신비를 만든 이가 어딘가 따로 있을 것만 같다는 느낌은

 밀레와 반 고흐의 " 별이 빛나는 밤 "을 지배하고 있는 동일한 세계관이다.

 하지만 밀레가 멀리 지평선 너머에 성소를 연상시키는 광원을 위치시켰던 반면

 이미 신을 버렸다고 생각하고 있던, 혹은 자신을 신으로부터 버림받은 자로 여기고 있었던

 반 고흐의 그림에는 그 어디에도 빛의 근원이 나타나있지 않다.

 

 

                                                                                                 자료 - KANS 아트옥션

 

 

..
.
.
2005,08,01,21~
 
 
 

Vincent/Dana Winner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詩畵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나기  (0) 2005.08.20
호미씻이  (0) 2005.08.19
깻잎  (0) 2005.07.21
냉정과 열정 사이  (0) 2005.07.18
비가 옵니다.  (0) 2005.07.09



 

 

 

아래 그림은 A4용지에다 그린 낙서 그림,

2003년 5월 28일

블로그를 뒤져보니,

갑상선 수술 후 일주일째,

얼마나 입맛이 없었으면 접시에다 밥을 퍼 담고 밥알을 조물락거렸을까?

신-게 들어가면 입맛이 돌아올까 싶어,  오이피클...양배추 피클...

깻잎 등을 놓고 손으로 주물럭대던 기억이....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詩畵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미씻이  (0) 2005.08.19
깨끔발  (0) 2005.08.08
냉정과 열정 사이  (0) 2005.07.18
비가 옵니다.  (0) 2005.07.09
이슬  (0) 2005.07.08


 

 

 

삶과 죽음도 종잇장 차이요. 사랑과 미움 역시 종잇장 차이요 열정과 냉정도 종잇장 차이라 건강과 그 해함도 그러하나니 나는 어제의 건강과 열정으로 쏘 다녔고 오늘은 과로로 지쳐 냉정하니

어제는 바람이어서 좋았고 오늘은 정물이어서도 좋은 게 내가 날 드려다 보면 그 속이 환히 보이나니 가라앉은 돌멩이도 보이고 잠자는 뻘도 보이는구나/이요조

 

아파서 힘없이 드러누운 어느날에 나를 보며,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詩畵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끔발  (0) 2005.08.08
깻잎  (0) 2005.07.21
비가 옵니다.  (0) 2005.07.09
이슬  (0) 2005.07.08
서정주와 김동리의 예술적 우화  (0) 2005.07.07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詩畵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깻잎  (0) 2005.07.21
냉정과 열정 사이  (0) 2005.07.18
이슬  (0) 2005.07.08
서정주와 김동리의 예술적 우화  (0) 2005.07.07
夫婦  (0) 2005.07.07



 

-이 슬-

 

 

첫사랑의 'DNA'

 

 

 

2005,7,8 이요조 글/사진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詩畵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정과 열정 사이  (0) 2005.07.18
비가 옵니다.  (0) 2005.07.09
서정주와 김동리의 예술적 우화  (0) 2005.07.07
夫婦  (0) 2005.07.07
탈모  (0) 2005.07.06


 

[서정주와 김동리의 예술적 우화]


시와 소설

 

김동리: "벙어리도 꽃이 피면 우는 것을~"

미당: "옳거니..나 이제야말로 자네를 시인으로 인정컸네~"

 

대춧빛 얼굴을 잔뜩 찡그리며
김동리: "아이다 이 사람아, 벙어리도 꼬집히면 우는 것을...." 이다.

 

한 손으로 술상을 쾅 내리치며
미당: "됐네! 이 사람아, 꽃이 폈기 때문에 벙어리가 운다면 詩이고
       꼬집혔기 때문에 운다면 소설일세"

 

 

 

....................................................................................../또는

 

 

 

소설가 이태준은 '문장강화'에서 운문과 산문의 차이를 이렇게 구별했다.

