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blogfile/fs4/4_18_10_18_02GYe_IMAGE_1_169.jpg?original&filename=169.jpg)
수도권에서 가장 쉽게 바다의 신선함을 느낄 수 있는 간편한 여행지는 인천이다.
요즘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좀 나긴하지만 당낮에는 한여름처럼 무덥기도 하다.
시원한 바닷바람은 어떨까? 가서 맛있는 회도 한 접시 먹고 싱싱한 해물거리 장도 봐서 돌아오는 길이라면 그런대로 쏠쏠한 서민살이 연휴가 그리 따분하지만은 않을 것 같다.
수원,인천간을 달리던 작고도 앙증맞은 협궤열차는 아마 10여년? 전 쯤에 많은 사람들의 추억을 묻 듯 사라져갔다.
아직도 그 흔적으로 철교가 남아있는 소래포구는 그 사라진 협궤열차의 추억이 서린 곳이기도 하다. 내겐 특히나,
아주 품이 좁았던 열차였다. 열차가 좁았으니 당연히 철로도 앙증맞게 좁았고, 아낙네들의 보퉁이와 다라이가 진을 치던 그런 곳이었다. 창가로는 군데군데 흰소금 그득하던 염전들, 나는 그 때 눈으로 별천지를 구경했고. 귀로는 아낙들의 수다를 들었으며, 코끝에선 아직도 촌 아낙네들이 장을 봐가던 오이를 뚝 분질러 나눠먹던 그 향이 아직도 나는 듯 한 기억의 소래포구이다.
월미도에서 배를 타고 놀다가 소래포구에서 새우젓이나 아니면 요즘 한창 제철로 맛나는 게장꺼리를 사와도 좋다.
소래에 가면 즉석에서 회를 떠서 주면 그냥 노천에서 쭈그리고 앉아 먹는 재미가 있다.
땡볕에 쪼그려트려 앉았어도 별반 이상할 게 하나 없는 곳!
소래포구만의 전유물이 되어버린 것이기도 하다.
포구를 바라보며, 끼룩대며 나르는 갈매기떼가 있는 곳이기에 자연스런
풍경인지도 모르겠다.
먼저 월미도 이야기 부터 ......
월미도는 때맞춰 행사나 이벤트가 간간히 열리기도 하는 곳이다.
인천상륙작전으로 들어온 곳이기도 하고, 지금 그 곳은 놀이기구가 왁자하니 그런 상흔은 아예 엎어버린지 오래다.
지금의 월미도는 바다공원이다. 광장에 분수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바다와 분수...해질녘, 월미도 전망대에 올라가면 서해의 일몰을 한 눈에 즐길수도 있다.
인천은 은근히 매력적인 도시다. 그 이름대로 짠맛만 느껴지는 줄 여태 알아왔는데...자세히 드려다 보니 구경거리, 놀거리, 쉴거리, 먹거리가 무척 많은 곳이기도 하다. 연휴에 딱히 갈만한 곳이 없다면 아이들을 앞세워 인천으로 나서 봄직한 일이다.
전망좋은 이층 횟집 큰 창가에 앉아 바다를 바라보며 회를 먹는 것도 괜찮다.
월미도는 아이들도 좋아라 할 곳이다. 탈 것도, 볼 것도 많기 때문이다.
"춤 좀 추실까요?"월미도 공원 분수/봄날 시원한 물줄기가 저들끼리 멋진 환상의 커플이 되어~
올 때엔..말린 알이 가득 밴 생선들을(가자미, 망둥어) 사와서
집에와서 모처럼 굽고...지지고,
저녁상에 만선의 배처럼 생선들이 가득 올려졌다.
간이 쎄게 된 줄 모르고 요리를 했었다. 짜다.
"소금과 재판해도 이기겄넹"
소래포구가 아니라....소태포구였구낭!
소래포구에서 사온 말린 생선들은(짠 걸 염두에 두고)
밥도둑이 따로 없다.
어부의 장딴지에 힘이 불끈 주어지면
바다여 길을 내어라 황금 비늘 어장으로,
포구를 감도는 너울도 춤인 양하여
만선을 등에 업으면 해와 달도 벙싯댄다.
![]() 폐염고를 개조해서 만든 교실에서는 책걸상 2백여 개가 놓여 있다. 이곳에서 소금채취과정 등에 대한 지도교사의 간략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염전은 난치지역과 늦태지역, 그리고 결정지역으로 나뉜다. 저수지에서 퍼올린 바닷물을 난치지역과 늦태지역에 각각 10일,14일 동안 가둬 놓고 염도를 바짝 높인 후 결정지역의 증발지로 보낸다. 이 곳에서 다시 햇볕에 의해 한층 소금기가 높아진 염수는 빗물과 섞이지 않게 낮은 지붕이 씌워진 '해주'에 저장된다. 염수는 날씨가 좋은 날 결정지역으로 다시 나가 소금으로 변한다. 남동구 해양탐구자연학습장에서는 하루 평균 600kg의 소금이 생산된다. 학생들은 바닥에 타일이 깔린 소금밭에 내려가 걸어보기도 하고, 소금물을 퍼올리는 수차에 직접 올라가 발판을 저어보기도 한다. 소금 채취 시간(보통 오후 4시)과 맞아 떨어지면 직접 가래질을 하며 소금을 긁어모으면 색다른 경험도 맛볼 수 있다. 염전 관련 체험뿐만 아니라 소래 갯골과 이어진 갯벌에 맨발로 뛰어 들어가 개흙의 촉감을 느끼며 즐길 수 있다. 갈대숲에서 숨바꼭질을 하며 뛰어 놀다보면 어느새 팔뚝에는 하얗게 소금기가 일어난다.
[찾아가는길]
인천시내에서 시청,시민회관을 지나 들어가는 옛길 이외에 서해안고속도로에서 바로 진입하는 길이 있
![]()
![]()
| ||||||||||||||||
|
'여행발전소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강, 또 가다. (0) | 2006.06.06 |
---|---|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임진강편 (0) | 2006.05.22 |
오이도 가는 길(총편) (0) | 2006.04.09 |
우리나라에는 민망한 섬이름이 많다. (0) | 2006.03.13 |
제부도, 서해별곡 3 (0) | 2006.03.11 |