'윗가지 꽃봉오리 아랫가지 낙화로다'가 운문이라면
'윗가지는 아직도 봉오리인 채로 있는데 아랫가지가 벌써 피었다 떨어진다'는

산문인 것이다. 라고

 

 

 

 

이시영지음 [아르갈의 향기]원문 중에서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詩畵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가 옵니다.  (0) 2005.07.09
이슬  (0) 2005.07.08
夫婦  (0) 2005.07.07
탈모  (0) 2005.07.06
베개  (0) 2005.07.05


 

 

쓰레기를 버리려다 보니 운동화 안에 넣는 뽄틀이 마치 부부같았습니다.

(이런 신발 뽄틀은 제 소임을 다하게끔 신발장에 두어 재활용해야 겠지요?)

장난삼아 그림만 그리려다가....

사진을 찍고는....그 사진을  모니터로 불러내어 펜마우스로 글을 썼습니다.

(펜마우스는 보통 마우스와 똑 같습니다.

모니터에다 바로 글씨를 씁니다. pen으로 되어있어서 손에 쥐기 쉬울 따름입니다)

즉 마우스 글씨인 셈이지요.

 

 

글씨가 쓰기싫어서..힘들어서, 그냥 손 쉽게 불러온 활자는 글씨가 마치 죽은 듯 합니다.

그림 그리기보다 글쓰기가 더 어렵군요.

공간을 딱, 맞추기도 어렵고...

 

대신 그림에 바로 쓰는 글씨 보다야 실수도 용납되고....

다른이름으로 저장하면 같은 사진(그림)이지만 얼마든지 내용은 다르게 써넣을 수가 있습니다.

 

급한대로 그냥 마우스 글씨도 삐뚤빼뚤, 정겹고 참 재미납니다.

이미지를 불러내어 한번 시도해 보시길...

 

 

※ 어려운 포토샵은 가라!  손쉬운 그림판 사용법

 

1/컴텨 모니터 좌측 하단의 '시작'을 누릅니다.(창이 뜹니다)

2/'프로그램'을 찾아서 클릭하면 옆으로 또 창이...'보조프로그램'(右)으로 이동 클릭합니다.

3/보조프로그램에서 또 '그림판'으로(右)이동합니다.

4/그림판이 열리면 그림판 상단 왼쪽 '파일'을 클릭합니다.

5/'열기'를 클릭하시면 내문서나 내그림이 나옵니다.

6/왼쪽 파레트에서 원하는 붓 크기...칼라를 선택하신 후

7/사진에다 글을 새겨 넣습니다.

8/파일을 누르고 창이 뜨면 '저장'을 누릅니다.

★주의 /그냥 저장을 누르시면 그 사진에 낙서?는 영영 지워지지 않습니다.

'다른이름으로저장'을 합니다.(원본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요즘

늘,

 피곤했습니다.
주말이 끝나고 가족들을  다들 제 자리로 떠나보내고 나니..
피곤이 엄습했습니다.
피곤을 몰아내느라.. 밤 늦게 마신 커피는 자정을 넘기게 만들고
나는 괜히 모진소리로 그를 보내고 난 후, 

잠 못들고 뒤척이다 
이유없이 그저 울었습니다.
오늘은 종일 무거운 우울에 가라앉을 것 같습니다.
모르겠습니다. 어젠 내가 왜 그랬는지....
<미안해요!>
이 한 마디면 족할텐데 말입니다.

부부 사이엔

자존심이 없어야 한다던데
아직도 허물어야 할,
너무 오래 잠긴 자존심의 빗장에는 붉은 녹이 슬었습니다.
사랑은,

부부간의 사랑은 노력입니다.
거울----  '거울 닦기'
손때가 앉지 않도록 매일 잘 닦아 두어야만
내가 잘 보이기 때문입니다.
부부란 둘이 아니고 하나~거울에 비친 바로
나,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사랑합니다.

 


어느날 일기에서

 

'이요조의 그림입문 > 이요조의 詩畵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  (0) 2005.07.08
서정주와 김동리의 예술적 우화  (0) 2005.07.07
탈모  (0) 2005.07.06
베개  (0) 2005.07.05
지렁이 키우기  (0) 2005.07.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